$\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모세포종으로 항암화학치료 이후 설사를 호소하는 소음인 치험 1례
A Case Report on Diarrhea after Chemotherapy in a Soeumin Patient with Glioblastoma 원문보기

JSCM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31 no.4, 2019년, pp.65 - 73  

이혜리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사상체질과) ,  오지원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사상체질과) ,  강민수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사상체질과) ,  이의주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사상체질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wakhyangjeonggi-san on Diarrhea after Chemotherapy in a 64-year-old male patient with glioblastoma. Methods A 64-year-old Korean male patient diagnosed with glioblastoma was treated with Kwakhyangjeonggi-san. The treatment w...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모세포종을 진단받고 항암화학치료를 시행 받으며 설사를 호소하는 환자 1명에 대하여 소음인 위수한리한병 태음병비만증으로 진단하고 藿香正氣散을투여하여 1일 배변 횟수와 Bristol Stool From Scale로 배변양상을 확인한 결과 의미 있는 호전을 보여 그 치료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본 증례보고에서는 교모세포종을 진단받고 항암화학치료를 시행 받으며 설사를 호소하는 64세 남환에 대하여 한의학적 치료를 적용하여 호전을 보여 그 치료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모세포종의 일반적인 치료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교모세포종(Glioblastoma)은 정상적으로 뇌조직에 존재하고 있는 신경교세포에서 기원한 종양인 신경교종(glioma) 가운데 조직학적으로 등급을 나누어 가장 악성인 종양으로, 치료는 일반적으로 수술적 제거를 통해 최대한 종양을 절제한 후,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치료를 시행하게 된다1.
교모세포종은 무엇인가? 교모세포종(Glioblastoma)은 정상적으로 뇌조직에 존재하고 있는 신경교세포에서 기원한 종양인 신경교종(glioma) 가운데 조직학적으로 등급을 나누어 가장 악성인 종양으로, 치료는 일반적으로 수술적 제거를 통해 최대한 종양을 절제한 후,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치료를 시행하게 된다1. 그러나 이 등2에 따르면 항암화학치료에 사용되는 항암제에 따른 여러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으며, 그에 대하여 대증치료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을 뿐이다.
교모세포종의 침 치료는 어떻게 행해졌는가? 입원 기간 동안 매일 오전 1회 본원 사상체질과 교수 및 전공수련의에 의해 1회용 호침(동방침구제작소, 한국. 0.20mm × 30mm Stainless steel)을 사용하여하지의 兩 足三里(ST36), 解谿(ST41), 太衝(LR3), 右 陰陵泉(SP9), 상지의 兩 曲池(LI11), 合谷(LI4), 中渚(TE3), 右 手三里(LI10), 두부의 百會(GV20), 兩 太陽(EX-HN5), 風池(GB20), 水溝(GV26) 등의 혈자리에 90도로 직자하여 침치료가 시행되었으며, 유침 시간은 20분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rian M. Alexander, Timothy F. Cloughesy. Adult Glioblastoma.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17;35:21. 2402-2409. 

  2. Lee JY, Jung JW, Kang HR, Lee SH, Kim HS, Cho SH. Data Analysis for Anti-Neoplastic Chemotherapy-Related Adverse Events Reported to the Korean Pharmacovigilance Regional Network. Korean J Med. 2013;85(4):385-395. (Korean) 

  3. Benson AB 3rd, Ajani JA, Catalano RB, Engelking C, Kornblau SM, Martenson JA Jr, et al. Recommended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treatment-induced diarrhea. J Clin Oncol. 2004;22(14):2918-2926. 

  4. Kim BK, Park SC. Two Cases of Stage IV Colorectal Cancer Patients by Combined Treatment of Rhus Vernifciflua Stokes Decoction and Chemotherapy. J of Kor. Traditional Oncology. 2011;16(2):63-70. (Korean) 

  5. Lee WC, Shin KS. A Case of Metastatic Brain Tumor Originated from Lung Cancer treated by Oriental Medicine. J. of Kor. Oriental Oncology. 1999;5(1):151-158. (Korean) 

  6. Jerng UM, Kim HM, Jeong JS, Lee JS, Kim KS, Yoon SW. A Case Report of Regressed Metastatic Brain Tumors and Prolongation of Life with Allergen Removed Rhus verniciflua Stokes after Gamma Knife Radiosurgery. J Korean Oriental Med. 2009;30(5):157-162. (Korean) 

  7. Kang TH, Won JH. Clinical Study on 1 Case of Patient with Astrocytoma. J. of Kor. Oriental Oncology. 2000;6(1):181-188. (Korean) 

  8. Yang JN, Yoon YJ, Hong JW, Han CW, Kwon JN, Lee I, et al. Case Report on Long Term Survival of Glioblastoma Patient Treated with Integrative Medicine. J Korean Med. 2018;39(1):75-85. (Korean) 

  9. Lewis SJ, Heaton KW. Stool form scale as a useful guide to intestinal transit time. Scand J Gastroenterol. 1997;32(9):920-924. 

  10. Kim HS, Choi JE, Yoo HS. The Effectiveness of Gargling Hwangryunhaedok-tang on Chemotherapy-Induced Stomatitis. J of Kor. Traditional Oncology. 2011;16(1):1-14. (Korean) 

  11. Kim JY, Kim JY, Kim NS, Kim SJ, Munkhgerel Oyungerel, Kim YS, et al. Review on Clinical Trials of Chemotherapy Induced Toxicity with Acupuncture in PubMed Databas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2013;30(2);43-53. 

  12. Hwang MW, Park HS, Lee EJ.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Soeumin Diseas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Greater Yin Symptomatology. J Sasang Constitut Med. 2014;26(1):45-54.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