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전지역 남자 초등학생의 음식기호도와 체격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Food Preference and Body Size in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Boys in Daejeon Cit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1 no.2, 2002년, pp.315 - 321  

정영진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장일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대전시 초등학교 5학년 남학생 198명을 대상으로 체격에 따른 기호도의 타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상체 중군에서 밥을 선호하는 비율은 63.3%로서 저 체중군(34.9%) 과 과체중군(33.3%)에 비해 거의 2배 가량 높았다(p<0.001). 2) 조리방법중 튀김에 대한 선호율은 저체중군이 58.1%로 가장 높았고 과체중군이 48.6%로 정상군의 46.0%와 비슷한 정도로 나타나, 이상적 체형의 인지나 비만에 대한 사회적 불명예 같은 심리적, 사회적 요인이 식품기호도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3) 단맛, 짠맛, 신맛, 쓴맛, 매운 맛의 다섯가지 기본미에 대한 선호도가 체격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전체 조사대상자에서는 단맛(33.2%)보다 매운맛(56.5%)에 대한 선호비율이 높았으며 , 과체중군은 정상군에 비 해 단맛 선호비율이 높고 짠맛 선호율은 낮았다. 4) 17개 음식 군들의 기호도 점수 비교분석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내는것은 없었으나 가장 높은 기호도점수를 보인 음식 군은 과체중군에서는 11개 음식군(음료류, 빵류, 우유류, 과자류, 구이류, 튀김류.전류, 찜류, 볶음류, 김치류, 무침.나물류, 장아찌류), 정상군은 6개 음식군(국수류, 떡류, 찜류(과체중군과 동일), 밥류, 탕.국.찌개류, 조림류), 저체중군은 유일하게 과일류가 각기 세군 중 상대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가장 낮은 기호도를 나타낸 군은 과체중군은 2개군(떡류, 조림류)에서, 정상군은 3개군(과일류, 과자류, 구이류)에서, 저 체중군은 그 나머지 인 12개군(음료류, 빵류, 우유류, 튀김.전류, 국수류, 찜류, 곡류, 볶음류, 탕.국.찌개류, 김치류, 무침 .나물류, 장아찌류)에서 가장 낮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과체중군의 경우 단음식, 고지방.고단백등의 고열량 음식뿐 아니라, 저 열량음식 등 다양한 식품군에서 다른 군에 비해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반면 저체중군은 과체중군과 정반대로 음식에 대한 기호도가 전반적으로 낮았다. 5) 전체조사대상 음식들의 기호도를 비만도에 따라 선호음식 10위, 싫어하는 음식 10위를 조사한 결과 선호음식의 경우 저체중군과 정상군의 경우 순위는 달랐지만 10위에 선별된 음식들이 주로 과 (수박, 귤, 딸기, 복숭아, 바나나, 포도, 사과)과 음료수(사이다, 환타) 등 열량밀도가 낮고 수분함량이 높은 식품인 반면 과체중군은 햄버거, 돈까스, 튀김 만두, 샌드위치, 쇠고기 및 돼지고기 구이 등이 선호음식 10위내에 포함되어 정상군이나 저체중군보다 고지방.고단백 음식들의 기호도가 과체중군에서 높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focused on identifying the difference of food preference according to body size of elementary school boys in Daejeon city. In order to measure the food preference, the degree of liking by means of a 5-point Hedonic scale was asked to 198 boys of 5th grade from six schools throughout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여아에 비해 비 만율은 월등히 높고 결식률, 과식 률, 간식섭취률이 높을 뿐 아니라, 식사의 규칙성, 식사속도, 영양적 식사에 대한 식태도 및 영양지식 점수는 더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남아들을 택해(14T7) 정상체중자와 과체중자의 기 호도의 차이를 밝힘으로써 남자학동들이 장차 건강한 성 인기를 보낼수 있도록 바람직한 식습관을 형성 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가설 설정

  • Percent distribution of taste preference by body size.1,

    1) Nobody preferred bitter tast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xter SD, Thompson WO, Davis HC. 2000. Fourth-grade children's observed consumption of, and preferences for school lunch foods. Nutrition Research 20: 439-443. 

  2. Einstein A, Hornstein I. 1970. Food preference of college student and nutritional implication. J Food Science 35: 429. 

  3. Rolls BJ, Kin-Harris S, Fischman MW, Foltin RW, Moran TH, Stoner SA. 1994. Satiety after preloads with different amounts of fat and carbohydrate: implications for obesity. Am J Clin Nutr 60: 476-487. 

  4. Rolland-Cachera MF, Deheeger M, Akrout M, Bellisle F. 1995. Influence of macronutrients on adiposity development: a follow up study of nutrition and growth from 10 months to eight years of age. Int J Obes 19: 573-578. 

  5. Contento IR, Michela JL, Williams SS. 1995. Adolescent food choice criteria: Role of weight and dieting status. Appetite 25: 51-76. 

  6. Crystal, S, Frye CA, Kanarer RB. 1995. Taste preferences and sensory perceptions in female varsity swimmers. Appetite 24: 25-36. 

  7. Fieldstone A, Zipf WB, Schwartz HC, Berntson GG. 1997. Food preferences in Prader-Willi syndrome, normal weight and obese controls. Int J Obese Relat Disord 12: 1046-1052. 

  8. Laurent-Jaccard A, de Matteis L, Hofstetter JR, Schutz Y. 1994. Are food preferences affected by body mass index, age, sex or tobacco? Schweiz Med Wochenschr 23: 2039-2041. 

  9. Drewnowski A, Holden-Wiltse J. 1992. Taste responces and food preferences in obese women: effects of weight cycling. Int J Obese Relat Metab Disord 16: 639-648. 

  10. Perl MA, Mandic ML, Primorac L, Klapec T, Perl A. 1998. Adolescent acceptance of different foods by obesity status and by sex. Physiology & Behavior 65: 241-245. 

  11. Drewnowski A. 1985. Food perception and preferences of obese adult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nt J Obese 9: 201-212. 

  12. Lee SS. 2001. The effect of taste preference on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nutrient intakes in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6: 103-138. 

  13. Kim CI, Park YS, Chun HJ. 1998. Characteristics and discriminant analysis of the food preferenses of rural obese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 810-817. 

  14. Lee NS, Lim, YS, Kim BL. 1997. The study on the food habits and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 187-196. 

  15. Kim HA, Kim EK. 1994. Prevalences of hypertension and obesity of children in Kangnung. Korean J Nutrition 27: 460-472. 

  16. Lee JY, Lee LH. 1986. Prevalence of obesity in school children from various housing pattern in Seoul. Korean J Nutrition 19: 409-419. 

  17. Moon HN, Hong SJ, Suh SJ. 1992.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 Nutrition 25: 413-418. 

  18. Moon HN, Hong SJ, Suh SJ. 1992.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 Nutrition 25: 413-418. 

  19. Nutrition Information Center. 1998. Nutrient database in Korean dishe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20. Lee JK, Kang WM, Kim SI, Chung YJ. 2001.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Daejeon city. Chungnam J Human Ecology 13: 23-39. 

  21. You JS, Choi YJ, Kim IS, Chang KJ, Chyun JH. 1997. A study on prevalence of obesity, eating habits and life styles of 5th grade students in Inch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 13-22. 

  22. Lee H. 1998. A study of the dietary habits and food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Pocheon-Gu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 818-829. 

  23. Ky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1997. Kyonggi Statistical year book. p 50. 

  24. Chung HK, Park SS, Chang MJ. 1995. Sugar intake and dietary behavior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school lunch program. Korean J Dietary Culture 10: 107-118. 

  25. Chung YJ, Han JI. 2000. Prevalence of obesity, living habits and parent's characteristics of 5th grade elementary school boys in Taejon city. Korean J Nutrition 33: 421-428. 

  26. Diehl JM. 1999. Food preferences of 10- to 14-year-old boys and girls. Schweiz Med Wochenschr 129: 151-1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