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벌꿀의 항균 활성
Antibacterial Activities of Honeys on the Staphylococcus aureu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15 no.2, 2002년, pp.158 - 164  

백승화 (도립 충북과학대학 식품생명과학과) ,  정동현 (한국양봉농업협동조합)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벌꿀이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국내산 벌꿀인 밤꿀, 잡화, 아카시아, 재래종 벌꿀과 외국산 벌꿀인 마누카, 클로버, 캐놀라 벌꿀 그리고 인공벌꿀을 각각 12.5%, 25.0%, 50%의 희석액으로 조제하여 catalase무첨가 또는 첨가한 경우에 있어서 벌꿀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을 agar well diffusion assay로 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atalase 무첨가의 경우 12.5%희석한 벌꿀은 마누카꿀 > 밤꿀이, 25.0%로 희석한 벌꿀은 마누카 꿀 > 밤꿀 > 잡화꿀 > 재래종꿀 > 클로버 꿀 > 아카시아꿀이, 50.0%로 희석한 벌꿀은 마누카꿀 > 밤꿀 > 캐롤라꿀 > 재래종꿀 > 잡화꿀>클로버꿀 > 아카시아꿀 순으로 항균활성이 인정되었다(p>0.01). Catalase 무첨가의 경우 12.5%, 25.0%, 50.0%로 희석한 벌꿀의 생육억제환은 각각 5.85∼6.60mm, 4.26∼8.27 mm, 5.24∼11.49mm 범위였다. Catalase 첨가의 경우 12.5%로 희석한 벌꿀은 마누카꿀에서 만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25.0%로 희석한 벌꿀은 마누카꿀이 밤꿀보다 항균활성이 더 높게 나타냈다.(p > 0.01). 50.0%로 희석한 벌꿀은 마누카꿀 > 밤꿀>클로버꿀)캐롤라꿀>재래종꿀 순으로 항균활성이 높았으며 마누카꿀, 밤꿀, 클로버꿀, 캐롤라꿀, 재래종꿀 사이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 > 0.01). Catalase 첨가의 경우 12. 5%, 25.0%, 50.0%로 희석한 벌꿀의 생육억제환은 각각 5.89mm, 5.01∼6.84mm, 3.10 ∼8.28mm범위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for the investigation the effect of honey on antibacterial activity. The experimental honey were used the domestics, or chestnut honey, multiflower honey, acassia honey, native honey and the foreign, or manuka honey, clover honey, canola honey, and the artificial honey, made wi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벌꿀이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국내산 벌꿀인 밤꿀, 잡화꿀, 아 카시아꿀, 재래종 벌꿀과 외국산 벌꿀인 마누카꿀, 크로버꿀, 캐놀라 벌꿀을 12.5%, 25%, 50% 수용액으로 각각 조제하여 catalase 무첨가 또는 첨가한 경우 벌꿀 의 Staphylococcus asezzs에 대한 항균활성을 agar well diffusion assay로 측정한 결과를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Gunther, R. T. : (Reprinted) The Greek Herbal of Dioscorides, Hafner, New York 

  2. Sackett, W. G. : Honey as a carrier of intestinal diseases. Bull. Colo. St. Univ. Agric. Exp. Stn., No. 252(1919) 

  3. Dold, H., Du, D. H., and Dziao, S. T. : Nachweis antibakterieller, hitze-und lichtemp-findlicher Hemmungssoffe(inhibine) im Naturhonig Blutenhonig Z. Hyg. Infekt. Krankh., 120, 155-167(1937) 

  4. White, J. W., Mary, J. R., Subers, H. and Schepartz, A. I. : The identification of inhibine, the antibacterial factor in honey as hydrogen peroxide and its orgin in a honey glucose-oxidase system, Biochim. Biophys. Acta., 73, 57-70(1963) 

  5. White. J. W. and Subers, M. H. : Studies of honey inhibine, 3. The effect of heat. J. Apic. Res., 3, 454-450(1964) 

  6. Dustmann, J. H. : Ueber den Einfluss des Lichtes auf den peroxid-Wert des Honigs, Z. Lebensm., Unters. Forsch., 148, 263-268(1972) 

  7. Molan, P. C. :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honey. l. The nature of the antibacterial activity, Bee Wld., 73, 15~28(1992) 

  8. Willix, D., Molan, P. C. and Reid, G. M. : A comparison of the sensitivity of wound infecting species of bacteria to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Manuka honey and other honey, J. Appl. Bacteriol., 73(5) 388-394(1992) 

  9. Molan, P. C. and Russel K. M. : Non-peroxide antibacterial activity in some New Zealand Honeys, J. Apic. Res., 27(1) 62-67(1988) 

  10. Molan, P. C., Smith, I. M. and Reid, G. M. : A comparison of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some New Zealand Honeys. J. Apic. Res., 27(4) 252-256(1988) 

  11. Russell, K. M. et al. : Identification of some Antibacterial constituents of New Zealand Manuka Honeys, J. Agric. Food Chem., 38, 10-13(1990) 

  12. Allen, K. L., Molan, P. C. and Reid, G. M. : A Survey of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some New Zealand Honeys, J. Pharm. Pharmacol., 43, 817-822(1991) 

  13. Molan, P. C. and Allen, K. L. : The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honey, J. Pharm. Pharmacol., 48, 1206-1209(1996) 

  14. Bogdanov, S. : Non-peroxide antibacterial activity of honey, Bee products, New York, 39-47(1996) 

  15. Wahdan, H. A. : Causes of the antibacterial activity honey, Infection, 26(1) 26-30(1998) 

  16. Weston, R. J. et al. : Antibacterial phenolic components of New Zealand Manuka Honey, Food Chem., 65, 295-301(1999) 

  17. Dustmann, J. H. : Antibacterial eggect honey. Apiacta. 14, 7-11(1979) 

  18. Morse, R. A. : The antibiotic properties of honey. Panpacific Entomologist. 62, 370-371(1986) 

  19. Hawer, W. D., Ha, J. H., and Nam, Y. J. : The Quality Assessment of Honey by Stable Carbon Isotope Analysis. Analytical Sci. & Techn., 5, 229-234(1992) 

  20. Adcock, D. : The effect of catalase on the inhibine and peroxide values of various honeys. J. Apic. Res., 1, 38-40(1962) 

  21. Echigo, T. : Honey, Honeybee Sci., 5(4) 167-176(1984) 

  22. Effem, S. E. E. : Clinical observation on the wound healing properties of honey. Br., J. Surg., 75, 679-681(1988) 

  23. Gupta, S. K., Singh, H., Varshney, A. C. and Parkash, P. : Therapeutic efficacy of honey in infected wounds in buffaloes, Ind., J. Anim., Sci., 62(6) 521-523(1992) 

  24. Subrahmanyam, M. : Tropical application of honey in treatment of burns, Br., J. Surg., 78(4), 497-498(1991) 

  25. Subrahmanyam, M. : Honey-impregnated gauze versus amniotic membrane in treatment of burns. 20(4) 331-333(1994) 

  26. Molan, P. C. : The antibacterial properties of honey, Chem. New Zealand, July, 10-14(1995) 

  27. Weston, R. J. : Identification and quantiative levels of antibacterial components of some New Zealand Honeys, Food Chem., 70, 427-435(2000) 

  28. Martos, I. Fereres, F. and Thomas-Barberan, F. A. : Identification of flavonoid markers for the botanical origin of Eucalyptus honey, J. Agric. Food Chem., 48, 1498-1502(2000) 

  29. Andrade, P. : Determin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honeys with different floral origin by capillary zone electrophoresis, Food Chem., 62, 79-84(1997) 

  30. Martos. I. Francisco, A. and Tomas-Barberan, F. A. : Flavonoid composition of Tunistan Honeys and propolis, J. Agric. Food Chem., 45, 2824-2829(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