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속주의 품질평가와 Lumitester를 이용한 생균수 측정
Quality Assessment of Traditional wine and viable cell count by Lumitester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2 no.3 = no.52, 2002년, pp.363 - 368  

류충호 (경상대학교 의용화학식품공학부·농업생명과학원) ,  김태완 (경상대학교 의용화학식품공학부·농업생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민속주의 품질평가를 위해 민속주 31종을 대상으로 에탄을 함량, pH, 산도, 총당 및 환원당의 함량과 같은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민속주의 ATP함량은 lumitester로 측정하여 생균수와 비전하였다. 민속주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아래와 같이 확인되었다.; pH는 3.59~4.79 였고 총 산도는 4.23~16.21이였으며 총당과 환원당의 함량은 각각 0.04 ~1.13, 0.006 ~ 0.999 g/100 mL로 나타났고 ATP함량은 $10^1$~$10^{6}$ RLU범위에서 관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the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wine, 31 different type of wine were selected and examined for the following properties; ethanol contents, pH, acidity, total sugar contents, reducing sugar contents. In addition ATP contents of traditional wines were measured using lumitester and the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알콜 함량이 높고 저장성이 좋은 소주류를 제외한 시판중인 민속주 31종을 대상으로 주정분, pH, 산 도, 총당 함량, 환원당 함량 등의 이화학적인 특성을 규명하여 민속주의 품질을 표준화와 과학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고 Lumitester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함 으로써 품질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 18 322 1990 

  2. Korean J. Food Sci. Technol 18 88 1986 

  3. J. Korean Agric Chem. Soc 39 338 1996 

  4.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272 1992 

  5. Korean J. Anim. Sci 27 782 1985 

  6. Korea J. Appl. Microbiol. Bioeng 7 217 1971 

  7. J. Korean Agric. Chem. Soc. 30 264 1987 

  8. J. Korean Agric. Chem. Soc 30 272 1987 

  9. J. Korean Agric. Chem. Soc 10 69 1968 

  10. J. Korean Agric. Chem. Soc 9 59 1968 

  11. J. Korean Agric. chem. Soc 4 33 1963 

  12. J. Korean Soc. Food Sci. Nutr 15 213 1972 

  13. Korean J. Dietary Culture 11 497 1996 

  14.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391 1993 

  15. J. Korean Agric Chem. Soc 17 81 1974 

  16. Korean J. Vet Res 29 383 1989 

  17.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44 1991 

  18.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30 1996 

  19.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 78 1994 

  20. J. Korean Agric Chem. Soc 30 323 1987 

  21. Korean J. Dietary Culture 9 355 1994 

  22. Korean J. Dietary Culture 9 341 1994 

  23.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789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