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조 및 염 환경에 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는 명아주과 식물의 염 및 무기 영양 농도에 다른 생리적 적응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염습지에 널리 분포하는 칠면초(Suaeda japonica), 퉁퉁마디(Salicornia herbacea) 및 채소로 재배되는 근대(Beta vulgaris var. 챠침)를 재료로 하여 염 농도 (0, 50, 100, 200, 400 mM NaCl) 및 무기 영양염 농도(Hoagland 용액의 1/1, 1/5, 1/10배액)를 달리하여 식물의 엽생장과 질소, 무기 이온, 전기 전도도 및 삼투조절물질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3종 명아주과 식물은 무기영양 및 염의 농도변화에 대해 식물체에 상당량의 염을 축적하였으며, 높은 내염성 기구를 통해 400 mM NaCl 처리에서도 현저히 생장을 촉진하는 호염성의 퉁퉁마디와 200 mM NaCl 처리까지 약간의 생장 촉진을 보이는 근대 및 높은 내염성을 가지면서 50 mM NaCl 이상 처리구에서 약간의 생장 저해를 보이는 칠면초의 세가지 염내성의 종 특성을 보였다. 무기이온의 동태에 있어서 3종 식물은 무기 영양 및 염 농도와 무관하게 체내에 소량의 수용성 Ca을 함유하였고(<10μM/g plant water), K이온은 염 농도가 증가함에 다라 다소 감소하였으며, Na+과 Cl-은 배지의 무기 영양과는 무관하게 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였다. 총 질소 함량은 무기 영양 및 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전기 전도도와 삼투몰농도는 무기영양보다 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Glycinebetaine과 proline의 함량은 각각 0.2∼2.5 μM/g plant water와 0.1 ∼ 0.6 ㎛M/g plant water였고, 50mM NaCl 처리구에서 최대치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ee species of Chenopodiaceae, i.e. Suaeda japonica, Salicomia herbacea, Beta vulgaris var. cicla, were investigated to compare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rough inoic balances and osmoregulations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salt gradients. Plats were harvested in two weeks from treat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해안 염습지에 우점하는 명아주과의 칠면초, 퉁둥마디와 채소인 근대에 대하여 염 환경하에서 무기 영양 농도가 변함에 따라 생육과정에서 양이온과 음이온의 평 형패턴의 변화와 질소량의 변화를 정량화하고, 삼투몰농도 및 조절물질인 glycinebetaine과 proline의 변화 패턴을 정량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lam, S.M. 1994. Nutrient uptake by plants under stress conditions In Handbook of Plant and Crop Stress (Pessarakli, M. ed.). Marcel Dekker, New York. pp. 227-246. 

  2. Ashraf, M.R., Z.U. Noor Zafar and M. Mujahid. 1994. Growth and ion distribution in salt stressed Melilotus indica (L.) ALL. and Medicago sativa L. Flora 189: 207-213. 

  3. Bernstein, L. 1975. Effects of salinity and sodicity on plant growth. Amer. Rev. Phytopathol. 13: 295-312. 

  4. Boursiner, P. and A. Lauchli, 1990. Growth responses and mineral nutrient relations of salt-stressed Sorghum. Crop Sci. 30: 1226-1233 

  5. Breckle, S.W. 1990. Salinity tolerance of different halophyte types. In N. Bassam and M. Dambroth, (eds.), Genetic Aspects of Plant Mineral Nutri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pp. 167-175. 

  6. Chavan, P.D. and A. Karadge. 1990. Influence of sodium chloride and sodium sulfate salinization on photosynthetic carbon assimilation in plant. Plant Physiol. 56: 201-207. 

  7. Choo, Y.S. 1995. Mineral metabolism and organic solute pattern in Carex species of Austria - An Ecophysiological Approach. Ph. D Thesis, University of Vienna. pp. 1-339. 

  8. Davenport, R.J., R.J. Reid and F.A. Smith. 1997. Sodium-calcium interactions in two wheat species differing in salinity tolerance. Physiol. Plant. 99: 323-327. 

  9. Hanson, A.D., J. Rivoal, M. Burnet and B. Rathinasabapathi. 1995. Biosynthesis of quaternary ammonium and tertiary sulphonium compounds in response to water deficit. In N. Smirnoff (ed.), Environment and Plant Metabolism. Bios Scientific Publishers, Oxford. pp. 189-198. 

  10. Huetterer, F. and R. Albert. 1993. An ecophysiological investigation of plants from a habitat in Zwingendorf (Lower Austria) containing Galuber's salt. Phyton 33: 139-168. 

  11. Kinzel, H. 1989. Calcium in the vacuoles and cell wall of plant tissue. Flora 182: 99-125. 

  12. Lee, J.S. and B.S. Ihm. 1986. The strategies of Salicornia herbacea and Suaeda japonica for coping with environmental fluctuation of salt marsh. Kor. J. Ecol. 4: 15-25. 

  13. Pollak, J. and R. Albert. 1990. Phys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Boraginaceae with regard to their ecological status, Flora 184: 151-168. 

  14. Reimann, C. and S.W. Breckle. 1988. Salt secretion in some Chenopodium species. Flora 180: 289-296. 

  15. Reimann, C. and S.W. Breckle. 1993. Sodium relation in Chenopodiaceae, a comparative approach. Plant, Cell and Environment 16: 323-328. 

  16. Schachtman, D.P. E.S. Lagudah and R. Munns. 1992. The expression of salt tolerance from Triticum tanchii in hexapoid wheat. Theoretical and Applied Genetics 84: 714-719. 

  17. Szabolcs. I. 1989. Salt- Affected Soils. CRC Press, Boca Raton, FL. pp. 120-143. 

  18. Wyn Jones, R.G. and R. Storey. 1981. Betaines. In Paleg, L.G. and D. Aspinall, (eds.), Plant and Biochemistry of Drought Resistance in Plants Academic Press, Sydeny, Australia, pp. 121-1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