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깨가루와 통참깨로 착유한 참기름의 성분 비교
Comparison of Components of Sesame Oil Extracted from Sesame Flour and Whole Sesam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9 no.1, 2002년, pp.67 - 73  

김성호 (경북과학대학 첨단발효식품과) ,  김인호 (경북과학대학 전통식품연구소) ,  김정옥 (경북과학대학 전통식품연구소) ,  이기동 (경북과학대학 첨단발효식품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입 참깨가루로 제조한 참기름의 품질과 위생적 안정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통참깨와 참깨가루를 원료로한 참기름의 일반성분, 화학적 특성, 지방산, sesamol, sesamolin, sesamin 함량 및 AOM에 의한 유도기간 등을 비교 조사하였다. 일반성분 중 수분은 통참깨에 비해 참깨가루가 월등히 낮게 나타났으며, 단백질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참기름의 화학적 특성으로 산가와 검화가는 참깨가루가 통참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요오드가는 통참깨군보다 낮았다. 참기름의 지방산 조성에서 linolenic acid과 linoleic acid의 함량은 각각 222.44~144.14, 2713~1776.46 $\mu\textrm{g}$/mL이었고, linoleic acid와 ${\gamma}$-linoleic acid의 함량이 통참깨 참기름에 비해 참깨가루 참기름의 함량이 낮았다. Lignan 물질 중 sesamol 함량은 통참깨 참기름이 참깨가루 참기름보다 함량이 높았고, 인도산 통참깨 참기름의 sesamol 함량이 가장 높았다. Sesamin, sesamolin 함량은 한국만 통참깨 참기름이 가장 높았다. AOM에 의한 산화유도시간은 북한산, 중국산 참깨가루가 각각 6.67, 13.35 시간으로 나타나 통참깨군보다 산화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obtain the basal data far quality and sanitary stability of sesame oil extracted from imported sesame flours oil of whole sesame and flour sesame were investig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 chemical properties, fatty acid composition, sesamol, sesamolin, sesamin contents and oxidation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참깨가루를 수입하는 과정 중 영양소의 손실, 산패, 위생적 안정성 및 품질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참깨로 제조한 참기름과 참깨가루로 제조한 참기름에 대한 일반성분, 화학적 특성, 색도, sesamol, sesamin, sesamolin 및 지방산 조성 등을 비교 . 분석함으로써 원료의 전처리상태에 따른 참기름의 품질과 그 안정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시진 (1980) 문헌 목초강목, 고문사, p.827 

  2. Fukuda. Y. (1996) History and science of sesame, Study of Traditional Food, 17, p.9-14 

  3. Kang, M.H., Naito, M., Kawai, Y. and Osawa, T. (1999) Antioxidative effects of dietary defatted sesame flour in hypercholesterolemia rabbits, J. Nutr., 129, 1111-1119 

  4. Kang, M.H., Naito, M., Sakai, K., Uchida, K. and Osawa, T. (2000) Action of mode sesame lignans in protection low-density lipoprotein against oxidative damage in vitro. Life Sciences, 66, 161-171 

  5. Hirata, F., Fujaita, K., Ishikura, Y., Hosoda, K., Ishikawa, T. and Nakamura, H. (1996)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sesame lignan in humans. Atherosclerosis, 122, 135-136 

  6. 박원기 (1991) 한국식품사전, 신광출판사, p.64 

  7. El, Hafidi, M., Valdez, R. and Banos, G. (2000)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altered fatty acid composition of serum, platelets, and aorta and hypertension induced by sugar feeding in rats. Clin. Ex. Hypertens., 22, 99-108 

  8. 서정희, 정윤희, 이기동, 권중호 (1998) 참기름의 옥배유 혼합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및 산화안정성 비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3, 24-28 

  9. Beroza, M. and Kinman, M.L. (1955) Sesamin, sesamolin, and sesamol content of the oil of sesame seed as affected by strain, location frown, ageing, and frost damage. J. Am. Oil Chem. Soc., 32, 348-353 

  10. 강명화, 류수노, 방진기, 강철환, 김동휘, 이봉호 (2000) 국내산과 국외산 참깨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9, 188-192 

  11. 신승렬, 김경태, 송준희 (1997) 참깨 종류에 따른 참기름의 이화학적 특성.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4, 287-293 

  12. 김현위 (2000) 볶음 온도에 따른 참기름의 항산화성분 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32, 246-251 

  13. 강명화, 오명규, 방진기, 김동휘, 강철환, 이봉호 (2000) 국내 참깨 품종의 리그난 함량 및 지방산 조성. 한국작물학회지, 45, 203-206 

  14. 서정희, 김제란, 이기동, 권중호 (1996) 한국산 및 중국산 참깨로부터 착유한 참기름의 주요성분 비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1, 215-220 

  15. 이영근 (1992) 참깨종실의 가열처리에 의한 참기름의 향미 성분 형성과 품질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한진숙, 문수연, 안승요 (1997) 정제공정이 참기름의 항산화 물질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29, 15-20 

  17.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9-202 

  18. 식품영양과학회 편 (2000) 식품영양실험핸드북. 효일출판사, 서울, p.159-160 

  19. 하재호, 김동훈 (1996) 볶음온도와 시간을 달리하여 얻은 참깨박의 이화학적인 특성 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28, 246-252 

  20. A.O.C.S (1990) Official and Tentative Methods of the American Oil Chemist Society. Official Method Ca 5a-40, Champaign, IL., U.S.A. 

  21. A.O.C.S (1990) Official and Tentative Methods of the American Oil Chemist Society. Official Method Cd 3-25, Champaign, IL., U.S.A. 

  22. A.O.C.S (1990) Official and Tentative Methods of the American Oil Chemist Society. Official Method Cd 1-25, Champaign, IL., U.S.A. 

  23. Tarladgis, B.G., Watts, B.M. and Yunathan, M.T. (1960) A distillation metho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malonaldehyde in ranced foods. J. Am. Oil Chem., 37 

  24. Laubi, M.W. and Bruttel, P.A. (1986) Determination of the oxidative stability of fats and oils, Comparison between the active oxygen method (AOCS Cd 12-57) and the rancimat method. J. Am. Oil Chem. Soc., 63, 792-795 

  25. 최춘언 (1999) 참깨 과학의 새로운 전개와 영양생리 약리 기능성의 새로운 전개. 참깨 그 과학과 기능성. p.1-51 

  26. 한국식품공업협회 (2000) 식품공전. 8. 식용유지류, p.22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