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study, nutrient intake status and energy expenditure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in a rural community. The results obtained by questionaries, the 24 hour recall method, and time-diary were as follows: The elderly men surveyed were 73.8 years old, on the...
In this study, nutrient intake status and energy expenditure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in a rural community. The results obtained by questionaries, the 24 hour recall method, and time-diary were as follows: The elderly men surveyed were 73.8 years old, on the average. The elderly women surveyed were 73.5 years old, on the average.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with diseases was 51.9%. Most of the subjects (86.1%) had a regular meal pattern of consuming three meals a day. The average daily energy intake of the rural elderly was much lower than the Korean RDA. The dietary assessment data showed that each energy intake of the males and the females was 79.5% and 84.3% of the RDA, respectively. The dietary intake of Ca, Fe, niacin, thiamin, and riboflavin was lower than the Korean RDA, and that of P and Vitamin C was adequate. The Fe intak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spect to age and sex (p < 0.05). Although, in both elderly men and elderly women it decreased with age, the elderly men's intake was lower than the elderly women's. The heights of the elderly men and the elderly women was 159.7 cm and 147.5 cm, respectively, and the weights were 60.0 kg and 52.2 kg, respectively, and the BMI was in the moderate range. Height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ge (p < 0.05). According to daily living schedules, leisure time (11.0 hour) was the longest, physiological time (9.6 hours) was next, and work time (3.4 hours) was the shortest. Energy expenditu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ge (p < 0.01). Energy intake also decreased with aging. Energy balance (energy expenditure/energy intake) was 93.4% in elderly men and 104.0% in elderly women. Especially, in elderly men in the 65 to 74 age range, the energy balance was the lowest, and the nutrient intake was also much lower than that of elderly women.
In this study, nutrient intake status and energy expenditure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in a rural community. The results obtained by questionaries, the 24 hour recall method, and time-diary were as follows: The elderly men surveyed were 73.8 years old, on the average. The elderly women surveyed were 73.5 years old, on the average.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with diseases was 51.9%. Most of the subjects (86.1%) had a regular meal pattern of consuming three meals a day. The average daily energy intake of the rural elderly was much lower than the Korean RDA. The dietary assessment data showed that each energy intake of the males and the females was 79.5% and 84.3% of the RDA, respectively. The dietary intake of Ca, Fe, niacin, thiamin, and riboflavin was lower than the Korean RDA, and that of P and Vitamin C was adequate. The Fe intak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spect to age and sex (p < 0.05). Although, in both elderly men and elderly women it decreased with age, the elderly men's intake was lower than the elderly women's. The heights of the elderly men and the elderly women was 159.7 cm and 147.5 cm, respectively, and the weights were 60.0 kg and 52.2 kg, respectively, and the BMI was in the moderate range. Height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ge (p < 0.05). According to daily living schedules, leisure time (11.0 hour) was the longest, physiological time (9.6 hours) was next, and work time (3.4 hours) was the shortest. Energy expenditu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ge (p < 0.01). Energy intake also decreased with aging. Energy balance (energy expenditure/energy intake) was 93.4% in elderly men and 104.0% in elderly women. Especially, in elderly men in the 65 to 74 age range, the energy balance was the lowest, and the nutrient intake was also much lower than that of elderly wome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는 일斗 농촌지역 노인들의 영양섭취 상태와 활동량을 측정하고 힌재 농촌지역 노인들이 활동량과 비교해서 적절한 영양& 시취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건강상태에 관한 항목을 포함하였으며 , 조사원들의 개변면담으로 실시되었다. 일반사항은 성, 연령, 교육수준, 가족구성, 배우자 유무, 현사 하는 일의 유무를 조사하였고, 건강상태에 관해서는 주관적 건강상태, 질병보유 유무, 음주 및 흡연실태를 조사하였다.
대상자들의 신장과 체증을 측정하였고, 비만도를 판정하기 위한 신체지수로 신상과 체중을 이용하여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 = kg/m*2 ) 31를 계산하였다.
신장은 맨발로 신장계에 울라서게 한 후 곧은 자세로 시선은 앞을 향하게 하여 측정하였으며, 제중은 체중계에 올라서서 차렷 자세를 취하게 한 후 측정하였다. BMI는 WHO (1997)의 기준에 따라 18.
측정자 간의 측정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한 시람이 동일한 신장계와 체중계로 감은 측정을 계속하였다:
평균 영양소 섭취량을 평가하기 위해 영양사 면허를 소지하고 있는 사전에 훈련된 조사원과 연구자가 24시간 회상법(24 hour dietary recall method)으로 섭취한 음식과 식품의 종류와 양을 조사하였고, 이로부터 얻은 조사자료는 영양평가 프로그램(CAN-Pro;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for Professionals, 한국영양학회 1998)을 이용하여 1일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였다. 평균 영양소 섭취량의 영양 적정도는 한국인 영양권장량(한국영양학회 2000)에 대한 1일 영양소 섭취량의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4) 활동량 조사
사람에 있어서 활동량 측정, 즉 에너지 소비량 평가는 직접 열량측정법 (direct calorimetry) 과 간접 열량측정법 (indi- rect calorimetry) 등을 사용한 정확한 방법들이 있으나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 집단의 특성과 현지 실행의 한계성 때문에 다소 간편한 방법인 24시간 생활기록으로 평가하였다. 평소의 하루일과를 회상하게 하여 하루 동안의 생활기록표(time-diary)를 작성하였고, 노인들의 생활시간을 생활행동에 준해서 수면, 식사, 몸치장, 목욕 등의 생리 시간(1차 활동)과 직장근무, 집안일 또는 공부 등의 노동시간(2차 활동), 그리고 휴식, 독서, 음악감상, 장기, 바둑 및 스포츠를 즐기는 일 등의 여가시간(3차 활동)으로 구분하여 조사한 일본의 국민생활 시간조사표를 활용하여 생활시간을 분류하였다(總務處長官官房老人對策室, 平成 5年).
평소의 하루일과를 회상하게 하여 하루 동안의 생활기록표(time-diary)를 작성하였고, 노인들의 생활시간을 생활행동에 준해서 수면, 식사, 몸치장, 목욕 등의 생리 시간(1차 활동)과 직장근무, 집안일 또는 공부 등의 노동시간(2차 활동), 그리고 휴식, 독서, 음악감상, 장기, 바둑 및 스포츠를 즐기는 일 등의 여가시간(3차 활동)으로 구분하여 조사한 일본의 국민생활 시간조사표를 활용하여 생활시간을 분류하였다(總務處長官官房老人對策室, 平成 5年). 1 일 활동량은 기초대사량, 활동을 위한 에너지 소모량 그리고 식품이용을 위한 에너지 소모량을 고려하여 계산하였다.
평소의 하루일과를 회상하게 하여 하루 동안의 생활기록표(time-diary)를 작성하였고, 노인들의 생활시간을 생활행동에 준해서 수면, 식사, 몸치장, 목욕 등의 생리 시간(1차 활동)과 직장근무, 집안일 또는 공부 등의 노동시간(2차 활동), 그리고 휴식, 독서, 음악감상, 장기, 바둑 및 스포츠를 즐기는 일 등의 여가시간(3차 활동)으로 구분하여 조사한 일본의 국민생활 시간조사표를 활용하여 생활시간을 분류하였다(總務處長官官房老人對策室, 平成 5年). 1 일 활동량은 기초대사량, 활동을 위한 에너지 소모량 그리고 식품이용을 위한 에너지 소모량을 고려하여 계산하였다. 기초대사량은 간이법으로 남자는 1.
샘왈.활동에 준해서 1차 활동시간(생리시간), 2차 활동 시간(노퉁시긴) 및 3차 활동시간(여가시간)으로 분류하였다. (ho (1997)의 연구에서순 생리시간(9.
설문조사는 일반사항과. 건강상태에 관한 항목을 포함하였으며 , 조사원들의 개변면담으로 실시되었다.
설문조사는 일반사항과. 건강상태에 관한 항목을 포함하였으며 , 조사원들의 개변면담으로 실시되었다. 일반사항은 성, 연령, 교육수준, 가족구성, 배우자 유무, 현사 하는 일의 유무를 조사하였고, 건강상태에 관해서는 주관적 건강상태, 질병보유 유무, 음주 및 흡연실태를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경상북도 성주군의 1개 보건진료소가 담당하고 있는 지역 노인 170명(남지노인 73명, 여자노인 97명) 을 대상으로 이동, 이주, 사망, 주소불명 등으론 누락된 노인과 와상노인 및 설문거부 노인을 제외한 재택노인 108 명(63.5%)을 대상으로 조사원이 직접 가정방문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는 1999년 12월 6일부터 12월 19일까지 2 주간 조사되었다.
5%)을 대상으로 조사원이 직접 가정방문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는 1999년 12월 6일부터 12월 19일까지 2 주간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농촌지역 노인들의 영양상태를 알아보고 1일 활동량과 비교해서 영양섭취가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농촌지역 재택노인 108명[남자노인 : 44명(40.7%), 여자노인 : 64명(59.3%)]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데이터처리
그룹 간 평균치비교는 t-test 또는 AN0VA 후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차이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모든 자료는 SAS 통계 package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나타냈으며, 그룹 간 빈도의 차이는 x2-test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룹 간 평균치비교는 t-test 또는 AN0VA 후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차이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론/모형
평균 영양소 섭취량의 영양 적정도는 한국인 영양권장량(한국영양학회 2000)에 대한 1일 영양소 섭취량의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섭취식품의 목측량(눈대중량)과 중량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식품섭취실태조사를 위한 식품 및 음식의 눈대중량(한국식품공업협회 식품연구소 1988)」 과 가정에서 사용하는 표준식기를 제시하여 섭취 내용을 확인하였으며 노화에 따른 단기 기억력 감퇴로 인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조사시 동거가족이나 배우자의 도움을 받았다.
9 kcal/kg/day로 계산하였고(Choi 등 2000), 여기에 에너지대사율(RMR, relative metabolic rate) 을 곱해주어 활동대사량을 구하였으며, 또한 식품이용을 위한 에너지(1일 필요 에너지의 약 10% 정도)도 고려하였다. 모든 종류의 활동에 대해서 소비되는 에너지는「활동별 에너지 대사량 표」의 자료(농촌진흥청 1994)를 기초로 하여 산출하였다.
성능/효과
결과에서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65- 74세의 초기 노인들에 있어서 40~50대 장년층의 성인들보다 그 정도의 차이는 보이지만 여전히 자신의 일을 가지고 많은 시간을 생산활% 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kcal이었으며 이는 Lee & Yoon (1991)의 연구와도 일치하는 부분으로 연령이 중가할수록 환동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전체 노인에 있어서 연녕이 1일 활동량에 가상 많은 영향을 주는 변수로 여겨지며, 남자노인에 있어서는 연령과 현재 노동여부에 따라서, 여자노인에 있어서는 연령과 현재 노동 여부와 배우자 유무에 따라서 활동량에서 유의한차이를 보였다(Table 5).
에너지균형도(섭취량/소비량)는 남녀노인 각각 93.4%와 104.0%로서 남자노인이 여자노인보다 활동량에 비하여 섭취량이 부족한 상태를 보였다. Lee & Yoon (1991) 은농촌지역의 여자노인과 도시지역의 여자노인의 에너지 균형 도를 비교하였는데 각각 91%와 100%으로 활동량이 많은 농촌지역 여자노인의 에너지균형도가 10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고 하였다.
Lee & Yoon (1991) 은농촌지역의 여자노인과 도시지역의 여자노인의 에너지 균형 도를 비교하였는데 각각 91%와 100%으로 활동량이 많은 농촌지역 여자노인의 에너지균형도가 10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고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여자노인의 에너지균형도는 104.0%로 활동량에 따라 충분한 에너지를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농촌지역 여자노인들은 에너지 소비와 섭취에 있어서 어느 정도 균형을 맞추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남자노인에서 에너지균형도는 연령별로 확연한 차이를 보였는데 65~74세 남자노인은 87.
65~74세군이 아주 낮은 균형도를 보였는데 이는 여자노인과 비교에서도 가장 낮았다(Table 5). 뿐만 아니라 에너지균형도에 영양 상태를 함께 고려해 보았을 때도 에너지균형도가 100% 미만이고 MAR이 0.75 미만인 영양상태 불량의 노인이 여자 노인에서는 연령별로 각각 39.0%와 39.1%였고, 남자 노인은 각각 55.6%와 35.3%로 영양상태와 열량이 전체적으로 부족한 노인이 65~74세 남자노인에서 가장 많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 볼 때 농촌 노인들은 대부분이 다소의 영양불량 상태에 있었고, 특히 농촌 지역노동력의 중요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리라 생각되는 65- 74세의 남자노인에서 에너지불균형과 영양불량이 심각하여 이에 대한 문제해결이 시급하며 그에 따른 영양적 지원에 대한 지역사회의 세심한 고려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Table 6).
비타민 및 무기질은 칼슘, 철분, 니아신,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이 권장량보다 낮게 나타났고, 인과 비타민 C는 양호한 섭취수준을 보였다. 철분은 성별 .
01), 1일 환동량은 남자노인이 1701.6 kcal, 여차” '?!«] 1392.2 kcal이었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의하 可 감:::하였고(p< 0.01), 남자노인어서는 연령과 현재 노돟이무에 따리서, 여자노인에서는 연령, 현재 노동여부 그리고 배우자 유무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에너지군형도 (섭취링/활동량)는 남자노인이 93.
후속연구
3%로 영양상태와 열량이 전체적으로 부족한 노인이 65~74세 남자노인에서 가장 많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 볼 때 농촌 노인들은 대부분이 다소의 영양불량 상태에 있었고, 특히 농촌 지역노동력의 중요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리라 생각되는 65- 74세의 남자노인에서 에너지불균형과 영양불량이 심각하여 이에 대한 문제해결이 시급하며 그에 따른 영양적 지원에 대한 지역사회의 세심한 고려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Table 6).
참고문헌 (52)
Cho BS, Kim DK, Lee SI, Cho BM, Kim YO, Koh KW (1995): A Study on Food Intake and Associated Factors of the Urban Poor Elderly. Korean J Preventive Medicine 23 (1): :59-72
Cho YH (1997): A Study on Living Activity Degree Living Time of the Elderly in kural Area.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1(1): 93-102
Cho YS, Yim HS (1986): The Nutrition and Health Survey of Aged People in a Rural Area II. Anthropometry, Blood Pressure, Blood Constituents, Diseases and Obesity Raie, Korean J Nutrition 19(6) : 382-391
Choi HM (2000): Nutrition, 2nd ed., Gyomoonsa, Seoul
Choi YH, Kim MS, Byun YS, Won JS (1990): Health Status of Elderly Persons in Korea. Korean Academic Nursing 20(3): 307
Chung KJ (1996): Practice and Success of Applied Nutrition Program in Korean Rura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 (1): 107-113
Chung MS, Kang KJ (1996): A Survey on the Health, Food Perceptions, and Food Habits of Urban Elderly Men- With Special Reference to Elderly Men in the Tap-gol Park -. J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11: 455-463
Chyun JII, Shin MW (1988): Nutritional Status in Healthy Elderly Korean from Urban Households. Korean J Nutrition 21 (1): 12-22
Dwyer J (1993): The elderly, In: Frankle RT, Owen AL, Nutrition in the Community, pp.230-235, Mosby-Year Book
Galanos AN, Pieper CF, Comoni-Hntley, Bales CW, Fillenbaum GG (1994): Nutrition and Function -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the functional capabilities of community dwelling elderly? J Am Geriatr Soc 42: 368-373
Goodwin JS (1989): Social, Psychological and Physical Factors Affecting the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Subjects - Separating Cause and Effect. Am J Clin Nutr 50: 1201-1209
Han KH (1999): Nutritional Status and Life Style Factors in Elderly Peopl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4 (2): 279-298
Han KH, Park DY, Kim KN (1998): Drug Consumption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in Chung-buk Area - II. Nutritional Status of Urban and Rural Elderly -.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 (2): 228-244
Han TS, Kim KN (1997):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in Cheongju - II. Anthropometric, Biochemical and Clinical Assessment -.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4): 568-577
Kang MH (1994):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Elderly People. Korean J Nutrition 27(6): 616-635
Kang NE, Kim WK (1996): The Effect of Nutrient Intake, Body Mass Index and Blood Pressure on Plasma Lipid Profiles in Elderly People. Korean J Gerontology 6 (1): 76-87
Kim KN, Lee JW, Park YS, Hyun TS (1997):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in Cheongju - 1. Health-Related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4) : 556-567
Kim KR, Lee SS, Kim MK, Kim C, Choi BY (1998): A Study on Nutrient Intakes and Related Factors for Women Aged Over 50 Years in a Rura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1): 62-75
Kim S (1996): A Survey on Current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M.S.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Koo JO, Park YJ, Kim JQ, Lee EH, Yoon HY, Son SM (1996):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from Low-Income, Urban Areas and Improving Effect of Meal Service on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 II. Biochemical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Statu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 (2): 215-227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1998): Social Indicators in Korea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1999): Population Projection by Age Group in Futur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1): Report on 1999 National Time Use Survey
Kwoun JH, Lee SK, Lee HK, Kim GJ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Chewing Ability and Nutritional Intake Status in the Elderly of Rural Communit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 (4): 583-598
Lee JH, Yoon JS (1991): A Study on the Physical Activity and Nutrients Intake in Elderly Women by Resident Type and Age Groups. Korean J Gerontology 1 (2): 142-150
Lee JW, Kim KA, Lee MS (1998): Nutritional Intake Status of the Elderly Taking Free Congregate Lunch Meals Compared to the Middle-Income Class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 (4): 594-608
Lee KW, Lee YM, Kim JH (2000):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Low-Income, Alone-Living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5(1): 3-12
Lee KW, Myung CO, Park YS, Narn HW, Kim EK (1995): Nutrition and Special Conditions, pp.330-343, Shinkwang Book Co., Seoul
Lee YJ (1988): Community Nutrition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Korean J Nutrition 21 (6): 369-387
Lee YK (1984): The Aged Health and Nutrition. J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4: 33-43
Maradee DA, Murphy SP, Neuhans JM, Lein D (1990): Living Arrangement and Dietary Quality of Older U.S. Adults. J Am Diet Assoc 90: 1667-167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9): Report on 199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Mo SM, Choi HM, Koo JO, Lee JW (1994):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pp.313-380, Hyo-II, Seoul
Munro HN (1982): Nutritional Requirements in the Elderly, Hospital Practice, Augus, pp.143-154
Murphy SP, Davis MA, Neuhaus JM, Lezin D (1998): Factors Influencing the Dietary Adequacy and Energy Intake of Older Americans. J Nutr Educ 22: 284-291
Park HR (1996): Current Nutritional Status by Different Age Group.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 301-322
Park HR (1997): Diet Guide for the Rural Elderly. Rural Life Science 18(3): 41-47
Park YS, Kim S, Park KS, Lee JW, Kim KN (1999): Nutrient Intake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4 (1) : 37-45
Park YS, Son BS (1999): Health Status and Related Physical and Dietary Factors of Korean Rural Elderly.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5 (1): 43-5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94): Energy Metabolic Rate and Activities
Schlenker ED (1998): Nutrition in aging, 3rd ed., WCB McGraw-Hill
Solomons NW (1992): Nutrition and Aging-Potentials and Problems for Research in Developing Countries. Nutr Reviews 50: 224-229
Son SM (1998): Nutritional Status and Intervention of Community Elderly. The Autumnal Symposium of Inha University
Son SM, Kim MJ (2001): Nutritional Status and Utilization of Public Health Center of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 (2): 218-226
Son SM, Park YJ, Koo JO, Mo SM, Yoon HY, Sung CJ (1996a):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From Low Income Urban Area and Improving Effect of Meal Service on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 I.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Nutriment Intak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 (1): 79-88
Son SM, Park YJ, Koo JO, Mo SM, Yoon HY, Sung CJ (1996b):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from Low-Income Urban Area and Improving Effect of Meal Service on Nutritional Health Status - N. The Effect ofMeal Service on Mineral Status and Clinical Symptoms -.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 (3): 395-404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1998): CAN (Computer Aided Nutrition Analysis) Program for Professional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revision
Tucker K, Spiro AI, Weiss ST (1995): Variation in food and nutrient intakes among older men: age and other socio-demographic factors Nutr Res 15(2): 161-176
WHO (1997):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on obesity, p.9
Yoo HJ (1994): Nutritional Problems in the Elderly Patients. Korean J Nutrition 27 (7): 666-674
總務處長官官房老人對策室(1994) : 長壽社會對策의 動向과 展望, 平成 5年 6月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