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유수유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여성들의 수유양상 기초조사 -수유관련 지식 수준 및 모유수유율-
A Survey on the Feeding Practices of Women for the Development of a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 - Breastfeeding Knowledge and Breastfeeding Rates -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7 no.3, 2002년, pp.345 - 353  

김기남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현태선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남미 (건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reastfeeding knowledge, breastfeeding rates ultra related factors among women in Seoul and the Chungbuk area, in order to obtain baselin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 program on breastfeeding. Subjects included 671 lactating mothers who visi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ong 등(1993)의 연구에서도 영유아 어머니들의 모유 수유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실천율도 높다고 보고하였다. 다음에는 수유방식별로 수유지식의 정확도에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았다. Table 4에서 볼 수 있듯이, 분유만 먹인 그룹의 수유지식 정확도가 가장 낮았고, 모유를 먹인 사람들의 정확도는 어느 경우이건 세 그룹 모두, 분유만 먹은 경우보다는 모두 높았다.
  • 많이 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영유아들의 월령별로 모유를 먹이고 안 먹이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통계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무엇보다도 수유부의직입 유무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Fig.
  • 비율을 알아보았다(Table 3). 이것은 모유의 우수성에 관하여 정확하게 알고 있는 사람들이 모유 먹이는 비율이 높은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그 결과 지식점수가 낮은 집단(0~3점)에서는 모.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김승조(1990) : 모유수유의 장애요인 및 대책, 모유권장 대책토론회, 소비자 문제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 

  2. 박문일(2000) : ‘제왕절개’ 줄여야, 조선일보 2000년 5월 8일자 컬럼 

  3. 박인화 . 황나미(1995) : 모유수유 실태 분석과 지원정책의 과제,한국보건사회연구원 

  4. 보건복지부(1999) : '98 국민건강 . 영양조사 

  5. 송규희(1989) : 서울시내 일부 병원 내원한 임신부들의 모유 수유에 관한 태도 및 지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경혜(1992) : 국내모유수유의 실태. 생활간호 12 : 114-116 

  7. 정귀영 . 이 근(1983) : 모유 실패의 원인. 소아과 26 : 527-533 

  8. 조미영(1992) : 모유수유를 저해하는 요인과 모유수유 권장을 위한 방안. 대한간호학회지 31 (1) : 28-34 

  9. 포항시 남구 보건소(1999) : 모유수유에 대한 포항시 주민의 인식도 조사 및 모유수유 권장사업, 모자보건거점 보건사업연구보고서 

  10. Ahn HS, Bai HS Bai, Kim SY (1995): Research on Biololgica1 and Sociobehavioral Factors affecting Determinants of Breast Feeding Duration, Korean J Nutrition 28(4): 331-344 

  11. Beaudry M. Dufour R, Marcoux S (1995): Relation between infant feeding and infections during the first six months of life. J Pediatr 126: 191-197 

  12. Choi KS (2000): A Study on Feeding Practices and Growth status of Infants and the Correlation of Mothers' Perceptions of Breast Feeding with Infant Feeding Methods in the Pocheo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5 (4): 569-577 

  13. Freed GL (1993): Breast-feeding: time to reach what we preach. JAMA 269: 243-248 

  14. Giugliani ERJ, Issler RMS, Justo EB, Seffrin CF, Hartman RM, Carvalho NM (1992): Risk factors for Early Termination of Breastfeeding in Brazil. Acta Paediatrica, 81: 484-487 

  15. Grossman I.K, Harten C, Sachs L, Kay A (1990): The effect of postpartion lactation counseling on the duration of breast-feeding in low-income women. Am J Dis Child 144: 471-474 

  16. Qulick EE (1983): Infant health and breast-feeding. Pediatric Nursing 9: 359-362 

  17. Hyun TS, Lim EY, Kang NMg, Kim KN (2001): Prenatal Breatfeeding Eduction and Infant: Feeding Practices in Public Health Centers and Baby-Friendly Hospital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4): 678-685 

  18. Jeon HS, Hong SY (1996):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tatus and Method of Infant Feeding in Inche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 (3): 433-440 

  19. Kaplowitz DD, Olson CM (1983): The effect of an education program on the decision to breastfeed. J Nutr Edu 15: 61-65 

  20. Kim YH, Lee K, Kim CH, Lee KS, Shin SM, Han DG, Moon SJ (1985): The Present Status of Infants Feeding in Korea. J of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8 (10): 8-13 

  21. Kistin N, Benton D, Rao S, Sullivan M (1990) : Breast-feeding rates among black urban low-income women: effect of prenatal education. Pediatrics 86: 741-746 

  22. Kwon EK, Ichai BS, Han JH (1985): A Study on Breast Feeding and Socio economic Factors in a par; of Seoul and Rural Areas. J Korean Public Health 11: 17-27 

  23. Kyenkya-Isabirye M (1992): UNICEF launches the Baby-Friendly Hospital Initiative. MCN Am J Matern Child Nurs 17(4): 177-179 

  24. Lee JS, Kim ES (1991): A Longitudinal Study on Human Milk Volume and Lactational Pattern. Korean J Nutrition 24 (1): 48-57 

  25. Lee YS, Hwang GS (1992): A Sruvey on the Infant Feeding in Seoul Area. Korean J Dietary Culture 7: 97-103 

  26. Mctiernan A, Thomas DB (1986): Evidence for a Protective Effeet of Lactation on Risk of Breast Cancer in Young Woman. Am J Epidemiol 124(3): 353-858 

  27. Nam ES (1997): The Effect of a Breastfeeding Educational Program on Feeding Behavior. J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3 (2): 241-252 

  28. Oh HE, Park NJ, Im ES (1994): An Analytic Study Measuring Factors interrupting in Breast Feeding. The Korean journal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nursing 4 (1): 68-79 

  29. Park OH, Kwon IS (1991): The Present Status of Breast Feeding Practice according to the Postpartum Period. The Korean journal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nursing 1 (1): 45-57 

  30. Poverty KM (1991): WIC and promotion of breast-feeding. Pediatrics 87: 399-400 

  31. Sohn KH, Yoon S, Lee YM, Min SH, Jeon JH (1992): The Study of Infant Feeding in Weaning Period - Focused on Seoul and Kyunggido Area -. Korean J Dietary Culture 7(4): 309-321 

  32. Song JH, Kim SA, Moon YS, Park YJ, Paik SN, Pyun SJ, Lee NH, Cho KJ, Cho HS, Choi MH, Choi YJ (1993): Study on Recognition and Practice of Breastfeeding of Mothers of under Toddler. The Korean journal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nursing 3 (2): 153-165 

  33. Song YS (1991): The Present Status of Infant Feeding in Korea and Suggestions for its Improvement. Korean J of Nutrition 27(3): 272-280 

  34. Wang SG, Kim JH (1999): A Study on Infant Feeding and Weaning Practice in Taejon. Korean J of Community Nutrition 4(4): 489-495 

  35. Worthington-Roberts BS, William SR (1989): Nutrition in Pregnancy and Lactation, Mosby, St. louis 

  36. Yoo KY, Tajima K, Kuroishi T Hirose K, Yoshida M, Miura S, Murai H (1992): Independent Protective Effect of Lactation against Breast Cancer: A Case Control Study in Japan. Am J Epidemiol 135(7): 726-73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