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 일부 지역의 어린이 급식시설에 대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위생.안전 관리 지원 효과
Effects of Food Safety Management Support of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on Foodservice Facilities for Children in Busan Area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4 no.2, 2014년, pp.261 - 274  

김성혜 (부산진구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  오은영 (부산진구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  한진숙 (동의과학대학교 식품과학계열)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ood safety management support in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CCFSM) on foodservice facilities for children in Busan area. We assessed the status of hygiene and safety practices of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foo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able 2에서 ‘CCP1을 기본으로 한 센터 식단 사용’ 항목은 순회방문 지도 후 집단급식소의 경우, 100%의 시설이 준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비집단급식소에서도 97% 이상의 시설이 준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센터에서는 급식조리자가 위생적인 조리공정과 배식을 실천할 수 있도록 식단에 잠재적 위해 식품(potential hazard food: PHF)을 표시한 PHF 식단과 이에 대한 설명을 조리지시서로 작성하여 식단과 함께 시설에 제공하고 있다. 조리시설에 ‘월간 식단의 게시’와 ‘학부모에게 월간 식단에 대한 정보 제공’의 항목은 순회방문 지도 후 시설 규모와 관계없이 잘 준수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부산진구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 등록한 어린이 대상 급식소를 집단과 비집단급식소로 분류하여 순회방문 지도에 따른 위생·안전 관리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 조리시설에 ‘월간 식단의 게시’와 ‘학부모에게 월간 식단에 대한 정보 제공’의 항목은 순회방문 지도 후 시설 규모와 관계없이 잘 준수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항목에 대한 조사는 조리과정과 배식단계에 조리사와 배식관리자가 위생적 급식 관리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실천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학부모에게 시설이 위생적인 급식 관리를 하고 있다는 신뢰감 형성을 목적으로 하였는데, 이에 대한 효과를 얻은 것으로 평가된다. 센터의 식단 상용의 증가는 Kim et al(2013)의 연구 결과에서와 같이 어린이급식소의 식단 메뉴의 다양성 및 영양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대상 급식소의 위생·안전 관리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모니터링 도구를 이용하여 부산진구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위생·안전 순회방문 지도를 통해 집단과 비집단 급식소의 위생관리 개선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 보육시설의 실정은 어떠한가?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여 어린이 보육시설의 양적인 증가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나,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의 향상은 이에 미치지 못하여 보육시설에서 제공되는 급식의 영양, 위생, 안전 등의 관리와 지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Rho et al 2009, Kwak 2006). 취약 전 영·유아에게 제공되는 보육환경은 이후의 지적·사회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며, 제공하는 급식은 정상적인 성장 및 발달, 성인기 이후의 식습관과 일생의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어린이 보육 시설 급식에서 영양과 위생 관리는 더욱 강조되고 있다(Choi 2006, Kwak 2006).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는 어떤 지원 및 정보 제공을 하는가? 즉, 어린이 대상 급식소의 위생·안전관리 및 균형 있고 체계적인 영양관리를 지원해 주는 업무를 하고 있다. 또한 어린이 대상 급식소에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급식운영 현황 파악 및 지원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어린이 대상 급식소의 급식운영 전반에 대한 지원 및 정보 제공 등을 하고 있다(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
어린이 보육 시설 급식에서 영양과 위생 관리가 강조되는 이유는?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여 어린이 보육시설의 양적인 증가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으나,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의 향상은 이에 미치지 못하여 보육시설에서 제공되는 급식의 영양, 위생, 안전 등의 관리와 지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Rho et al 2009, Kwak 2006). 취약 전 영·유아에게 제공되는 보육환경은 이후의 지적·사회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며, 제공하는 급식은 정상적인 성장 및 발달, 성인기 이후의 식습관과 일생의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어린이 보육 시설 급식에서 영양과 위생 관리는 더욱 강조되고 있다(Choi 2006, Kwak 2006). 또한 영·유아들이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점점 더 길어짐에 따라, 시설은 영·유아의 건강과 영양에 대한 책임이 더욱 커지고 있어, 어린이 보육시설에서의 급식 관리는 더욱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Jung et al 2011, Yun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e HJ, Lee HY (2010) Importance evaluation about the remedies for improvement of sanitation management by foodservice manager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5: 266-274. 

  2. Choi YJ (2006) Management condition in indoor environment and hygiene of childcare center-focusing in Cheongju. Korean J of Human Ecology 9: 5-20. 

  3. Han JS, Lee LY (2011) Employees' sanitation practice level and sanitation knowledge at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Chungbuk provinc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 637-649. 

  4. i-sarang (2013) http://kess.kedi.re.kr (Accessed on 11. 2. 2014) 

  5. Jung HA, Kim AN, Joo NM, Paik JE (2011)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anitation management within chlidcare center foodservice facilities in Gyeongbuk provin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385-391. 

  6. Kim HY, Yang IS, Ghae IS, Yi BS, Park MK, Kim HY, Kang TS, Leem DG, Lee JH, Lee HY (2013) Effectiveness of center for child-care foodservice management for menu management and dietary variety. Korean J Community Nutr 18: 243-256. 

  7. Kim JG, Park JY, Kim JS(2013) Studies on the hand hygiene practice of food-service businesses workers: A comparison of full-time and part-time workers. J Environ Health Sci 39: 71-82. 

  8. Kim JS (2013) Sanitation practices of foodservice facilities for children and survey of parents on their awareness of food hygiene in Daegu. MS Thesis Kyungbuk National University, Daegu. pp 1-6. 

  9.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3) http://www. childcare.go.kr/(Accessed on 11. 2. 2014) 

  10. Kwak DK (2006) Current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of industrial foodservice operation for children and the improvement strategie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1: 41-54. 

  11. Kwak TK, Lee KM, Kang YJ, Hong WS, Moon HK (2005) Analysis of critical control points through field assesment of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in foodservice establishment.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290-300. 

  12. Lee JE, Choi KS, Kwak TK (2012) Assesment of kindergarten principals and teachers' performance degree of foodservice hygiene management and foodservice employees' hygiene knowledge. J Korea Diet Assoc 18: 308-325. 

  13. Lee JH, Goh YK, Park KH, Ryu K (2007) Assesment of food safety management performance for school food service in the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 310-321. 

  14. Lee JY, Yon M, Lee YJ, Kim WJ (2011) Culinary employees'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 levels according to dietitians' sanitation training performance in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industry in the Chungbuk province. Korean J Food Culture 26: 151-158. 

  15. Lyu ES, Chang HJ (1995) Food sanitary practices of the employees in university and industry foodservices. Korean J Soc Food Sci 11: 274-281. 

  1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8) Annual report of assesment and improvement of foodservice for children in the Seoul area. pp 20-25. 

  1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 Annual report of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pp 21-27. 

  1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Guideline for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pp 1-53 

  1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http://www.mfds. go.kr/index.do?x (Accessed on 11. 2. 2014) 

  20. Ministry of Gender Equality(2006) Financial accountion rule of nurture facility. p 37. 

  21. Park NY, Park HK, Park HJ, Seo MK, Im HR, Lim HH, Jung JH, Yoon KS (2011) Employee food-hygiene and nutrition awareness and performance at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Seoul.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45-59. 

  22. Park YJ, Kwak TK, Kang YJ, Chung HK (2003) Assesment of the child care centers foodservice facility and development of the kitchen facility model based on the general sanitation standards and guidelines. J Korea Diet Assoc 9: 219-232. 

  23. Rho JO, Lee EP, Lee JS (2009) Assessment of food 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child care centers operated by various type of foundation in Chonbuk area of Ko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74-83. 

  24. Yun SH (2013) An analysis of foodservice sanitation and safety management of childcare centers in Jeju. M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pp 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