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용 창의적 행동특성 검사′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A Preliminary Study of Developing the Rating Scale for Creativ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er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0 no.6, 2002년, pp.85 - 97  

이영 (연세대학교 아동학과) ,  김수연 (연세대학교 아동학과) ,  신혜원 (연세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rating scale for screening preschoolers' creative characteristics an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is scale. The subjects were 85 4-5 year olds, their mothers, and teachers in Seoul. The preliminary scale of the Rating Scale for Creative 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관찰에 의해 창의적인 유아를 판별하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창의적인 유아의 행동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 및 Rtam(1982)의 PRIDE 에 기초하여 '유아용 창의적 행동 특성 검사' 예비도구를 구성하고 그들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부모로 하여금 창의적인 행동 특성을 가진 유아를 판별하게 하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창의성 측 정 도구와 선행연구에 보고된 창의적인 유아의 행동 특성 등을 검토하여 우리나라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을 판별하기 위한 예비도구 문항을 개발하였다.
  •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하는 연구 중에 이인순 (1988)은 창의성의 구성요인으로 확 산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 창의적 성격을 들고 이들 변인 간의 상관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이 세 가지 요인이 비교적 독립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창의적 성격 요인인 개방적이며 융통성 있는 ' 변인과 '상상과 사고를 많이 하는' 변인이 확산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 등 창의성의 인지적 측면과 관련이 없다고 하였다.

가설 설정

  • 3)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4) 유아의 창의적 행동 특성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둘째,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인지적 요소와 성격적 요소는 상호 관련이 있다는 주장(Amabile, 1996: Urban, 1996 등)을 근거로 본 도구와 준거 검사인 Wallach와 Kogan의 창의성 검사 간에 상관이 있을 것을 가정하였다. 그러나 본 검사의 하위 요인 및 도구 전체와 준 거 검사 하위 요인 사이에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교육부(199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2. 김경희(1986). 아돔심리학. 서울: 박영사 

  3. 김동화(2000). 창의성에 관한 연구 동향. 교육이론과 실천, 10(2), 415-418 

  4. 김온기(2000). 과학활동을 통한 유아의 창의적 사고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종안(1998). 통합적 접근법에 기초한 아동의 창의성 측정도구 개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혜숙(1999). 창의성 진단 측정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13(4), 269-303 

  7. 박수정(1999). 유아의 신체표현 능력과 창의성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송민영 (1998).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이성진(1995). 세계화와 창의성 교육. 한국어린이육영회 1995년도 학술대회 자료집. 7-17. 한국어린이육영회 

  10. 이 영(1988). 유아를 위한 창의적 동작교육. 서울: 교문사 

  11. 이은해(1992). 이동연구방법. 서울: 교문사 

  12. 이인순(1988). 창의성의 구성요인과 훈련효과.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임현수(1998). 창의성 측정도구의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14. 전경 (2000).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 서울: 학지사 

  15. 조부경, 조성연, 박수옥(1996). 교사의 질문유형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17(1), 23-38 

  16. 조석희(1993). 자녀에 대하여 부모가 갖는 영재성의 개념 및 판별상의 정확도. 영재교육연구, 2, 181-193 

  17. 조석희(1996). 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한국교육개발원 

  18. 조선일보(2001.11.16). 영재학교 어떻게 운영되나. 인터넷 조선일보 

  19. 조성연(1988). 5세아의 창의성과 장독립성, 인지양식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9(1), 63-80 

  20. 최인수(2000). 유아의 창의성 측정도구에 관한 고찰. 유아교육연구, 20(2), 139-166 

  21. 하주현(1999). 아동기에서 청소년기까지의 창의적 인지와 창의적 인성의 발달경향 연구. 성균관대학교박사학위논문 

  22. 한기순 (2001). Creativity in young children: Implications of problem-finding and the realworld divergent thinking test. 한국교육, 28(1), 121-14 

  23. Amabile, T.M. (1996). Creativity in context. Colorado: WestviewPress,Inc 

  24. Bachtold, L. & Worley, P. (1986). Abstract: Imagination, originality, and temperament of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0(2), 141-142 

  25. Csikszentmihalyi, M. (1988). Society, culture, and person: A systems view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pp. 325-339).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Davis, G. A., & Rimm, S. R (1998).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4th). MA: Allyn and Bacon 

  27. Gardner, H. (1993). Creating minds. New York: Basic Books 

  28. Hocevar, D. & Bachelor, P. (1989). A taxonomy and critique of measurements used in the study of creativity. Handbook of Creativity. N.Y.: Plenum Press. 53-76 

  29. Isenberg, J.P., & Jalongo. M.R (1997). Creative expression and play in early childhood(2nd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30. Lubart, T.I. (1994). Creativity. In Sternberg, RJ.(ed.)(1994).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NY: Academic Press. Chapter 10 

  31. Lubart, TL, & Sternberg, RJ. (1995). An investment approach to creativity: Theory and data. In S.M. Smith, T.B. Ward, & RA. Finke(Eds.). Creativie cognition approach. Cambridge, MA: MIT Press 

  32. Renzulli, J. S., & Reis, S. M. (1985). The schoolwide enrichment model. Creative Learning Press, Inc 

  33. Rimm, S. B. (1983). PRIDE: Preschool and kindergarten interest descriptor. Watertown, WI: Educational Assessment Service 

  34. Sternberg, R J. & Lubart, T.I. (1996). Investing in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1(7), 677-688 

  35. Torrance, E. P. (1976). Guiding creative talent. New York: RobertE. Krieger 

  36. Urban, K.K.(1996). 창의성-요소적 접근 모델. 인간발달연구, 24, 5-2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