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혼모를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연구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Unwed Mother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0 no.4, 2002년, pp.13 - 25  

김만지 (경희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unwed mothers to facilitate to consider their career plan and career orientation. The program of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uper's developmental theory. The program was done twice a week t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미혼모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진로 방향을 설정하는 진로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 Super의 발달이론을 근거로 Byers(1994)와 American Association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1995) 가" 제시한 진로교육훈련 내용을 미혼모에게 활용 가능 하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으며 양적 분 석의 결과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입으로 프로그램 대상자의 진로성숙도, 진로결정수준, 그리고 진로정 체감이 향상되는데 효과적이었음이 입증되었다.
  • 개별 집단성원별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참여로 인해 생긴 변화 내용을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목표 와 관련해서 미혼모들이 자신의 진로 계획에서 고 려되어야 할 점들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진로방향을 설정하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 그램 참가자의 변화를 관찰 기록한 내용과 그동안 회기에서 진술하였던 내용, 그리고 프로그램 총괄평 가에서 논의된 피드백을 중심으로 집단성원의 변화 내용을 살펴보았다.
  • 미혼모의 저연령화, 지속적인 증가와 더불어 미혼모의 진로 문제는 심각하지만 현재 우 리나라의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보호장치는 미비하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적은 수 이긴 하지만 미혼모를 대상으로 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 증하기 위해서 진로성숙도 검사, 진로결정수준검사, 그리고 진로정체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프로 그램 참여의 집단과정을 살펴보기 위해서 집단응집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 개별 집단성원별로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참여로 인해 생긴 변화 내용을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목표 와 관련해서 미혼모들이 자신의 진로 계획에서 고 려되어야 할 점들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진로방향을 설정하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 그램 참가자의 변화를 관찰 기록한 내용과 그동안 회기에서 진술하였던 내용, 그리고 프로그램 총괄평 가에서 논의된 피드백을 중심으로 집단성원의 변화 내용을 살펴보았다. 개별 집단성원의 변화내용을 구 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양적 분석을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는 집단성원의 수가 적고 모집단이 정규 집단이라는 가정을 신뢰할 수 없으 므로 Wilcoxon Signed Ranks Test 방법으로 프로그 램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 본 프로그램은 미혼모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진로 기회 숙고를 통해서 진로 계획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들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진로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표를 달성 하기 위한 각 회기의 구체적인 결과목표는<표 3>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결과목표 및 내용에 제시되어 있다.
  • 6회기에서는 이전의 회기를 바탕으로 직업과 관련된 부분을 이해함으로써 예비직업을 선 택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여기서 자신의 구체적인 직업 선택과 관련된 이유를 살펴보았다.
  •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대부분의 미혼모보호시설 에서 제공되는 진로 관련 서비스는 컴퓨터 교육, 양 재 훈련으로 이러한 직업훈련이 현실적인 취업으로 연결되지 않지만 현실적으로 이러한 프로그램을 제 외하면 미혼모들의 진로를 위한 프로그램은 절대적 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혼모 들을 대상으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미혼모를 위한 체 계적인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3회기는 지역사회에서 자신의 역할과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진로교육 프 로그램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각자의 목표를 설정하 도록 하였다. 자신의 과거, 현재, 미래를 살펴봄으로 써 긍정적인 자신의 미래를 예측하도록 했으며 특히 미혼모가 되는 것이 개인의 진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다루었다.

가설 설정

  • 넷째, 미혼모들의 반복되는 임신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미혼모들의 재임신율이 25%인 것을 고려하여 외국의 경우에는 임신으로 인한 부 정적인 결과를 경감시키고 재임신을 예방하기 위해서 많은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Rosenth虱 Lewis, & Cohen, 1996; Jacobs & Wolf, 1995; Miller, et al, 1993).
  • 셋째,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미혼모들은 직 업세계를 탐색할 기회를 가지게 될 것이다. 무엇보 다도 진로 개입에서 선행되어야 할 것은 자신의 적 성, 흥미 성격, 능력, 가치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강순화(1994). 집단상담에서의 언어반응유형과 관련변인과의 관계 및 효과에 관한 연구-상담자 교육에서 마라톤 형태의 집단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2. 강재태, 배종훈(2000). 진로지도 워크북. 서울. 교육과학사 

  3. 김계현 외(2000).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서울: 학지사 

  4. 김만지(2000). 미혼모의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5. 김봉환(1997).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6. 김병석 외(1997). 진로상담 모형개발 연구. 청소년대화의 광장 

  7. 김수자(1991).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고교생의 진로 성숙 내외통제성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홍혜 (1998). 진로탐색 집단 상담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9. 박선애(1999). 집단상담이 공업계고교생의 진로유형 결정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강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변정순(1990). 진로의식 성숙을 위한 진로탐색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서울특별시 부녀복지연합회 (1996) . 한국 미혼모 복지의 현황과 발전방향. 제 1회 여성복지세미나자료 

  12. 유현숙(2001). 고등학생용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아주대 석사학위논문 

  13. 조지영(1999). 여대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따른 진로탐색 집단상담의 효과 및 과정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4. 한국교육개발원(1982). 진로 교육 자료.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5. 한국진로교육학회 엮음(1999). 진로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제 서울. 교육과학사 

  16. American Association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1995). Project Taking Charge 2 Curriculum 

  17. Chartrand, J. M. & Camp, C. C. (1991). Advances in the measurement of career development constructs: A 20-year review.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9,1-39 

  18. Crites, J. O. (1978). Theory and research handbook for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Monterey, Ca: CTB/McGraw-Hill 

  19. Stevens-Simon, C, Kelly, L., & Kulick, R. (2001). A village would be nice but.... It takes a longacting contraceptive to prevent repeat.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1(1), 60-65 

  20. Tinsley, H. E. A., Bowman, S. L., & York, D. C. (1989). Career Decision Scale,My Vocational Situation, Vocational Rating Scale: Do they measure the same construc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6, 115-120 

  21. Webb, W. (1994). Teen Sexuality: Empowering Teens to Decide. Policy Studies Reviews, 13:1/2, Spring/Summer, 127-139 

  22. Benson, D. S. (2000). Providing health care to human beings trapped in the poverty culture. Physician Executive, 26(2), March-April, 28-32 

  23. Byers, G. H. (1994). Collaborative Discipline for At-Risk Students. The Center for Applied Research in Education 

  24. East, P. L. (1996). The younger sisters of childbearing adolescents: their attitudes, expectations, and behaviors. Child Development, 67(2), 267-282 

  25. Handler, J. F. & White, L. (1999). Hard Labor: Women and Work in the Post-Welfare Era. Sage Publication 

  26. Havighurst, R. L. (1972). Development tasks and education(3nd. ed.). New York: David Makay 

  27. Jacobs, C. D. & Wolf, E. M. (1995). School Sexuality Education and Adolescent Risk-Taking Behavior. Journal of School Health, 65(3), March, 91-95 

  28. Julein, H. E. (1999). Barriers to adolescents' information seeking for care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50, Jan, 38-48 

  29. Kissman, K. (1990). Social support and gender role attitude among teenage mothers. Adolescence, Vol. 25, Issue 99, Fall, 709-71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