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재를 기능성 식품에 이용하기 위하여 한약재의 생리활성 인자를 탐색할 목적으로 한약방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국화(Chrysanthemum morrifolium Ramat), 구기자(Lycium chinensis Miller),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당귀(Angelica gigas Nakai), 대추(Zizyphus jujuba Miller),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as),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을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DPPH법, SOD유사활성 측정법, thiocyanate법 및 TBARS법으로 측정하였다. 에탄을 추출물에 비하여 물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구기자 물 추출물의 함량이 1.6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물 추출물 중 국화는 63.0% 그리고 에탄을 추출물 중 감초가 63.8%으로 BHT의 전자공여능(49.7%) 보다 높게 나타냈으며, SOD 유사활성은 물 추출물 중 황기에서 41.8%의 높은 활성능을 보였으며 에탄을 추출물 중 구기자에 38.2%의 높은 활성능을 보였다. 물 추출물 중 감초와 대추가 에탄을 추출물 중에는 당귀와 국화의 TBARS 값이 대조구에 비하여 5.0이상으로 항산화 활성이 BHT의 항산화 활성과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Thiocyanate법에의한 항산화 활성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국화, 구기자, 감초, 작약의 물 추출물의 유도기간이 8일까지 연장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에탄을 추출물 중에는 감초와 국화의 유도기간이 8일가지 연장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황기, 국화, 구기자, 감초, 당귀, 대추, 작약, 천궁의 물과 에탄을 추출물 중에는 in vitro 항산화 실험 계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성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약재를 기능성 식품에 이용하기 위하여 한약재의 생리활성 인자를 탐색할 목적으로 한약방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국화(Chrysanthemum morrifolium Ramat), 구기자(Lycium chinensis Miller),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당귀(Angelica gigas Nakai), 대추(Zizyphus jujuba Miller),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as),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을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DPPH법, SOD유사활성 측정법, thiocyanate법 및 TBARS법으로 측정하였다. 에탄을 추출물에 비하여 물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구기자 물 추출물의 함량이 1.6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물 추출물 중 국화는 63.0% 그리고 에탄을 추출물 중 감초가 63.8%으로 BHT의 전자공여능(49.7%) 보다 높게 나타냈으며, SOD 유사활성은 물 추출물 중 황기에서 41.8%의 높은 활성능을 보였으며 에탄을 추출물 중 구기자에 38.2%의 높은 활성능을 보였다. 물 추출물 중 감초와 대추가 에탄을 추출물 중에는 당귀와 국화의 TBARS 값이 대조구에 비하여 5.0이상으로 항산화 활성이 BHT의 항산화 활성과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Thiocyanate법에의한 항산화 활성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국화, 구기자, 감초, 작약의 물 추출물의 유도기간이 8일까지 연장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에탄을 추출물 중에는 감초와 국화의 유도기간이 8일가지 연장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황기, 국화, 구기자, 감초, 당귀, 대추, 작약, 천궁의 물과 에탄을 추출물 중에는 in vitro 항산화 실험 계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성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ntioxidative activity was measured on the substances of water and ethanol soluble extract fro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Lycium chinensis Miller,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Angelica gigas Nakai, Zizyphus jojoba Miller, Paeonia lactiflora Pallas, Cnidium ...
The antioxidative activity was measured on the substances of water and ethanol soluble extract fro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Lycium chinensis Miller,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Angelica gigas Nakai, Zizyphus jojoba Miller, Paeonia lactiflora Pallas, Cnidium officinale Makino by four different in vitro experimental models of DPPH (a,a'-diphenyl-$\beta$-picrylhydrazyl) method, superoxide dismutase like activity, thiocyanate method, and TBAR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method. The Lycium chinensis Miller contained the highest amount of polyphenolic compounds.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water extract from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and ethanol extract from Chrysanthemum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s. The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of water extract fro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was the highest among those of all the others. The water extract from Zizyphus jujuba Miller showed the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determined by TBARS method. Compared to the control, the inducing period associated with the oxidation degree was delayed up to 8 days in both the water extract from Chrysanthemum, Lycium chinensis Miller,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and Paeonia lactiflora Pallas and the in ethanol extract from Chrysanthemum and Glycyrrhiz uralensis Fischer. These results support tha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8 kinds of medicinal herbs contain antioxidative compounds.
The antioxidative activity was measured on the substances of water and ethanol soluble extract fro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Lycium chinensis Miller,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Angelica gigas Nakai, Zizyphus jojoba Miller, Paeonia lactiflora Pallas, Cnidium officinale Makino by four different in vitro experimental models of DPPH (a,a'-diphenyl-$\beta$-picrylhydrazyl) method, superoxide dismutase like activity, thiocyanate method, and TBAR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method. The Lycium chinensis Miller contained the highest amount of polyphenolic compounds.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water extract from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and ethanol extract from Chrysanthemum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s. The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of water extract fro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was the highest among those of all the others. The water extract from Zizyphus jujuba Miller showed the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determined by TBARS method. Compared to the control, the inducing period associated with the oxidation degree was delayed up to 8 days in both the water extract from Chrysanthemum, Lycium chinensis Miller,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and Paeonia lactiflora Pallas and the in ethanol extract from Chrysanthemum and Glycyrrhiz uralensis Fischer. These results support tha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8 kinds of medicinal herbs contain antioxidative compound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