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약재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5 no.1, 2006년, pp.7 - 14  

주종찬 (창신대학 호텔조리 제빵과) ,  신정혜 (창신대학 호텔조리 제빵과) ,  이수정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희숙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성낙주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6종의 한약재 및 약용식물류의 열수 추출물에 대한 흡광도, 총페놀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이들의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추출수율은 단삼$35.49\%$로 다른 시료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으며 pH는 $4.00\~5.92$의 범위로 산성 pH에 더 가까웠다. 방향족 화합물의 함량을 검색하고자 $250{\mu}g/mL$농도의 시료로 28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꿀풀이 2.872로 가장 높았으며 엉겅퀴와 산사육, 산조인은 0.5이하의 낮은 흡광도를 나타내었다. 갈색화 반응 생성물의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꿀풀의 경우 1.312로 가장 높은 값을 다음은 옥수수수염 (0.917), 금물초(0.725) 순이었다.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꿀풀이 $5.07{\pm}0.05mg/100g$으로 다른 시료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함량이었고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단삼에서 $4.82{\pm}1.16\;mg/100g$으로 다른 시료에 비하여 약 2배 정도 높은 함량이었다. 대부분의 시료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 효과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산조인, 산수유, 단삼은 $1000{\mu}g/mL$의 농도에서 $90\%$ 이상의 전자공여 효과를 나타내었다. 환원력전자공여능과 유사한 경향이었으나 BHT와 비교할 때 유의적으로 낮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500{\mu}g/mL$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소거효과를 나타낸 시료는 꿀풀과 금물초 2종에 불과하였으며 $1000{\mu}g/mL$의 농도에서는 산조인, 산수유, 감국, 꿀풀, 금물초, 오가피, 단삼, 울금$50\%$ 이상의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꿀풀의 경우 전 농도에서 다른 시료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나타내어 $250{\mu}g/mL$에서는 $59.62{\pm}1.573\%,\;1000{\mu}g/mL$에서는 $80.58{\pm}0.300\%$의 소거효과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d the related parameters of hot water extracts obtained from 16 medicinal plants were tested. The extraction yield was the highest in Salvia miltiorrhiza Bunge $(36.49\%)$ pH range was $4.00\~5.92$ in all samples. Absorbance at 280 nm was examin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건강과 대체의학에 대한 관심의 고조, 합성 약품에 대한 부작용 우려 , 한약재가공 기술의 발달 등으로 한약재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되고 있으며 관련 연구도 활기를 띠고 있어 관련 논문 수는 80년대에 비해 90년대에는 평균 5배 이상 증가하였고 주로 항산화작용, 항암활성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11).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 및 약용식물류 의 항산화 효과를 검색하여 한약재 혼합 조성물을 이용한 천연 항산화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Song JC, Park NK, Hur HS, Bang MH, Beak NI. 2000. Examination and isola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Korean medical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 94-101 

  2. Evance CR, Halliwell B, Lunt GG. 1995. Free radicals and oxidative stress: environment, drug and food additives. Ashgate Publishing Co, Aldershot, UK. p 1-31 

  3. Sozmen EY, Tanyakin T, Onat T, Kufay F, Erlacin S. 1994. Ethanol-induced oxidative stress and membrane injury in rat erythrocytes. Eur J Clin Chem Clin Biochem 32: 741- 744 

  4. Cerutti PA. 1985. Prooxidant states and tumor promotion. Science 227: 375-381 

  5. Frei B. 1994. Natural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cademic Press, New York. p 25-55 

  6. Kim SM, Cho YS, Kim EJ, Bae MJ, Han JP, Lee SH, Sung SK. 1998. Effect of water extracts of Salvia miltorrhiza Bge., Prunus persica Stokes, Angelica gigas Nakai and Pinus strobus on lipid oxid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339-405 

  7.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1996. Structure 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ee Radical Biol Med 20: 933-956 

  8. Kim KD. 2004. Research of oriental medicine palnt on anti-oxidation and ultraviolet rays absorption. J Kor Soc Cosm 10: 145-153 

  9. Lee SO, Lee HJ, Yu MH, Im HG,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10. Lee JM, Lee SH, Kim HM. 2000. Use of oriental herbs as medical food.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 50-56 

  11. Sohn ES, Kim S, Kang JS, Lee SP. 2004. Domestic R&D trend analysis of functional food using medical plants. Applied Chemistry 8: 470-473 

  12. Gutfinger T. 1958. Polyphenols in olive oil. J Am Oil Chem Soc 58: 966-968 

  13. Moreno MIN, Isla MIN,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nthrophar-macology 71: 109-114 

  1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15.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anese J Nutr 44: 307-315 

  16.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 Chem 51: 1333-1338 

  17. Kim DS, Ahn BW, Yeum DM, Lee DW, Kim ST, Park YH. 1987. Degradation of carcinogenic nitrosamine formation factor by natural food components. Bull Korean Fish Soc 20: 463-468 

  18. Kim MH, Kim MC, Park JS, Kim JW, Lee JO. 2001.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warter-soluble extracts of plants used tea materials. Korean J Food Technol 33: 12- 18 

  19. Na GM, Han HS, Ye SH, Kim HK. 2004.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Cassia tora L. extracts. Korean J Food Culture 19: 499-505 

  20. Kim HK, Na KM, Ye SH, Han HS. 2004.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ycium chinense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ation 11: 352-357 

  21. Kang WS, Kim JH, Park EJ, Yoon KR. 1998. Antioxidative property of Turmeric (Curumae Rhizoma) ethanol extract. Korean J Food Technol 30: 266-271 

  22. Kang YH, Oark YK, Oh SR, Moon K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Technol 27: 978-984 

  23. Won JT, Kim DH. 1980.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solvents extracts obtained from maillard-type browning reaction mixture. Korean J Food Technol 12: 235-241 

  24. Shin MJ, Yoon HH, Ahn MS.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color intensity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aramelization produc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603-612 

  25. Lim JD, Yu CY, Kim MJ, Yun SJ, Lee SJ, Kim NY, Chung IM. 2004. Comparision of SOD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 contents in various Korean medical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191-202 

  26.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Technol 36: 333-338 

  27. Nam SH, Kang MY. 2000. Screening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141-147 

  28. Jung SJ, Lee JH, Song HN, Seong NS, Lee SE, Baek NI.?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35-140 

  29. Moon JS, Kim SJ, Park YM, Hwang IS, Kim EH, Park JW, Park IB, Kim SW, Kang SG, Park YK, Jung ST. 2004. Korean J Food Preservation 11: 201-206 

  30. Lee SE, Seong NS, Bang JK, Park CG, Seong JS, Song J. 2003. Antioxidative activity of Korean medicinal plan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 127-134 

  31. Kim JG, Kang YM, Eum KS, Ko YM, Kim TY. 2003.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Akebia quinate Decaisn, Scirus-fluviatilis A. gray, Gardenia jasminoides for. grandiflora Makino). J Agric & Life Sci 37: 69-75 

  32. Lee JM, Ahn MS. 1997. A study on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tea extracts. Korean J Dietary Culture 12: 567-572 

  33. Park YB, Lee TG, Kim OK, Do JR, Yeo SG, Park YH, Kim SB. 1995. Characteristics of nitrite scavenger derived from seeds of Cassia tora L. Korean J Food Technol 27: 124-128 

  34. Lim SM, Cho YS, Kim EJ, Bae MJ, Han JP, Lee SH, Sung SK. 1998.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of Salvia miltiorrhiza Bge., Prunus persica Stokes, Angelica gigas Nakai and Pinus strobus on lipid oxid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399-405 

  35. Lee DH, Hong IJ, Park HG, Jew SS, Kim KT. 2003. Functional characteristics from the barely leaves and its antioxidant mixture -study on the nitrite scavenging ef-fect-.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333-3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