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리교육내용의 표준설정 방법 - 지적영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ntent Standard of Geographical Education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37 no.3, 2002년, pp.276 - 291  

조성욱 (전북대학교 사회교육학부)

초록

현행 교육과정의 지리교육내용은 포괄적이고 추상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전체 교육의 일부분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지리교육 자체의 교육 내용 체계화를 이루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교육과정을 보완하고 지리교육 내용을 체계화하는 방법으로, 지리학에 기반을 둔 지리교육 내용의 표준 설정 방법을 제안한다. 지리교육의 표준 설정 방안으로 대주제, 기본 주제, 주요 표준, 표준, 상세 표준을 제시하였다. 대주제는 지리교육 전반을 통찰하는 대개념으로서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이해', '장소 또는 지역에 대한 이해', '인간과 장소의 상호작용 이해'의 3개를 선정하였다. 기본 주제는 '지리적 기능', '자연 환경' '인문 환경', '장소 및 지역', '인간과 장소의 상호작용'의 5개를 선정하였다. 표준은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지리교육내용을 제시하는 단계로서 '주요 표준'표준', '상세 표준'의 3단계로 상세화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tents of geographical education present too inclusive and abstract regard as criteria in an existing curriculum. And geographical education oneself's system is difficult because they are set to the one part of educational side. This study pursuit to make content standard of geographical educa...

주제어

참고문헌 (32)

  1. 강창숙, 2002, 지리개념 발달과 상보적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권정화, 2001, 지리교육의 내용 선정과 조직의 원리와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1-5, 21-29 

  3. 교육부, 1997, 사회과 교육과정 

  4. 김종서 $\cdot$ 이영되 $\cdot$ 황정규 $\cdot$ 이홍우 공저. 1999.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5. 남상준, 1999, 지리교육의 탐구, 교육과학사 

  6. 류재명, 1998, '지리교육내용의 계열적 조직방안에 대한 연구'. 지리환경교육. 6(2). 1-18 

  7. 서태열, 1993, '1980년대 이후 미국 지리교육 부흥 운동의 전개과정과 그 시사점: 지리학, 지리교육, 그리고 교육정책의 관계'. 지리학, 28(2). 163-178 

  8. 이간용, 2001, 지리교육의 지능공정한 참평가 모형개발 및 적용,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조성욱, 2000, 고등학교 경제지리 교육내용 선정과 조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조영달 편, 2001, 교육과정의 정치학, 교육과학사 

  11. 함수곤, 1994. 교육과정의 편성,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2. 함수곤, 2000, 교육과정과 교과서,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3. Bailey, P., 1992, Geography and the national curriculum -a case hardly won: geography in the national curriculum of English and Welsh schools, 1991-, The Geographical Journal, 158(1), 65-74 

  14. Ball, J. M. & Steinbrink, J. E. & Stoltman, J, P., 1971, The Social Science and Geographic Education: A Reader, John Wiley & Sons, Inc 

  15. Butterfield, S., 1995, Educational Objectives and National Assessment, Open Uni. Press 

  16. Committee On Geographic Education, 1984, Guidelines for Geographic Educ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17. Daugherty, R, 1996, Defining and measuring progression in geographical education, Geography into the Twenty-first Century, E. M, Rawling and R A. Daugherty(eds.), John Wiley & Sons Ltd, 195-215 

  18. Fien, J., 1989, Planning and teaching a geography curriculum unit, Fien, J., Gerber, R. & Wilson, P.(eds.), The Geography Teacher's Guide to the Classroom(2nd ed.), 248-257 

  19. Geography Education Standards Project, 1994, Geography for Life -National Geography Standards 

  20. Griffith, R., 2000, National Curriculum: National Disaster?, Routledge, Falmer 

  21. Harvey, D., 1969, Explanation in Geography, Edward Arnold 

  22. Johnston, R. J., 1996, A Place in Geography, Geography into the Twenty-first Century, E. M. Rawling and R A. Daugherty(eds.), John Wiley & Sons Ltd, 59-76 

  23. Kent, A. & Lambert, D. & Naish, M. & Slater, F.(eds.), 1996, Geography in Education -Viewpoints on Teaching and Leam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Knight, C., 1994, Five Theme of Geography -Geography Across the Curriculum: A Teacher's Activity Guide(Grade, K-5)-, Parkway Publishers, Brone, North Carolina 

  25. Moon, B., 1996, A Guide to the National Curriculum, Oxford University Press 

  26. Novak, J. D., 1998, Learning, Creating, and Using Knowledge: Concept Maps as Facilitative Tools in Schools and Corporation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7. Oliver, P. F., 1997, Developing the Curriculum, 4th Edition 

  28. Longman.Ravitch, D., 1995, National Standards in American Education -A Citizen's Guid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9. Rawling, E., 1995, A School Geography Curriculum for the Twenty-First Century? The Experience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and Wales, in John E. Weakland(ed.),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Education, Ball State Uni, 1-21 

  30. Rawling, E., 1996, Geography 5-19: some issues for debate, Geography into the Twenty-first Century, E. M., Rawling and R. A., Daugherty(eds.), John Wiley & Sons Ltd, 247-274 

  31. Unwin, T., 1992, The Place of Geography, Longman Scientific & Teachnical 

  32. Wheeler, D. K, 1976(7th), Curriculum Process, Hodder and Stoughton Unibook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