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원군묘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the Excavated Fabrics form ewongun's Tomb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26 no.10, 2002년, pp.1390 - 1400  

조효숙 (경원대학교 의상학과) ,  안지원 (경원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type of fabrics and to analyze weaving method on the silk fabrics from ewongun's Tomb.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1) Among the 26pieces of excavated clothes,98% of them were made of silk fabric and among them 84% used high-quality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그림 4] 와 같이 평 직 이 전체 의 68%나 되 고, 수자직이 29%로서 출토직물의 97%는 평직과 수자직으로 되었으며 중조직과 익조직은 한점도 없었다"따라서본 연구에서는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에 사용한 평견직물과 수자직 견직물의 제직특성에 따른 명 칭구분방법 에 관하여 집 중적 으로 논의 하고자 한다.
  • 특히 의원군 복식 유물들은 상태가 양호하고 분묘에서부터 원래의 모습을 흐트러뜨리지 않고 수습되었으므로 실제로 시신이 입었던 습의와 염의, 보공용 복식 등을 구분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다른 출토 복식과 달리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기에 염습 의용으로 어 떤 유형 의 직 물이 사용되 었고, 다른 곳에 서 출토된 염습의 직물유형들과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직물의 제직특성은 어떠한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 하겠다. 더욱이 조선후기에는 수의 즉 염습 의용 직물명칭이 비교적 자세히 적혀 있는 문헌 자료들이 남아있기 때문에 의원군 분묘에서 출토된 수의용 직물들을 그러 한 문헌자료들과 비교함으로서 그 당시에 실제로호칭되었던직물명칭을부분적으로나마찾을 수 있었다.
  • 었는지를 조사한다. 둘째 의원군의 유물 중 염습의 에 사용한 직 물유형 과 기존 출토복식 중 염 습의 가구분되어 발굴된 사례들과 비교함으로써 조선후기 염습의 직 물사용의 경 향을 조사하고, 이 출토 사례 들을 조선 시대 상례 문헌자료들과 비교함으로서 그 시대에실제로호칭되었던 직물명칭을 찾고자노력하였다. 셋째이 번출토직물에는 다양한 종류의 평직과 수자 직의 견직 물 종류가 많이 출토되 었으므로 이 들의 실증적 분석을 통해 17세 기 말에서 18세 기 초기 의 平絹織物 및 繙 子織으로 제직된 段類의 경위사의 상태, 조직, 직물의 두께 및 폭 등 일 반적 인 제 직 특성 을 규명 하고자 한다.
  • 연구 목적은 첫째 의원군의 묘에서 출토된 전체 직물들의 유형을 분류하여 당시에 어떠한 직물이 많이사용되 었는지를 조사한다. 둘째 의원군의 유물 중 염습의 에 사용한 직 물유형 과 기존 출토복식 중 염 습의 가구분되어 발굴된 사례들과 비교함으로써 조선후기 염습의 직 물사용의 경 향을 조사하고, 이 출토 사례 들을 조선 시대 상례 문헌자료들과 비교함으로서 그 시대에실제로호칭되었던 직물명칭을 찾고자노력하였다.
  • 조선시대의 출토 복식 중 의원군의 출토유물과 같이 염습의 가 구분되어 출토된 남자복식 사례들만을과 같이 정리한 후, 이를의 의원군의 염습의사례와비교함으로서 조선시대 후기 염습의에 사용하였던 직물들의 유형들과 유사점 및 차이점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