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 평직물의 실과 조직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상고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yarn & weav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plain weave - Focused from the Sang-go(上古) period to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 -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1 no.1, 2013년, pp.1 - 16  

최승연 (전남대학교 BK 사업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plain weave excavated from Sang-go period to Joseon Dynasty. To do this, this study classified the Korean traditional plain weave into fiber types(cotton, hemp & ramie, plain weaved silk), analyzed and compared the thickness, twist typ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본 연구에서 연구 자료로 활용한 시대별 평직물 유물에 관한 문헌 자료들 가운데는 실측 자료가 모두 제시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대에 따른 섬유별 한국 전통 평직물의 특징에 관해 그 경향성을 제시하는 성격임을 미리 밝힌다.
  • 이상으로 상고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섬유의 종류에 따른 한국 전통 평직물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시대별로 실측 자료가 제시된 자료들을 가능한 모두 파악하려 하였다. 그러나 누락되거나 실측 자료가 모두 제시되지 않은 자료들이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작용하였다는 점을 밝힌다.
  • 본 연구는 한국 전통 출토 직물에 관한 문헌 자료 중 전통 평직물 유물에 관한 자료를 수집, 분석하는 간접 조사 방법에 의하였다. 간접 조사 자료로 활용한 문헌자료들은 한국 전통 직물에 관한 고문헌, 박물관 도록, 출토 복식 도록, 직물 관련 보고서, 선행 연구 논문 등이다.
  • 그러나 누락되거나 실측 자료가 모두 제시되지 않은 자료들이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작용하였다는 점을 밝힌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 평직물의 실과 조직의 기술적인 특징의 한 측면을 파악하게 할 수 있는 연구 자료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이후로도 새롭게 발굴되는 한국 전통 평직물에 관한 자료의 보완을 통해 한국 전통 평직물의 제사, 제직 기술 파악을 위한 연구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분류된 평직물 유물들은 시대별로 실의 굵기, 굵기비, 꼬임, 직물의 밀도, 밀도비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상고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섬유 종류에 따른 한국 전통 평직물의 특징을 통시적인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연구 자료로 활용한 시대별 평직물 유물에 관한 문헌 자료들 가운데는 실측 자료가 모두 제시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 이상으로 상고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섬유의 종류에 따른 한국 전통 평직물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시대별로 실측 자료가 제시된 자료들을 가능한 모두 파악하려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대별 마직물의 종합적인 특징에 대해 설명하시오. 04로 대체로 경사 밀도가 위사보다 높았다. 시대별 마직물의 특징을 종합하면, 대마 경위사 최대 밀도는 삼국시대 옥전고분군 유물, 저마는 백제 무녕왕릉 출토 유물로 파악되었다. 대마와 저마를 비교하면 시대별로 대마와 저마 모두 경사가 위사 밀도보다 높았다. 꼬임은 삼국시대까지는 경, 위사 모두 S꼬임이 가장 많고 무연도 파악되다 가 고려시대부터 경, 위사 모두 무연으로 전환된 것으로 보인다. 평균 밀도는 시대별로 모두 저마가 대마보다 높았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면직물 유물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실측 자료 비교가 가능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면직물 유물을 중심으로 한 면직물의 특징을 종합하면 경위사 밀도 평균과 경위사 최대 밀도는 고려시대보다 조선시대가 더 높았다. 공통점은 면직물의 꼬임은 주로 S꼬임이며, 대체적으로 경사 밀도가 위사 밀도보다 높다는 사실이다.
고려시대 면직물 유물의 밀도 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면직물의 시대별 특징은 최근의 발굴 결과로 위사에 강한 꼬임이 있는 삼국시대 면직물이 확인되어 유물로서의 상한 연대가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게 되었다. 고려시대 유물들은 실 굵기, 꼬임 방향은 알 수 없고 밀도만이 파악되는데, 밀도 평균은 18×17올/cm2 , 밀도비 평균 1.05로 전반적으로 경사 밀도가 위사 밀도보다 높았으며, 경위사 최대 밀도는 21×23올/cm2였다. 조선시대 면직물은 경위사 평균 굵기비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Cho, H. S. & Lee, E. J.(2003). A study on plain weaved silks at the end of the Joseon period shown in Takjijunjeol(度支準折).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3(5), 125-139. 

  2. Cho, H. S. & Lee, E. J.(2007). The characteristics of excavated fabrics from the couple's tomb of Jinju Ryu.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5(2), 51-62. 

  3. Cho, H. S. & Lee, E. J.(2009). Characteristics of the fabrics excavated from the tomb of Kimwhoak.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9(8), 132-151. 

  4. Cho, H. S.(1990). A study on the silks and weaving in Goryeo dynast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15, 95-106. 

  5. Cho, H. S.(1993). A proofs study on the silks in Goryeo dynast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20, 105-124. 

  6. Cho, H. S.(1996). Ancient silks excavated in Nakrang, Pyeongyang. Social Science Archaeology Institution, 1, 20-24. 

  7. Cho, H. S.(199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tton fabrics in the first half of Joseon dynast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45, 41-54. 

  8. Cho, H. S.(2003). A comparative study on the excavated fabrics from Yeoheoung-Min's tombs and Uigwe in 17C. Society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6(3), 87-99. 

  9. Cho, H. S.(2003). Weaving characteristics of Byun-Su tomb's, The Review of Folk Life, 11, 1-33. 

  10. Cho, H. S.(2004). Characteristics of the excavated Fabrics from Shim Su-ryun's tomb(1534-1589). Society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7(2), 81-92. 

  11. Cho, H. S.(2006). Characteristics of the excavated fabrics from Kim Yeoon's tomb(1596-1665).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1), 139-150. 

  12. Cho, H. S.(2006). Characteristics of the excavated fabrics from Papyeung-Yun's tomb.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6(1), 32-43. 

  13. Cho, H. S., & Ahn, J. W.(2002). Characteristics of the excavated fabrics from Ewongun's tomb(1661-1722).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9-10), 1390-1400. 

  14. Cho, H. S., Lee, E. J. & Jeon, H, S.(2007). The study on the fabrics of King Muryeong's tomb at the Baekje(百濟) perio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7(8), 37-47. 

  15. Cho, H. S., Lee, E. J. & Jeon, H, S.(2007). The study on the fabrics of Gilt-Bronze shoes found at the tomb of king Mu-Ryeong of Baekj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7(1), 93-104. 

  16. Ewha Womans University.(2006). Study on general Choi's excavated costume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7. Jang, H. J., & Kwon, Y. S.(1993). The type of Korean plain weaved silks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20, 169-178. 

  18. Kim, D. K., & Chin, Y. G.(2003). Textural characteristics of imprinted textiles in some relics excavate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5(3), 299-303. 

  19. Kim, J. Y.(2003). (A) Study on textiles used for Cheolik in the Joseon Dynasty.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20. Kim, J. Y., & Kim, E. J.(2005). A study of Jinjoo Kang Clan's textiles. Hankook Boksik, 23, 183-207. 

  21. Koo, W. Y.(2003). (A) Study on the industry of cotton fabrics in the middle Chosun Dynasty. Master's thesis, Busan University, Busan, Korea. 

  22. Kwon, Y. S., & Jang, H. J.(2001). A study of the fabrics for enshrining oblations inside a buddhist statue in MoonSoo temp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1(6), 101-115. 

  23. Kwon, Y. S., Cho, H. H., Jang, H. J., & Kim, J. O. (2000). Type and characteristics of fabrics excavated from Chonmachong of Shilla er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0(7), 129-139. 

  24. Kyonggi Museum.(2001). Research reports of excavated costumes: From Jeonjoo Lee(Uiwongun family lineage) graves at Hanam. Gyeonggi: Kyonggi museum. 

  25. Kyonggi Museum.(2003). Research reports of excavated costume: from the Graves of the Tong-Rye Jung Clan. Gyeonggi: Kyonggi museum. 

  26. Lee, S. M.(2002). Study on bast fabrics in Korea: based principally on Korea-sa.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7. Min, G. Z.(2000). Korean traditional textile history. Seoul: Hanrimwon. 

  28.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991). Korean folk research. Daeje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9. Onyang Folk Museum.(1991). A study of relics enshrined in Amita-Buddhist statue made in 1302. Onyang: Onyang Folk Museum. 

  30. Park, Y. M.(2008). The characteristics of textiles excavated in Shilla Tombs(5-6th centur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8(1), 9-16. 

  31. Park, Y. M.(2009). A study of the fabrics used for the official hats in Baekje dynast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9(3), 82-95. 

  32. Park, Y. M., & Choi, J. H.(2009). The characteristics of textiles excavated in Goryeong Jeesandong Tomb No.73.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9(6), 118-125. 

  33. Park, Y. M., & Jeong, B. N.(1999). A study on fabrics in Kaya perio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49, 85-93. 

  34. Park, Y. M., & Jeong, B. N.(2001). A study on imprinted fabrics in Daragook.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1(7), 35-47. 

  35. Park, Y. M., & Jeong, B. N.(2001). A study on imprinted fabrics on remains of Ara-Kaya & Dae-Kaya. The Costume Culture Association, 9(5), 759-769. 

  36. Park, Y. M., & Jeong, B. N.(2007). The characteristics and weaving method of textiles in Daegaya perio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7(1), 163-175. 

  37. Park, Y. M., & Jeong, B. N.(2007). The characteristics of attached textiles on the remains of Shimchun-ri and Moonsan-ri tombs.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9(2), 243-248. 

  38. Park, Y. M., & Jeong, B. N.(2008). The characteristics of textiles excavated in Soochonri tombs of 5th century Baekjae perio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58(10), 164-172. 

  39. Sim, Y. O.(2002). 5,000 years of Korean textiles. Seoul: I. S. A. T. 

  40. Sim, Y. O.(2004). Excavated clothing research of Lee Eung-Hae tomb. Chungju: Chungju Museum. 

  41. Sim, Y. O., & Min, G. Z.(1994). A study on the textiles of the age of Kojosun, Booyeo and Kogooreo which were excavated in the east and Nort area of Chin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22, 61-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