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웹기반의 신장질환별 영양평가 밑 식사처방 프로그램
A Web-based Internet Program for Nutritional Assessment and Diet Prescription by Renal Diseas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1 no.5, 2002년, pp.847 - 885  

한지숙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종경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영수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임상영양 분야의 전문 웹사이트로서 신장질환 환자를 위한 식사관리 및 영양평가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프로그램은 신장질환을 신증후군, 신부전증, 혈액투석복막투석으로 분류하고 식단 및 영양관리 프로그램과 식사섭취의 진단 및 평가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신장질환별 영양권장량 및 표준체중 파일, 식사섭취자료, 식품 및 영양소 데이터베이스 파일, 음식영양소 함량 파일, 영양소별 20순위 식품 파일, 신장질환별 식단 및 일일 식단표 파일, 식사력 조사 및 평가 파일, 식사요법 및 영양관리 파일 등을 데이터 베이스로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웹 페이지 형식으로 만들어졌다. 사용자는 인터넷 사이트로 들어가 자신의 신장질환 및 일반사항 등을 입력함으로서 표준체중, 체격지수, 열량 및 단백질, 나트륨 등의 영양소 필요량과 함께 사용자의 BUN, Cr, na, K, Ca, P Ccr, Alb이 표준수치와 비교 제시된다. 사용자의 열량 및 영양소 필요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그 환자에게 알맞은 10일간의 식단이 제공되며 그 중 원하는 식단의 선택에 따라 식품명, 섭취량, 목측량이 표시된 구체적인 일일 식단표도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이 섭취한 음식에 대하여 영양섭취상태를 평가받으려면 식사섭취 진단 항목을 클릭한 후 섭취 음식 입력 항목을 선택하여 날짜별, 식사별로 자신이 하루동안 섭취한 음식 및 섭취량 등을 입력하고 영양섭취상태를 클릭하면 식사별, 식품군별로 다양하게 식사섭취상태의 진단과 영양평가를 받을 수 있다. 또한 각 신장질환에 따른 식사력 조사 및 상담\ulcorner평가를 이용함으로서 자신의 식습관 및 식사요법 등에 있어서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밖에 신장 질환별로 식품선택방법, 외식, 조리법, 식품교환표 등 환자들이 자신의 영양관리를 하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eb-based internet program for nutritional assessment and diet Prescription by renal diseases. Renal diseases were classified by nephrotic syndrome, renal failure, hemodialysis and peritoneal dialysis. The system consisted of five parts according to their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임 상영 양 분야의 전문 웹사이 트로서 신장 질환별 식사관리 및 영양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프로그램의 구성은 신장질환을 신증후군, 신부전증, 혈액투석, 복막투석으로 분류하고 이에 따른 신장 질환별 환자의 식사관리 프로그램으로 각 질환에 따른 식사력조사및 상담 .
  • 4). 또한 사용자가 원 하는 식 품군을 클릭 하면 그 식 품군의 특성 과 신장질환 환자가 주의해야 할 점들을 함께 제시하여 식품군에 대한 바른 정 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밖에 사용자가 식품 선택의 구체 적 인 분량을 알기 위하여 식품 선택의 구체적 인 예를 클릭하면 각 식품군의 교환 단위수 설명 뿐 아니라 1일 식품의 구체적인 예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 식물성 영양소 섭취상태, 기간별 영양소 섭 취 변화 등을 평 가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병원의 임상영양사 뿐만 아니라 누구나 쉽 게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많은 자료와 함께 사용자 중심의 편리한 환경 구현에 중점을 두고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임상영양 분야의 전문 웹사이트로서 신장질환환자를 위한 식사관리 및 영양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프로그램은 신장질환을 신증후군, 신부전증, 혈액투석 및 복막투석으로 분류하고 식단 및 영양 관리프로그램과 식사섭취의 진단 및 평가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 본 프로그램은 신장질환별 식 사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들이 올바른 식생활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데이터 파일로는 신장질환별 영양권장량 및 표준체중 파일, 식 사력 조사 및 평 가 파일, 식 사요법 및 영 양관리 파일, 식 사섭취자료 파일, 식품 데이터베이스 파일, 영양소 데이터베이스 파일, 음식영양소 함량 파일, 영양소별 Top20 식품 파일, 신장 질환별 식단 및 일일 식단표 파일 등이 입력되었다.
  • 그러므로 신장질환 환자는 기능이 저하된 신장을 고려한 생활양식의 변화와 함께 부종, 저알부민혈증, 고지혈증 등의 합병증을 저하시킬 수 있는 행동 수정이 필요하다. 이 에 사용자가 행동 수정을 클릭하면 식사요법이 성공하기 위한 행동 수정이유와 구체적인 방법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cginnis JM, Foeg WH. 1993. Actual causes of death in the 

  2. Halsted CH. 1998. Clinical nutrition education-relevance and role models. Am J Clin Nutr 67: 192-196. 

  3. Kang JH. 1998.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of nutritional assessment in periodic health examination. Kor J Community 

  4. Moon SJ, Sohn CY, Kim JH, Kim HS, Li HS, Lee HC, Huh 

  5. Nestle M. 1998. Nutrition in medical education-New policies needed for the 1990S. J Nutr Educ 20: 1-6. 

  6. Lee JJ, Choi MH, Lee SG, Lee DB. 1997. Patients' evaluation on foodservice in university and general hospitals. 

  7. Lim HS, Kim HM, Kim JL. 1995. A study of in-patients' evaluation on the dietetic foodservices. J Kor Dietetic Assoc 

  8. Lyu ES, Lee SM, Hyh KY. 1996. A study of satisfaction with nutrition counseling service for consumers. J Kor Dietetic 

  9. Lyu ES, Lee SM, Hyh KY. 1995. A study on the current of hospital practices in clinical dietetics. J Kor Dietetic Assoc 

  10. Park HR, Kwon JY. 1999. The job satisfaction and selfassessment of pubic health nutritionists. Kor J Community 

  11. Choue RW, Hong JY. 1995. Evaluation of development and necessity of therapeutic diet manual in medical practice. 

  12. Han JS. 2000. A system for nutritional assessment and diagnosis of dietary intakes through internet. J Kor Soc Food Sci Nutr 29: 1177-1184. 

  13. Hong SM. 1989. Development of computer programs for nutrition counseling. Kor J Nutr 22: 275-289. 

  14. Kim YH, Shin ES, Kang EH, Kim JH, Kim MK, Kim KJ, Hong 

  15. Kim HJ, Jang EJ, Hong WS. 2000. The assessment of management practices on foodservice and clinical nutrition services in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s. J Kor Dietetic Assoc 6: 

  16. Eom YR. 1998. Dietary management for the patients undergoing maintenance hemodialysis. Kor J Nephrology 7: 63-65. 

  17. Kim SM, Lee YS, Cho DK. 1998. Nutritional assessment of the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Kor 

  18.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995. Guideline for nutrition counseling.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Hospital Subcommittee. 

  19. Asan Medical Center, Nutrition Dept. 1995. Handbook of clinical nutrition. Asan Medical Center, Seoul. p 20. 

  20.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995. Diet therapy of renal diseases; nutrition education material 7.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1.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995. Food exchange lists for renal diseases.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2. The Korean Nutrition Information Center. 1998. Food value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23.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1996. Food composition table. 5th rev.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2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996.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5. The Korean Nutrition Information Center. 1998. Food values of portions commonly used.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