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발효온도과 포장방법이 깍두기의 저장기간, 젖산균수 및 깍두기 포장물의 부피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pH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적숙기인 산도0.6%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0^{\circ}C$에서 30일로 15$^{\circ}C$에서의 6일에 비해 5배 정도 저장성이 높았다. 발효온도에 따른 Leuconostoc sp. 젖산균의 수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Lactobacillus sp. 젖산균의 수는 $0^{\circ}C$에서 발효시킨 깍두기에서 가장 적었다. 또한 $0^{\circ}C$에서 발효시킨 깍두기에서 알루미늄 파우치 의 부피팽창이 가장 적었다. 플라스틱 병과 알루미늄포장지에서 발효한 깍두기는 pH와 산도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가스흡수제(Ca(OH)$_2$)를 넣은 알루미늄포장지에서 발효한 깍두기는 적색도가 낮고 황색도가 높아 깍두기의 색이 탈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배추김치에 비해 저장성이 낮은 깍두기의 경우 $0^{\circ}C$에서 발효하는 것이 저장성을 높일 수 있으며 플라스틱 병에서 저장할 경우 포장물의 부피팽창과 깍두기의 탈색을 억제할 수 있어 깍두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packing method on the changes in pH, acidity, the levels of lactic acid bacteria, volume expansion of packages and the colorness during the fermentation of kakdugi (diced radish kimchi) were investigated.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 용하였다. 시료액 1 mL를 멸균한 증규수로 단계 적으로희 석 하여 각 희 석 액 중 0.1 mL씩 을 미 리 가열 용해 하여 43 〜 45"C로 냉각한 MRS배 지 10 mL에 넣고 혼합한 후 petri dish 에 평 판을 만들고 37"0 incubator에 서 배 양하여 나타난 col- ony의 수를 세어 젖산균수로 측정하였다. Lactobacillus sp.
  • 깍두기 에 사용한 양념 의 배합비는 무 1000에 대한 상대 비로 고춧가루 35, 쪽파 38, 마늘 23, 생강 6.8, 설탕 14, 새우젓 41, 찹쌀풀 100을 첨가하였다. 무를 잘 다듬어 씻은 후, 2X2 X2 cm로 깍둑썰기하여 무 무게의 4배 분량의 7% 염수에 무를 담궈 5°C에서 1시간 절였다.
  • 담금한 깍두기를 aluminium pack(PET/AL/PE)을 사용하여 500 g 단위 로 포장한 후 15°C에서 10일간, 10°C에서 10일간, 5°C에서 20일간, 0°C에서 30일간 발효하였다.
  • 또한 깍두기의 상품성을 향상시키기 위 해 포장방법에 따른 깍두기의 저장성과 색도변화를 측정하였다.
  • 발효온도과 포장방법 이 깍두기 의 저 장기 간, 젖산균 수 및 깍두기 포장물의 부피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발효 온도가 높을수록 pH가 급격 히 감소하였으며, 적 숙기 인 산도 0.
  •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조건에서 담근 깍두기를 알루미늄 파우치에 담아 저장온도만 달리하여 발효하면서 이화학적 변화와 젖산균 수의 변화 및 포장물의 부피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깍두기의 상품성을 향상시키기 위 해 포장방법에 따른 깍두기의 저장성과 색도변화를 측정하였다.
  • Leuconostoc sp. 젖 산균을 계 수하기 위한 선택배지로 phenylethyl alcohol고! sucrose를 첨가한 phenylethyl alcohol sucrose agar medium(PES medium)를사용하여 20°C에서 5일간 평판 배양하였다(16, 17).

대상 데이터

  • 포장 실험에 사용한 유연 포장지로는 가스흡수제가 처리안 된 알루미늄 포장지 (PET/AL/PE, 500 g 용량), 가스흡수제 (Ca(OH)2)가 부착된 알루미늄 포장지, PET/AL/PE, 500 g 용량)를 사용하였고, 포장용기 로는 투명 플라스틱 병 (PET)을사용하였匸" 포장된 깍두기는 10"C에서 20일 간 발효시 켰다.
  • 구입하였다. 또한 사용한 양념류 중 고춧가루는 제천농협의 박달재 고춧가루를 사용하였고, 쪽파는 경 남 기장산 재래종 쪽파를, 새우젓은 목포산 새우젓으로 전체적으로 맑고 군덕 내나 비 린 내 가 나지 않는 것을 다져 서 사용하였다. 찹쌀풀은 찹쌀가루와 물의 비율을 1 : 8로 하여 끓인 후 식혀서 사용하였고, 설탕은 정제당을 사용하였다.
  • 본 실험에서 사용한 무는 계절별로 적합한 품질의 병충해를 입지 않은 것으로 바람이 들지 않고 근부의 내부가 깨끗한 흰색을 띠면서, 달고 매운맛이 약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남해산의 마늘, 충북 서산산 생강을 김치를 담그는 당일 부산의 부전시장에서 구입하였다. 또한 사용한 양념류 중 고춧가루는 제천농협의 박달재 고춧가루를 사용하였고, 쪽파는 경 남 기장산 재래종 쪽파를, 새우젓은 목포산 새우젓으로 전체적으로 맑고 군덕 내나 비 린 내 가 나지 않는 것을 다져 서 사용하였다.
  • 찹쌀풀은 찹쌀가루와 물의 비율을 1 : 8로 하여 끓인 후 식혀서 사용하였고, 설탕은 정제당을 사용하였다. 소금은 간수를 제거한 천일염((주)우일염 업 )을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측정하였다. 산도는 시료 20 mL를 20배 희석하여 이 중 10 mL을 취 하여 AOAC방법 (15)에 따라, 0.1% phenolphthak ein을 지 시약으로 1 mL 첨가하고 0.1、NaOH로 적정하여 분홍색을 띄는 점을 종말점으로 하였다. 적정값은 젖산으로 환산하여 함량 %로 나타내었다.
  • 젖산균수의 측정 에는 평 판 계수법 (plate count technique) 을 이 용하였다. 시료액 1 mL를 멸균한 증규수로 단계 적으로희 석 하여 각 희 석 액 중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im MR, Jhee OH, Yoon HM, Yang CB. 1996. Flavor characteristics of kakdugi by radish cultivars and seas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762-771. 

  2. Hwang KM. 1999. Studies on standardization of preparation of fermentation method and cancer prevention effect of kakdugi.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3. Kim YA. 2001. Cancer chemopreventive effects of kakdugi and conditions of distribution.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4. Kim SD, Kim MJ. 1988. Changes of salt and calcium concentration in radish during salting. J Korean Soc Food Nutr 17: 110-114. 

  5. Kim KJ, Kyung KH, Myung WK, Shim ST, Kim HK. 1989. Selection scheme of radish varieties to improve storage stabilities of fermented pickled cubes with special reference to sugar content. Korean J Food Sci Tehcnol 21: 100-108. 

  6. Kim SY, Kim KO. 1989. Effect of sodium chloride concentrations and storage periods on characteristics of kakdugi.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370-374. 

  7. Ku KH, Kang KO, Kim WJ. 1988. Some quality changes during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476-482. 

  8. Kim MR, Mo EK, Kim JH, Lee JK, Sung CK. 1999. Effect of hot water extract of natural plants on the prolongation of optimal fermentation time of kakdug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65-370. 

  9. Moon KD, Byun JA, Kim SJ, Han DS. 1995. Screening of natural preservatives to inhibit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57-263. 

  10. Ahn SJ. 1998. The effect of salt and food preservative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Soc Food Sci 4: 39-50. 

  11. Hong SI, Park JS, Park NH. 1994. Relationships between fermentative gas pressure and quality changes of packaged kimchi at different temperatures (in Kor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 770-775. 

  12. Hong SI, Park JS, Park NH. 1995. Quality changes of commercial kimchi products by different packaging methods (in Kor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12-118. 

  13. Ahn MS, Lee JY. 1996. A study on development of facilities for preservation of kimchi. Korean J Soc Food Sci 12: 499-505. 

  14. Yoon KY, Kang MJ, Shin SR, Yoon KS. 1998. Effects of gas-absorbent on the storage of kimchi.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5: 363-367. 

  15.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difficial analytical chemists, Inc., Virginia. p 918. 

  16. Lee CW, Ko CY, Ha DM. 1992. Microfloral changes of lactic acid bacteria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isolates.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0: 102-109. 

  17. Lee MK, Park WS, Kang KH. 1996. Selective media for isolation and enume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745-760. 

  18. Mheen TI,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19. Cho EJ. 1999. Standardization and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ies of Chinese cabbage kimchi. PhD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20. Choi KC, Kim MY, Jung SK. 1995. Quality changes and shelf-life of cut cabbage kimchi under various storage temperatures and packing material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Agric Products 2: 277-2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