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지역 청소년의 칼슘에 대한 인식 및 섭취실태
Calcium Intake and Cognition on Calcium of Adolescents in Busan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1 no.6, 2002년, pp.1026 - 1034  

한지숙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정희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청소년들의 칼슘에 대한 인식 및 섭취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부산시내 초등학교 6학년 145명, 고등학교 2학년 140명, 총 295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칼슘에 대한 인식 및 섭취실태를 설문 및 식이섭취조사 방법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들은 칼슘과 우유의 기능, 골다공증과 칼슘과의 관계는 잘 인식하고 있었으나, 칼슘의 흡수와 관련이 있는 영양소에 대해서는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칼슘에 대한 인식의 정도는 여학생들이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초등학교 남학생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칼슘식품에 대한 기호도는 아이스크림, 김, 요구르트 순으로 높았으나 콩 및 뱅어포 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좋아하는 정도가 달랐다. 청소년들의 하루 평균 칼슘 섭취량은 여학생에서 491.51~530.5 mg, 남학생이 554.5~636.7 mg이었으며 이는 한국인 영양권장량의 각각61.4~66.3%, 69.3~70.7%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칼슘 섭취량이 RDA 66.7% 미만의 경우가 고등학교 여학생에서 54.9%로 다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여고생들이 운동의 횟수나 운동량이 적다는 사실도 함께 나타나 이 집단에 대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하였다. 또한 청소년들의 칼슘급원 식품군은 우유 및 유제품, 채소류, 어패류 및 곡류 순이었으며, 칼슘섭취량은 칼슘에 대한 영양지식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인식이 높을수록 칼슘섭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alcium intake and cognition on calcium of adolescents in Busan area. Questionnaires including dietary habit, cognition on calcium, preference of calcium rich foods and diet record were developed. The questionnaires surveyed 285 adolescents consisted of 145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기 청소년기로서 칼슘 섭취가 저하되기 전의 연령대인 초등학교 6학년과 칼슘 섭취에 있어서 저하가 뚜렷한 연령대인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이들의 식이 섭취 양상을 조사하여 칼슘 식품 섭취 상태를 파악하고 이들 식품 섭취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 및 기호도를 조사함으로서, 청소년들이 칼슘 섭취 량을 증대 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그러나 우리 식단에서의 곡류 및 채소류의 섭취분량과 횟수를 감안한다면 이들 식품이 청소년들의 칼슘 섭취에 상당한 영 향을 미칠 것이다. 이에 청소년들의 칼슘 흡수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이들 식품의 체내 이용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hils ME, Young VR. 1988. Modern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7th ed. Lea & Febiger Publishers, Philadelphia. p 142-159. 

  2.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revision. Seoul. p 157-166. 

  3. Heaney RP. 1993. Nutrition factors in osteoporosis. Annu Rer Nutr 13: 287-316. 

  4. Angus RM, Sambrook PN, Pckock NA, Eisman JA. 1988. Dietary intake and bone mineral density. Bone Miner 4: 265-277. 

  5. Kleibeuker JH, Welberg JW, Mulder NH, Cats A, Limberg AJ, Lloyd T, Andon MB, Rollings N, Martel JK, Landis R, Demers LM, Eggli DF, Kalin ME. 1993. Calcium supplementa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adolescents girls. J Am Med Assoc 270: 841-844. 

  6. Ruiz JC, Mandel C, Garabedian M. 1995. Influence of spontaneous calcium intake and physical exercise on the vertebral and femoral bone mineral densit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J Bone Miner Res 5: 675-681. 

  7. Kim WY. 1996. Osteoporosis and dietary factor. Korean J Nutr 27: 629-645. 

  8. Ro HY. 1997. Nutritional status of female students in the sixth grade attending a rural primary school. Kor J Community Nutr 2: 275-280. 

  9. Lee HJ, Lee HO. 1999. A study on the bone mineral density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Nutr 32: 197-203. 

  10. Lee SW, Sung CJ, Kim AJ, Kim MH. 2000. A study on nutritional attitude, food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according to nutrition knowledge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5: 419-431. 

  11. Kim HI. 1997. A study on the preference for calcium source foods: recognition and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MS thesis. Youngnam University. p 11-14. 

  12.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996.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13. Han JS. 2000. A system for nutritional assessment and diagnosis of dietary intakes through intern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177-1184. 

  14. SAS. 1992. User's guide : Statistics. SAS Institute Inc, USA. 

  15. Hong SJ. 1984.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food habi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p 32. 

  16. Ryu HK, Yoon JS. 1998. Relations of perception of obesity and experiences of weight control and body image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3: 202-209.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9. National report of health and nutrition survey. p 219. 

  18. Yong SJ, Lim SK, Hur KB, Park BM, Kim NH. 1988. Bone mineral density of adults in Korea. Korean J Medical Assoc 31: 1350-1358. 

  19. Cho MS, Choi NS, Kim WY. 1989. Effect of dietary protein level on bone metabolism of young and aged rats. Korean J Nutr 22: 497-506. 

  20. Choi HM. 1999. 21 Century Nutrition. Kyomunsa, Seoul. p 280. 

  21. Aloia JE. 1988. The gain and loss of bone in the human life cycle. Adv Nutr Res 9: 1-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