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들깻잎 분말 첨가가 돈육소시지의 표면색깔, 아질산 잔류량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Perilla Leaf Powder on the Surface Color, Residual Nitrite and Shelf Life of Pork Sausage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2 no.6 = no.55, 2002년, pp.654 - 660  

정인철 (대구공업대학 식음료조리과) ,  김영길 (동아대학교 식품과학부) ,  문윤희 (경성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들깻잎 첨가와 도체 등급이 돈육소시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B 및 I 등급 원료육에 들깻잎을 첨가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것 4 종류의 돈육소시지를 제조하였다. 돈육소시지의 L*값은 제조직후가 가장 높았으며, 들깻잎을 첨가한 것이 낮게 나타났다. B 등급 돈육소시지의 a*값은 저장 8주 째에 가장 낮았고, 들깻잎을 첨가한 B 등급 돈육소시지는 저장 4주 째에 가장 높았으며, E 등급 및 들깻잎을 첨가한 E 등급 돈육소시지는 저장 중 현저한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들깻잎을 첨가한 것이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a*값이 낮았으며, b*값은 들깻잎을 첨가한 돈육소시지가 높았다. 들깻잎을 첨가한 돈육소시지의 아질산 잔류량은 저장 2주까지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첨가하지 않은 것은 4주까지 큰 폭으로 감소하여서 들깻잎의 첨가가 아질산 잔류량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B 등급 및 들깻잎을 첨가한 B 등급 돈육소시지의 pH는 4주까지 감소하다가 6주부터 증가하였다. VNN 함량은 저장초기 6.7~8.4mg%이던 것이 저장 중 증가하여 8주 째에는 16.1~19.5mg%를 나타내었다. 돈육소시지의 TBARS는 저장 중 증가하였으며, 들깻잎을 첨가한 것이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저장 중 더 낮았다. 총균수는 모든 돈육소시지가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증가폭은 들깻잎을 첨가한 것이 낮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dition of perilla leaf(PL) powder and carcass grade on the surface color, residual nitrite and shelf-life of pork sausage. Pork sausage was prepared by four type such as grade B pork sausage(A sausage), grade B pork sausage containing peril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영향을 연구한 것은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저장중 돈육소시지의 품질 및 저장성에 미치는 들깻잎의 첨가 및 도체 등급에 관한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돈육소시지에 0.3%의 들깻잎 분말을 첨가하였으며, 도체 등급을 B 및 E로 판정 받은 원료 등심을 이용하여 돈육소시지를 제조하고 저장 중의 표면색깔, 아질산 잔류량의 변화, 저장성 등을 실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들깻잎 첨가와 도체 등급이 돈육소시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B 및 E 등급 원료 육에 들깻잎을 첨가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것 4 종류의 돈육소시지를 제조하였다. 돈육소시지의 L* 값은 제조직후가 가장 높았으며, 들깻잎을 첨가한 것이 낮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G, C.Y.W., HUANG, Y.W.. Color Changes of Chicken Leg Patties Due to End‐point Temperature, Packaging and Refrigerated Storage. Journal of food science : an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stitute of Food Technologists, vol.59, no.1, 26-29.

  2. BREWER, M. SUSAN, MCKEITH, FLOYD, MARTIN, SCOTT E., DALLMIER, ANTHONY W., MEYER, JACI. Sodium Lactate Effects on Shelf‐Life, Sensory,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Fresh Pork Sausage. Journal of food science : an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stitute of Food Technologists, vol.56, no.5, 1176-1178.

  3. J. Food Prot. 56 474 1993 10.4315/0362-028X-56.6.474 

  4. 10.1016/S0076-6879(78)52032-6 

  5. Food Technol. 49 72 1995 

  6. Faure, M., Lissi, E., Torres, R., Videla, L.A.. Antioxidant activities of lignans and flavonoids. Phytochemistry, vol.29, no.12, 3773-3775.

  7. J. Food Prot. 44 302 1981 10.4315/0362-028X-44.4.302 

  8. Helser, Michael A., Hotchkiss, Joseph H.. Comparison of tomato phenolic and ascorbate fractions on the inhibition of N-nitroso compound formatio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vol.42, no.1, 129-132.

  9. KEETON, JIMMY T.. Effects of Fat and NaCl/Phosphate Levels on the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Pork Patties. Journal of food science : an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stitute of Food Technologists, vol.48, no.3, 878-881.

  10. LAMKEY, J. W., LEAK, F. W., TULEY, W. B., JOHNSON, D. D., WEST, R. L.. Assessment of Sodium Lactate Addition to Fresh Pork Sausage. Journal of food science : an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stitute of Food Technologists, vol.56, no.1, 220-223.

  11. J. Korean Soc. Food Nutr. 22 266 1993 

  12. J. Korean Soc. Food Nutr. 22 175 1993 

  13. J. Fd Hyg. Safety 15 88 2000 

  14. OSBURN, W. N., KEETON, J. T.. Konjac Flour Gel as Fat Substitute in Low‐fat Prerigor Fresh Pork Sausage. Journal of food science : an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stitute of Food Technologists, vol.59, no.3, 484-489.

  15. Reddy, D, Lancaster, JR, Cornforth, DP. Nitrite inhibition of Clostridium botulinum: electron spin resonance detection of iron-nitric oxide complexes. Science, vol.221, no.4612, 769-770.

  16. SATO, KUNITO, HEGARTY, GERALD R.. WARMED-OVER FLAVOR IN COOKED MEATS. Journal of food science : an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stitute of Food Technologists, vol.36, no.7, 1098-1102.

  17. SHELEF, L. A., NAGLIK, O. A., BOGEN, D. W.. SENSITIVITY OF SOME COMMON FOOD‐BORNE BACTERIA TO THE SPICES SAGE, ROSEMARY, AND ALLSPICE. Journal of food science : an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stitute of Food Technologists, vol.45, no.4, 1042-1044.

  18. Takahama, Umeo. SUPPRESSION OF LIPID PHOTOPEROXIDATION BY QUERCETIN AND ITS GLYCOSIDES IN SPINACH CHLOROPLASTS.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vol.38, no.3, 363-367.

  19. Food Technol. 8 326 1954 

  20. Food Technol. 43 143 1989 

  21.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1 18 2001 

  22. Yan-Chun, Z., Rong-Liang, Z.. Phenolic compounds and an analog as superoxide anion scavengers and anti oxidants. Biochemical pharmacology, vol.42, no.6, 1177-1179.

  23. Biochemical Pharmacology 42 1177 1991 10.1016/0006-2952(91)90251-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