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체표면에서 분리한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pathogens isolated from surface of carcas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9 no.4, 2002년, pp.434 - 440  

정영숙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나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신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쇠고기의 위생적 품질을 개선하고자 신선육의 HACCP의 위해 요소로 작용하는 병원성 미생물인 E. coli O157:H7 CDF1, A. sobria CDF3, S. aureus CDF2를 도체표면에서 분리하여 이들의 성장특성을 검토하였다. 신선육의 도축처리단 계별 총균수는 세척 후가 세척 전 보다 $10^1$~ $10^2$/$\textrm{cm}^2$ 더 높았다. 냉각 후 총균수는 냉각 전보다 $10^1$~ $10^2$/$\textrm{cm}^2$ 감소하였고, 수송 후 도체표면의 총균수는 계절에 관계없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E. coli O157:H7 CDF1와 S. aureus CDF2 는 37$^{\circ}C$, A. sobria CDF3는 3$0^{\circ}C$에서 가장 성장이 좋았다. E. coli O157:H7 CDF1은 pH 4에서도 완만한 성장을 하였으나 A. sobria CDF3와 S. aureus CDF2는 성장이 관찰되지 않았다. E. coli O157:H7 CDF1은 NaCl 농도 6%에서도 성장이 관찰되었으며 A. sobria CDF3는 4%에서 성장이 억제되었고, 6%에서는 성장이 관찰되지 않았다. E. coli O157:H7 CDF1과 S. aureus CDF2 는 lactic acid 0.3%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뚜렷한 성장억제현상을 나타내었으며 0.5% 첨가구에서는 성장이 관찰되지 않았다. A. sobria CDF3은 lactic aicd 0.3%에서도 성장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E. coli O157:H7 CDF1의 경우 1$0^{\circ}C$에서는 3일 이후 급격히 성장하여 배양 전 기간 동안 양호한 성장률을 보였으나 4$^{\circ}C$에서는 성장을 거의 관찰 할 수 없었다. A. sobria CDF3는 4$^{\circ}C$에서 3일째부터 성장하였다. 분리균에 대한 열내성을 측정한 결과 E. coli O157:H7 CDF1은 6$0^{\circ}C$에서 3분 열처리, A. sobria CDF3는 6$0^{\circ}C$에서 3분, 7$0^{\circ}C$에서 2분간 열처리, S. aureus CDF2는 7$0^{\circ}C$에서 2분간 열처리시 이들 균주가 관찰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5. coli O157:H7 CDFI, A. sobria CDF3 and S. aureus CDF2 isolated from surface of carcass were investigated to improve hygienic quality of beef. The total count of carcass surface before washing was higher than that of after washing. Total count of after cooling decrea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HACCP제도에 영향을 주는 위해요소로써 육에서 발견될 수 있는 병원성 미생물은 Escherichia coli O157:H7(9,10), Salmonella(ll,12), Listeria monocytogenes(l'3,14), Staphylococcus aureus(15-r7)등을 비롯한 여러 가지가 있다. 이러한 식중독 원인 세균의 사전 방지를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으로 본 실험은 쇠고기의 위생적 품질을 개선하고자 신선육의 HACCP의 위해 요소로 작용하는 병원성 미생물인 E coli O157:H7, A. sobria, S. aureus 분리하여 이들의 성장특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이종문, 박범영 (1996) 쇠고기 생산 및 도축과정의 HACCP-system. 한국축산식품학회지, 16, 140-146 

  2. 신광순 (1998) 식육처리장과 유통과정에서의 축산식품에 대한 위생적 안전성 관리대책 수립을 위한 종합적 조사 연구. 현장애로기술개발사업연구성과보고서, 185-187 

  3. 이태식 (1997) 수산물 수출에 따른 HACCP제도 대응에 관한 연구. 현장애로기술개발사업연구성과보고서, 170-171 

  4. 정석찬, 정병열, 전용수, 김종염, 이재진, 박용호 (1997) 식품관련 유해미생물의 특성.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21, 181-194 

  5. 片岡, 長雄, 田原, 原 みゆき (1996) 米國におけると畜檢査制度と食肉衛生管理の檢討. 食肉に關する助成硏究調査成果報告書, 293-297 

  6. 천석조, 박선희, 유화춘, 오원택, 김창남 (1995) 식품산업의 HACCP적용에 관한 연구(게맛살제품을 중심으로).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25-32 

  7. 신광순 (1997) 식육처리장과 유통과정에서의 축산식품에 대한 위생적 안전성 관리대책 수립을 위한 종합적 조사 연구. 1996연차보고서 현장애로기술개발사업/농림부농림수산기술관리센터, 78 

  8. Anon (1999) 병원성대장균 O157에 의한 식중독. 식품위생정보, 22(1999) 

  9. Korsa, W.J., Cutter, C.N. and Siragusa, G.R. (1997) Effects of Steam-Vacuuming and hot water spray wash on the microflora of refrigerated beef carcass surface tissue inoculated with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innocua, and Clostridium sporogenes. J. Food Prot., 60, 124-119 

  10. 노병의, 빈성오, 김성원 (1997) 겨울철에 시판되는 어패류에 있어서의 E.coli와 Coliform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2, 294-299 

  11. 정병의, 김병봉, 김상철, 안성복 (1991) 경북도내에서 분리된 병원균의 역학적 특성 보고. 경상북도 보건연구원, 17-25 

  12. Hobbs, B.C. and Roberts, D. (1993) Food Poisoning and Food Hygiene. 6th ed., 133-134 

  13. Sorrells, K.M., Enigl, D.C. and Hatfield, J.R. (1989) Effect of pH, Acidulant, time, and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Listeria monocytogenes. J. Food Prot., 52, 571-573 

  14. Cole, M.B., Jones, M.V. (1990) The effect of pH, salt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survival and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J. Appl. bacteriol., 69, 63-72 

  15. 조성범, 이용욱, 김정현 (1998) E.coli O157:H7과 Staphylococcus aureus의 증식억제에 대한 키토산과 소르빈산의 상승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3, 112-120 

  16. 신성희, 이승일, 김재수, 주세혁, 박종훈, 양남웅, 임용 (1998) Staphylococcus aureus의 성장에 따른 철 이용 양상. 대한미생물학회지, 33, 435-430 

  17. 박준서, 박청규 (1997) 돼지, 닭 및 소 유래 Staphylococcus hyicus subsp.hyicus의 staphylokinase 산생능. 대한수의학회지, 37, 359-365 

  18. Vanderzant, C. and Splittstoesser, D.F. (1992) Compendium of methods for the microbiological examination of foods., 3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19. Anon (1995) FAD Microbiological methods : Chap.17. AOAC international, p. 12-15 

  20. 박용호, 정석찬, 주이석, Stone, D. M. and Besser, T. E. (1997) 식품위생에서의 실제적인 HACCP 적용전략.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지, 21, 195-207 

  21. Gill, C.O. (1995) Current and emerging approaches to assuring the hygienic condition of red meats. Canadian J. Animal Science., 1-13 

  22. 김창렬 (1998) 상업적 도계공정 및 저장동안 닭고기의 미생물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3, 238-242 

  23. 고주언, 홍종해 (1997) 도체표면의 분변오염과 Verotoxin생성 Escherichia coli O157:H7분리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2, 78-82 

  24. David, R.B. and Richard, W.C. (1986) The genus Escherichia. In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Willions and Wilkins, Baltimore. 1, 420 

  25. David, R.B. and Richard, W.C. (1986) The genus Aeromonas. In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Willions and Wilkins, Baltimore. 1, 545 

  26. David, R.B. and Richard, W.C. (1986) The genus Staphylococcus. In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Willions and Wilkins, Baltimore. Vol. 1. 1013(1986) 

  27. Johnson, W.M., Lior, H., and Bezanson, G.S. (1983) Cytotoxin Escherichia coli O157:H7 associated with haemorrhagic colitis in Canada, Lancet Ⅰ, 76 

  28. 유화춘 (1997) 육류의 E. coli O157:H7 발생과 HACCP적용 현황. 식품과학과 산업, 30, 183-192 

  29. Schofield, G.M. (1992) Emerging food-borne pathogens and their significance in chilled food. J.Appl.Bacteriol., 72, 267 

  30. Sutherland, J.P., Bayliss, A.J. and Braxton, D.S. (1995) Predictive modelling of growth of Escherichia coli O157:H7 : the effects of temperature, pH and sodium chloride, International J. Food Microbiolo., 25, 29-49 

  31. Bell, M.F., Marshall, R.T. and Anderson, M.E. (1986) Microbiological and sensory tests of beef treated with acetic and formic acids. J. Food Prot., 49, 207-210 

  32. Smulders, F.J.M. and Woolthuis, C.H. (1983) Influence of two levels of hygiene on the microbiological condition of veal as a product of slaughtering / processing sequences. J. Food Prot., 46, 1032-1035 

  33. 성삼경 (1997) 쇠고기 유통과정 중에서의 고급 한우육의 품질보존 방안에 관한 연구 최종보고서. 영남대학교 

  34. 조남숙, 양영영, 최언호 (1986) Escherichia coli와 Salmonella typhimurium의 생육억제에 미치는 식염과 potassium sorbate, sodium benezoate의 병용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18, 249-254 

  35. 박선희 (1997) 장관출혈성 대장균 O157에 의한 식중독 발생시 일본의 대처 내용분석 및 우리의 댕응방안 수립을 위한 제언. 한국식품위생안전성 학회지, 12, 153-1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