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 동절기 적리의 국내 발생 역학조사와 진단법 개발
Epidemiological Survey and Development of Diagnostic Methods for Bovine Winter Dysentery in Korea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동신대학교
DongShin University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4-08
과제시작연도 2003
주관부처 농림부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등록번호 TRKO201400023384
과제고유번호 1380002067
사업명 농림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4-11-10

초록

○ 연구결과
- 전국 8개 시도에서 소 동절기적리가 발생한 32개 농장 97개 설사분변에서 바이러스 분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음.
- 바이러스 검출을 위해 고전적인 전자현미경법 외에도 국내에서는 사용하지 않았던 ELISA, RT-PCR, nested PCR 기법들을 개발 응용하였음.
- 10개의 소 동절기적리 국내 분리주를 확보함
- 국내에 이미 동절기적리가 만연함을 알 수 있었으며, 구체적인 역학 데이터를 확보함
- 국내에서 분리한 10개의 분리주의 스파이크 당단백질 유전자의 핵산 및 아미노산 염기서열에

Abstract

Bovine coronavirus (BoCV), a member of the Coronaviridaefamily, causes severe diarrhea in newborn calves (CD) and is associated with winter dysentery (WD) in adult cattle. WD is characterized by a sudden onset of diarrhea that rapidly affects many adult cattle in the herd and has been reported in ma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요약문 ... 3
  • SUMMARY ... 19
  • CONTENTS ... 26
  • 목차 ... 32
  • 제1장 연구개발 과제의 개요 ... 37
  •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과 필요성 ... 37
  • 제2절 연구개발의 범위 ... 39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42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 43
  • 제1절. 소 동절기 적리 코로나바이러스의 진단을 위한 RT-PCR, nested PCR 및 ELISA기법의 개발, 국내 발생 역학조사 및 원인 바이러스 분리·동정 ... 43
  • 1. 서 설 ... 45
  • 2. 재료 및 방법 ... 46
  • 가. 설사분변 ... 46
  • 나. 분변의 전자현미경적 관찰 ... 46
  • 다. 소 동절기 적리 코로나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ELISA 기법 ... 47
  • 라. 바이러스 RNA 추출 ... 48
  • 마. 소 동절기 적리 코로나바이러스의 검출을 위한 RT-PCR 및 nested PCR용 primer 제작 ... 50
  • 바. RT-PCR 기법의 수행 ... 50
  • 사. Nested PCR 기법의 수행 ... 51
  • 아. 소 동절기 적리 코로나바이러스 분리 ... 52
  • 자. 면역형광항체법을 이용한 분리한 바이러스의 동정 ... 52
  • 차. 전자현미경 및 면역전자현미경 기법에 의한 분리한 바이러스의 동정 ... 52
  • 3. 결 과 ... 56
  • 가.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바이러스 검출 ... 56
  • 나. Antigen-capture ELISA 기법을 이용한 바이러스 검출 ... 58
  • 다. RT-PCR 및 nested PCR 기법을 이용한 소 동절기 적리 코로나바이러스 검출 ... 58
  • 라. 설사분변 내 세균 및 기생충 검사 ... 60
  • 마. RT-PCR 기법을 이용한 설사분변 내 소 바이러스성 설사병 바이러스 및 로타바이러스 검출 ... 60
  • 바. HRT-18G 세포주를 이용한 바이러스 분리 ... 60
  • 4. 고 찰 ... 65
  • 제2절. 동절기 적리 소 코로나바이러스 스파이크 당단백질 유전자의 분자생물학적 특성 ... 68
  • 1. 서 설 ... 70
  • 2. 재료 및 방법 ... 72
  • 가. 바이러스 ... 72
  • 나. 바이러스 RNA 추출 ... 72
  • 다. RT-PCR 용 primer 제작 ... 73
  • 라. 염기서열 분석을 위한 RT-PCR의 수행과 증폭산물의 정제 ... 73
  • 마. 염기서열 분석 ... 73
  • 3. 결 과 ... 76
  • 가. 국내 분리주간의 S 유전자 염기서열의 비교 ... 76
  • 나. 국내 분리주와 외국 보고주간의 S 유전자 염기서열의 비교 ... 76
  • 다. 국내 분리주와 외국 보고주와의 S2 subunit의 비교 ... 78
  • 라. 국내 분리주와 소화기형 및 호흡기형 바이러스의 특이 염기서열 분석 ... 79
  • 마. 강독주 관련 특이 염기서열의 분석 ... 79
  • 4. 고 찰 ... 85
  • 가. 국내 보고주와 외국 보고주간의 계통학적 분석 ... 85
  • 나. 국내 분리주와 외국 보고주간의 hypervariable region의 아미노산 치환의 비교 ... 86
  • 다. 국내 분리주와 외국 보고주간의 수용체 결합부위 및 S1A immunoreactive region의 비교 ... 87
  • 라. S 글라이코단백질 절단부위 주위의 아미노산 차이의 비교 ... 88
  • 마. 국내 분리주와 외국 보고주간의 S2 subunit 부위의 염기서열 비교 ... 89
  • 바. 국내 분리주와 외국 보고주간의 병원성 특이 염기서열의 비교 ... 89
  • 제3절. 국내 성우에서 분리한 소 동절기 적리 코로나바이러스의 송아지에 대한 병원성 ... 90
  • 1. 서 설 ... 92
  • 2. 재료 및 방법 ... 93
  • 가. 바이러스 ... 93
  • 나. 공시동물 및 실험설계 ... 93
  • 다. 소 동절기 적리 코로나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ELISA 기법 ... 94
  • 라. 바이러스 RNA 추출 ... 95
  • 마. 소 동절기 적리 코로나바이러스의 검출을 위한 RT-PCR 및 nested PCR용 primer 제작 ... 95
  • 바. RT-PCR 기법의 수행 ... 96
  • 사. Nested PCR 기법의 수행 ... 96
  • 아. 소 동절기 적리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검출을 위한 ELISA 기법 ... 97
  • 자. 병리조직학적 검사 ... 98
  • 3. 결 과 ... 99
  • 가. 임상소견 ... 99
  • 나. 육안적 소견 ... 99
  • 다. 병리조직학적 소견 ... 99
  • 라. 분변 내 바이러스 배출 ... 100
  • 마. 혈중 항체가 변화 ... 100
  • 4. 고 찰 ... 111
  • 제4절. 국내 도축장 성우에서 채취한 혈청 내 소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조사 ... 113
  • 1. 서 설 ... 115
  • 2. 재료 및 방법 ... 117
  • 가. 혈액 재료 ... 117
  • 나. 소 동절기 적리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검출을 위한 ELISA 기법 ... 117
  • 3. 결 과 ... 121
  • 가. 계절별 소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변동 ... 121
  • 나. 연령별 소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변동 ... 122
  • 다. 지역별 소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변동 ... 125
  • 라. 품종별 소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변동 ... 127
  • 4. 고 찰 ... 134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136
  • 1.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도 ... 136
  • 2.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138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140
  • 1. 활용방안 ... 140
  • 2. 산업화 추진방안 ... 141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 기술정보 ... 142
  • 1. 외국분리주와 국내분리주간의 유전자 비교 결과 ... 142
  • 2. 외국 보고주와 국내분리주와의 유전자 S2 subunit의 비교 결과 ... 144
  • 3. 외국 및 국내 강독주 관련 특이 염기서열의 분석 결과 ... 144
  • 제7장 참고문헌 ... 145
  • 끝페이지 ... 16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