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수위 유형과 유역별 지하수 함양률의 관련성 연구 : 국가 지하수 관측망 자료의 분석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ypes and Recharges of Groundwater : Analysis on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Data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7 no.3, 2002년, pp.45 - 59  

문상기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  우남칠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  이광식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지하수 관측망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지하수위 변동 곡선의 유형을 구분하고, 각 유형별 함양률을 평가하여 지하수 함양률의 공간적 변동성을 규명하는 데 있다. 전국 지하수의 수위 변동 곡선을 구분하기 위하여 요인 분석 방법을 사용했으며 그 결과 총 5 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유형별 함양률은 95.44%의 신뢰도 수준에서 6.2 %(유형 I), 4.1 %(유형 II), 9.2 %(유형 III), 5.8 %(유형 IV), 15.3 %(유형 V)로 추정되었으며 한 유형에서도 관측 지점별로 약 6 %의 변화폭을 보였다. 지하수위 변동 곡선법을 이용하여 유역별로 지하수 함양률을 평가한 결과 한강과 금강 유역에서는 각각 강수량 대비 10.0 %, 8.3 %의 함양률을 보였고, 낙동강 및 영산강·섬진강 유역에서는 각각 6.1 %, 6.6 %의 함양률을 보였으며 기저유출법에 의해서 유역별로 함양률을 추정한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지하수 함양률이 수위 변동 곡선의 유형별 혹은 유역별로 변동성을 가짐을 규명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objected to demonstrate the spatial variability of the ground-water recharge by classifying the types of ground-water hydrographs and assessing the recharge ratio(the ratio of the rise of ground-water level to cumulative precipitation) of each type using the National Ground-water Monit...

주제어

참고문헌 (21)

  1. 박창근 '우리나라 지하수 개발가능량 추정: 1. 개념 정립과 기법의 개발', 지하수환경, 3(1), pp.15-20(1996a) 

  2. Sophocleous, M. A. 'Combining the Soil Water Balance and Water-Level Fluctuation Methods to Estimate Natural Groundwater Recharge: Practical Aspects' , Journal of Hydrology , 124, pp. 229-241(1991) 

  3. 선우중호 '우리나라 지하수 개발의 필요성', 물 관련 정책토론회, 건설부, 한국수자원공사, pp. 99-119(1992) 

  4. 한정상 '지하수개발과 관리대책', 수자원 개발과 보존대책, 한국수자원공사, pp.39-103(1995) 

  5. 박창근 '우리나라 지하수 개발가능량 추정: 2.5대 강 유역에의 적용', 지하수환경, 3(1), pp. 21-26(1996b) 

  6. 원이정, 김형수, 한 찬 '낙동강 진동 및 왜관 수문 자료를 이용한 기저유출 분리방식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 [사]산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창립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지하수관련 제도개선방안 특별세미나),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p.157(2000) 

  7. 최병수, 안중기 '지역단우 지하수 자연함양율 산정방법 연구', 지하수환경, 5(2), pp. 57-65(1998) 

  8. 김건영 '지하수 함양 특성 해석을 위한 동위원소적용',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1년 춘계학술대회,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pp. 149-152(2001) 

  9. 문상기, 우남칠 '누적 강수량과 지하수위 곡선을 이용한 지하수 함양률 추정 기법', 지하수토양환경, 6(1), pp.33-43(2001) 

  10. Winter, T.C. , Mallory, S.E. , Allen, T.R. , and Rosenberry, D.O. 'The Use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Interpreting Ground Water Hydrographs', GROUND WATER, 38(2), pp. 234-246(2000) 

  11. 건설교통부, 지하수관측연보(2000) 

  12. 한국기상청, 기후자료 중 월별 일값, http://www.kma.go.kr (2000) 

  13. 한국수자원공사, 전국 충적층 지하수 조사 보고서(1996) 

  14. 허만형, SPSS 10.0 for Windows 통계분석론, 법문사 (2001) 

  15. 류성렬, 'GIS를 이용한 무주 지역의 지하수 오염 위험성 평가',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31-33(2000) 

  16. John C. Davis,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in Geology 2nd ed., JOHN WILEY & SONS, pp. 527-579(1986) 

  17. SPSS Inc Headquarters, SPSS for Windows release 10.0.5, 233 S. Wacker Drive, 11th floor, Chicago, illinois 60606 (1999) 

  18. 허명희, 양경숙, SPSS 다변량자료분석, SPSS아카데미, p.35(2001) 

  19. Freeze, R. A. Cherry, J. A., GROUNDWATER, p. 61, New Jersey, Prentice-Hall (1979) 

  20. 이동률, 윤용남 '우리나라의 지하수 함양량 추정과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16(Ⅱ-4), pp. 321-334(1996) 

  21. Kenneth R. Bradbury, Weston Dripps, Chip Hankley, Mary P. Anderson, and Kenneth W. Potter, Refinement of Two Methods for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Rates, Wisconsin Geological and Natural History Survey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