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우에 의한 지하수위 변동 예측모델의 개발 및 적용
A Development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s Due To Precipitations and Infiltrations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2 no.4, 2007년, pp.54 - 59  

박은규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강우에 기인하는 지하수위 변동예측 준-해석학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은 홍천 지역의 지하수위 변동을 예측에 적용되었으며 이를 위하여 지하수 변동 관측자료 및 강우자료가 이용되었다. 개발된 모델은 비선형 파라미터 예측 코드를 활용하여 2003년 지하수위 변동을 예측하도록 적정되었으며 이렇게 최적화에 이용된 입력 파라미터는 그 다음해인 2004년 지하수위 변동을 예측하는데 활용되었다. 강우자료에 기초한 2004년 지하수위 변동 예측은 RMS 오차가 0.18 m로 관측지하수위의 표준편차가 0.44 m인 것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지표 피복의 변화에 기인하는 함양율 감소 시 발생되는 지하수위 변동 예측 및 양수에 의한 인공적인 지하수위 강하를 모사하는데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정확한 지하수위 변동 예측증 위해서는 지하수 함양율을 상수로 적용하는 것이 적절치 않으며 강우 패턴의 함수로 결정되어야 함을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semi-analytical model to address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s in response to precipitations and its infiltration is developed through mathematical modeling based on water balance equation. The developed model is applied to a prediction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s in Hongche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 자료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지하수위 변동을 예측하는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물 수지 방정식을 지하수위에 기초하도록 변환하고 해를 구하며 개발된 모델이 물리적으로 합리적임을 입증하기 위하여 자유면 대수층에서의 1차원 지하수 흐름 방정식인 Boussinesq 식으로의 수렴성을 보일 것이다.
  • 본 연구를 통해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장기 지하수위 변동을 예측하는 준-해석학적 모델이 개발되었다.

가설 설정

  • ]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에 의한 함양을 제외한 모든 잠재배출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제반 유입출량을 무시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 식(7)에 의하면 비례상수 k는 인근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여 동수구배가 감소하였을 경우 감소할 수 있으며 수분 함량은 시간에 따라 변화 가능하므로 n 역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값이다. 본 모델에서는 이러한 값들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음을 가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으로 국내 대부분의 지역에서 강우량 자료에 대한 접근성은 어떠한가? 강우 및 함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지하수위 변동에 대한 예측은 산간 및 농촌 지역의 지하수 개발, 건설 현장에서의 지하수 수위조절, 오염된 비포화대가 지하수에 미치는 위해성 파악, 홍수예측 등의 문제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국내 대부분의 지역에서 강우량 자료에 대한 접근성은 비교적 용이하나 지하수위 변동에 대한 자료는 관측정의 설치 및 측정장비의 설비를 포함한 제반 소요비용이 국내 관련 예산에 비하여 과다함으로 인하여 매우 제한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현재 2005년 기준으로 전국에 총 320개의 관측망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제한적인 지역의 정보만이 얻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강우 및 함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지하수위 변동에 대한 예측은 어떠한 문제에 적용될 수 있는가? 강우 및 함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지하수위 변동에 대한 예측은 산간 및 농촌 지역의 지하수 개발, 건설 현장에서의 지하수 수위조절, 오염된 비포화대가 지하수에 미치는 위해성 파악, 홍수예측 등의 문제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국내 대부분의 지역에서 강우량 자료에 대한 접근성은 비교적 용이하나 지하수위 변동에 대한 자료는 관측정의 설치 및 측정장비의 설비를 포함한 제반 소요비용이 국내 관련 예산에 비하여 과다함으로 인하여 매우 제한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장기 지하수위 변동을 예측하는 준-해석학적 모델의 활용성에 대해 알아보기위해 무엇을 모사하였는가? 개발된 모델의 활용성을 보기 위하여 첫째, 지표피복 변화에 기인하는 함양율 변화 및 이에 의한 지하수위 변동 변화가 모사되었으며, 둘째, 지하수 양수를 통한 지하수위의 유도 강하가 모사되었다. 두 가지 모사 결과는 개발된 모델이 실용적인 문제 해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임을 보여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국가지하수정보센터, 2003, 홍천관측소 관측연보, http://www.gims.go.kr/. 

  2. 국가지하수정보센터, 2004, 홍천관측소 관측연보, http://www.gims.go.kr/. 

  3. 기상청, 2003, 홍천 기상연보, http://www.kma.go.kr/. 

  4. 기상청, 2004, 홍천 기상연보, http://www.kma.go.kr/. 

  5. 최병수, 안중기, 1998, 지역단위 지하수 자연함양율 산정방법 연구, 지하수환경, 5(2), 57-65 

  6. Bierkens, M.F.P., 1998, Modeling water table fluctuations by means of a stochastic differential equ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34(10), 2485-2499 

  7. Doherty, J., 2002, PEST: Model Independent Parameter Estimation, Watermark Numerical Computing 

  8. Knotters, M. and Bierkens, M.F.P., 2000, Physical basis of time series models for water table depths, Water Resour. Res., 36(1), 181-188 

  9. Rai, S.N. and Singh, R.N., 1995, Two-dimensional modelling of water table fluctuation in response to localized transient recharge, Journal of Hydrology, 167, 167-174 

  10. Rai, S.N. and Manglik, A., 1999, Modelling of water table variation in response to timevarying recharge from multiple basins using the linearised Boussinesq equation, Journal of Hydrology, 220, 141-148 

  11. Rasmussen, W.C. and Andreasen, G.E., 1959, Hydrologic Budget of the Beaverdam Creek Basin, Maryland: U.S. Geological Survey Water-Supply Paper 1472, 106 p 

  12. Sophocleous, M., 1991, Combining the soil water balance and water level fluctuation method to estimate natural groundwater recharge: Practical aspects, J. Hydrol., 124, 229-2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