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수위 변동 예측 및 비포화대 함수모델을 이용한 지하수 함양율 산정 연구
A Study on Deline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Rate Using Water-Table Fluctuation and Unsaturate Zone Soil Water Content Model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3 no.1, 2008년, pp.67 - 76  

조진욱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박은규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 변동모델과 비포화대 함수모델을 적용한 지하수 함양율 산정 기법을 제안하였다. 기법의 적용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연구지역인 국내 4개 국가지하수 관측소를 선정하였으며 1996년부터 2005년에 이르는 국가 지하수 관측망(포항 연일, 기북, 순천 외서, 홍천 홍천) 수위자료와 포항, 순천, 홍천의 기상청 강우자료가 이용되었다. 각 관측소 주변 토양형에 따른 지하수 함양율은 홍천 관측소가 최소 0.5%에서 최대 61.4%, 포항 연일 관측소는 1.1%에서 27.4%, 포항 기북 관측소는 5.1%에서 41.4%, 및 순천 외서 관측소는 1.1%에서 8.3%의 분포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된 지하수위 변동예측 모델은 지하수위 변동이 강우에 의해서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향후 보다 정확한 지하수위 예측을 위해서 지하수 채수나 증발산의 영향을 추가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제안된 기법의 보다 넓은 범위의 적용을 위해서는 비포화 암반의 함수 모델을 도입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현재 본 연구를 공간적으로 확장하여 지역화 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지하수 함양율 산정 기법은 가정을 최소화함으로써 방법론적으로 합리적이며 실제 지하수 시스템을 잘 반영하는 과학적인 모델로 기존 지하수 함양율 산정 기법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combined model of a water-table fluctuation and a soil moisture content model is proposed for the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rate at a given location. To evaluate the model, groundwater level data from 4 monitoring wells (Pohang Yeonil, Pohang Kibuk, Suncheon Oeseo, Hongche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Sophocleous(1991)에 의해 제안된 바있는 지하수위 변동 모델과 비포화대 함수 모델을 동시에 고려한 ‘hybrid water fluctuation model’에 기초하여 지하수 함양율을 산정하고자 한다.
  •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통해 van Genuchten 모델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은 일반 적으로 비포화대 구간 관측정의 설치 및 검층 등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그 수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관측의 대표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피하기 위하여 지하수위 관측정 주변의 개략토양도를 통해 토양 타입을 확인하고 기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각 토양 별 van Genuchten 모델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우회적인 방법으로 저수간극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된 van Genuchten 모델 파라미터는 Table 1에 주어진 바와 같으며 이는 기존 문헌 (Yates et al.
  •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지하수위 변동 모델로 박은규(2007)에 의해 제안된 지하수위 변동예측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비포화대 함수 모델로 van Genuchten(1980)에 의해 제안된 비포화대 수분 거동 모델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지하수위 변동 모델을 이용하여 선정된 수 개 국가지하수 관측망 측정결과를 해석하여 최적 모델 파라미터를 구하고 비 포화대 함수 모델을 이용하여 얻어진 모델 파라미터를 해석하여 궁극적으로 각 관측지점을 대표하는 함양율을 얻는 것이 최종적인 목표이다.
  •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 변동모델과 비포화대 함수모델에 근거하여 새로운 지하수 함양율 산정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를 연구지역인 국내 4개 국가지하수 관측소인근 지하수 함양율 산정에 적용하였다.

가설 설정

  • Eq (1)에 의하면 시간에 따른 수위의 변화, H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시 변위량은 일 강우량이며 그 외의 모든 수위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ie. 증발산량, 지하수 채수량, 조수간만에 의한 영향, 적설량 등)은 무시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특히, 증발산의 경우 일정 심도(ie.
  • 본 연구에서 이용된 지하수위 변동예측 모델은 지하수위 변동이 강우에 의해서만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보다 정확한 지하수위 예측을 위해서는 지하수 채 수의 영향이나 증발산이 지하수위 변동에 미치는 영향 등 강우외적인 요소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수 함양량이란 무엇인가? 지하수 함양량이란 강우량 중 대수층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의미한다. 국가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 특히, 지속 가능한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을 위하여, 함양량의 예측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함양량의 예측은 무엇을 위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가? 지하수 함양량이란 강우량 중 대수층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의미한다. 국가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 특히, 지속 가능한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을 위하여, 함양량의 예측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지하수 개발가능량이란 전체 함양량 중 자연적인 함양과 유출의 평형상태를 크게 훼손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개발하여 얻을 수 있는 지하수의 양을 의미한다.
지하수 함양량을 손쉽게 얻기 위한 방법으로 국내에서 1990년대 이후 사용한 지하수 함양율은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국내에서는 1990년대 이후 지하수 함양량을 손쉽게 얻기 위한 방법으로 ‘지하수 함양율’이라는 개념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강우량 중 함양 량이 차지하는 비를 의미한다. 지하수 함양율은 일반적으로 강우량, 강우패턴, 기후, 지형, 지표특성, 비포화대의수리/함수특성, 및 지하수면의 심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시간에 종속되는 함수로 일정 지역에 있어 그 대푯값을 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국가지하수정보센터, 1996-2005, 포항 연일관측소 관측연보, http://www.gims.go.kr/ 

  2. 국가지하수정보센터, 2002-2003, 2005, 포항 기북관측소 관측연보, http://www.gims.go.kr/ 

  3. 국가지하수정보센터, 1998-2005, 순천 외서관측소 관측연보, http://www.gims.go.kr/ 

  4. 국가지하수정보센터, 2000-2005, 홍천 홍천관측소 관측연보, http://www.gims.go.kr/ 

  5. 기상청, 1996-2005, 포항 기상연보, http://www.kma.go.kr/ 

  6. 기상청, 1998-2005, 순천 기상연보, http://www.kma.go.kr/ 

  7. 기상청, 2000-2005, 홍천 기상연보, http://www.kma.go.kr/ 

  8. 건설교통부, 2002, 국가지하수 관리 기본계획, 86p 

  9. 농업과학기술원, 1964-1967, 전국개략토양도, http://www.niast.go.kr/ 

  10. 구민호, 이대하, 2002, 지하수위 변동법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 산정의 수치해석적 분석, 대한지질학회, 38(3), 407-420 

  11. 김태희, 김용제, 이강근, 2006, 지하수 함양량 추정시 공간상에서의 자료 Sampling 방법에 따른 Minumum Entropy Deconvolution의 적용성에 관한 검토, 지하수토양환경, 11(3), 52-58 

  12. 문상기, 우남칠, 2001, 누적강수량과 지하수위 곡선을 이용한 지하수 함양율 추정기법, 지하수토양환경, 6(1), 33-43 

  13. 박은규, 2007, 강우에 의한 지하수위 변동 예측모델의 개발 및 적용, 지하수토양환경, 12(4), 51-56 

  14. 박창근, 1996, 우리나라 지하수 개발 가능량 추정: 1, 개념정립과 기법의 개발, 지하수환경, 3(1), 15-20 

  15. 최병수, 안중기, 1998, 지역단위 지하수 자연함양율 산정방법 연구, 지하수환경, 5(2), 57-65 

  16. 한정상, 1994, 제주도 지하수 자원의 보호전략에 관한 연구, 대한지질학회, 30(3), 325-340 

  17. Anderson, M.P. and Woessner, W.W., 1992, Applied Groundwater Modeling: Simulation of Flow and Advective Transport, Academic Press, San Diego, CA, p. 381 

  18. Carsel, R.F. and Parrish, R.S., 1998, Developing joint probability distributions of soil water retention characteristics, Water Resour Res., 24(5), 755-769 

  19. Doherty, J., 2002, PEST : Model independent parameter estimation, Watermark Numerical Computing, p. 336 

  20. Healy, R.W. and Cook, P.G., 2002, Using groundwater levels to estimate recharge, Hydrogelolgy J., 10, 91-109 

  21. Schaap, M.G. and van Genuchten, M.T., 2005, A Modified Mualem-van Genuchten formulation for improved description of the hydraulic conductivity near saturation, Vadose Zone J., 5, 27-34 

  22. Sophocleous, M., 1991, Combining the soil water balance and water level fluctuation method to estimate natural groundwater recharge: Practical aspects, J. Hydrol., 124, 229-241 

  23. van Genuchten, M.T., 1980, A Closed-form equation for predicting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unsaturated soils, Soil Sci. Soc. Am. J., 44, 892-898 

  24. Vogel, T., van Genuchten, M.T., and Cislerova, M., 2001, Effect of the shape of the soil hydraulic functions near saturation on variably-saturated flow predictions, Advances in Water Res., 24, 133-144 

  25. Yates, S.R., van Genuchten, M.T., and Leij, F.J., 1989, Analysis of predicted hydraulic conductmties using RETC,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Indirect Methods For Estimating The Hydraulic Properties of Unsaturated Soils, U. S. Salinity Laboratory, Riverside, California, p. 273-28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