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가족 기능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 만성질환아 가족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Family Functioning Scale.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2 no.3, 2002년, pp.395 - 405  

이인숙 (서울대 간호대학) ,  박영숙 (서울대 간호대학) ,  송미순 (서울대 간호대학) ,  이은옥 (서울대 간호대학) ,  (Rhode Island 대학) ,  박연환 (서울여자전문대학) ,  최경원 (서울대 간호대학) ,  진영란 (서울대 간호대학) ,  김대희 (서울대학교 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instrument to measure family functioning for Korean family with a chronic ill child, and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Method: The items of instrument were consisted based on researchers' previous study of concept analysis of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딱라서 한국 가족외 가족기능올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서구에서 개발된 기존외 도구를 사용할 것이 아니라 한국적 독성올 반영할 수 있도록 한국인들이 정외한 가족기능외 개념 에 딱라 가족기능 측정도구를 개밮하는 것이 플요하다 그러므로 한국외 가족기능 측정도구 개밮올 위하여 본 저자들외 개념분석 연구(Lee et al.. 1価)를 토대로 정외적] 구조적] 인지적] 틍제적] 재정적]외적 관계영역 등 6가지 하부개념으로 구성된 가족기능 측정도구를 개발하여]도구외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국외 사회 문화적 독성올 반영하여 가족원외 만성 질병이라는 스트레스 하에서 나타내는 가족기능올 측정하기 위한 도구 개밮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한국외 사회 문화적 독성올 반영할 수 있는 가족기능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서구에서 개발되어 사용되어왔던 가족기 능 측정도구들외 문항올 기초로 如 등(1価)이 한국외 만성 질환자 가족 외 가족기능올 개념 분석한 글과에 근거하여 가족 기능 올 6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26문항올 구성하였다 완성된 문항은 질문지를 이응하여 서울시내 종합병원 소아과에 입원 또는 외래 치료를 받고 있는 만성질환아 가족 231 가족올 대상으로 선정한 후 부모증 한사람이 가족 외 전체 상황올 대변하여 옹답토록 하였다.
  • 본 연구외 목적은 한국외 사회 문화적 독성올 반영할 수 있는 가족기능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 도구외 신뢰도와 구성 타당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e, J. M., & Kim, Y. J. (1994). Validity and reliability of FACE III when applied to the one of the family members. J Korean Acad Fam Med 15(6), 312-321 

  2. Blank, J. J., Clark, L., Longman, A. J. & Atwood, J. R (1989). Perceived home needs of cancer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Cancer Nursing, 12, 78-84 

  3. Cho, H (1992). The Family as eviroment of nursing. Unpublished manuscript.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4. EPstein, N. B., Baldwin, L M, & Bishop, D. S.(1981). The McMaster Family Assessment Device, Version 3, copyright registration number 82-315 

  5. Epstein, N. Baldwin, L, & Bishop, D. (1983). The McMaster Family Assessmait Device, Journal of Marital & Family Therapy, 9, 171-180 

  6. Jang, S. O. (1998). An analysis of family nursing research in Korea. J Korean Acad Nurs, 28(1), 104- 116 

  7. Kang, B. S., Serk, K S., & Oh, Y. J. (1993) SPSS/PC + for statistical analysis. Seoul : Trade Management Press 

  8. Kim, S. J., Lee, C. S., Lee, G. H, Kang, J, W., Park, C. W., & Park, Y. R (1994). Family function of extended family and nuclear family using FACES III. J Korean Acad Fam Med 15, 648-655 

  9. Kim, I. S., Lee, S. H, Lee, K. M., Kim, S. Y., & Jung, S. P. (1993). The difference of marriage - satisfaction score among family groups according to the family APGAR score and family adaptability cohesion evaluation scale. J korean Acad Fam Med, 14, 797-803 

  10. Kim, J. E. (1996). The Change of family funtion in korean family.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for the Opening of the Hanyang University Nursing Research Center, Seoul 

  11. Lee. K T. (1991).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of the korean people. Seoul, Shinwon Publishing Company 

  12. Lee, E. O., Hesook Suzie Kim, Park, Y. S., Song, M, Lee, I., & Park, Y, H. (1999) Model development of change of family funtioning with chronic illness. J Korean Acad Nurs, 29(3), 467-484 

  13. Lee. E. O., Lim, N. Y., & Park, H. A. (1998). Statistical analysis and nursing . medical research Seoul : Soomoon Publishing Company 

  14. Moos, R (1974). Family Environment Scales,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15. Olson, D.H, Bell, R, & Portner, J. (1980).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scales, St. Paul, MN: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6. Pless, I. B., Satterwhite, B. (1973). A measure of family functioning and its application, Social Science and Medicine, 7, 613-621 

  17. Smilkstein, G. (1978). The family APGAR: A proposal for a family function test and its use by physicians, Journal of Family Practice, 6, 416-436 

  18. Steinhauer, P., Santa-Barbara, J., & Skinner, H (1982). The process model of family functioning.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in press 

  19. Van der Veen, F. (1960) Family concept Q sort. Madison, Wisconsin ; Dane County Mental Health Center, unpublished 

  20. Van der Veen, F., (1969). Family Concept Inventory. Unpublished manuscript, Institute for Juvenile Research, Chicago 

  21. Waltz, C. F., Bausell, R. B. (1981) Nursing research . design . statistics and computer analysis. F. A. Davis company philadelphia 

  22. Yu, D. K, & Kwon, Y. S. (1997). SPSSWIN for statistical analysis. Seoul. Keehanja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