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범문화효능감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Transcultural Self-efficacy Scale for Nurs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2, 2016년, pp.293 - 304  

오원옥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박은숙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석민현 (차의과학대학교 간호대학) ,  임여진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methodological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psychometrically test the Transcultural Self-efficacy scale (TCSE-scale) for nurses. Methods: Initial 41 items for the TCSE-scale were generated based on extensive literature re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18 nurses who had expe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다문화관련 보건의료시스템과 사회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간호사의 범문화효능감 척도(Transcultural Self-Efficacy scale [TCSE– scale])의 구성요인 및 내용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타당화 작업을 통해 표준화된 도구개발을 시도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문화적 역량의 인지적 기초가 되는 간호사의 범문화효능감 척도를 개발함으로써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한 간호실무 및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가보고형 범문화효능감 척도를 개발하고 이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 (methodological research)이다.
  • 본 연구는 한국 간호사의 범문화효능감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자가보고형 TCSE–scale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의 위와 같은 연구의 의의 이외에 다음과 같은 제한점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향후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TCSE-scale에 대해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성타당도가 만족되었 음에도 불구하고 TCSE-scale의 요인구조 확인을 위한 확증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지 못한점을 제한점으로 밝힌다.
  • 범문화간호 역량의 증진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의 과정이 요구되는데[9,10], 이때 범문화간호 행위의 선행요건이 되는 범문화효능감 촉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하부영역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재확인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우리나라의 상황에 적합한 범문화효능감의 최초개발에 대한 의의이다. 본 TCSE-scale의 개발과 적용은 다문화 의료환경에서 간호사의 범문화효능감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고 나아가 범문화간호 수행의 선행 요건이 되는 범문화효능감 촉진을 위해 다양한 중재전략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TCSE-scale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다양하게 검증하였다는 점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높은 설명 변량의 유지이다. 인지, 실무, 정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된 TCSEscale은 9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효과적인 건강관리 서비스에서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이유는? 보건의료실무현장에서도 건강과 문화적 배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문화적 다양성을 기반으로 한 보건정책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문화(culture)는 한 개인의 건강에 대한 신념과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이기 때문에, 효과적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문화에 대한 이해와 개방적이고 수용적인 태도가 필요하다[5].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인에게는 대상자의 문화적 전통에 관한 지식, 신념, 태도, 행위에 기반을 둔 역동적이면서 지속적인 직무능력인 문화적 역량(cultural competence)이 요구된다[6].
다문화현상의 가장 큰 원인은? 최근 우리나라는 다양한 경로를 통한 외국인의 유입으로 다문화사회로의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다문화현상의 가장 큰 원인은 혼인수급 불균형으로 인한 만혼남성의 국제결혼으로, 2014년 국제결혼은 전체 혼인건수의 7.6%를 차지하고 있다[1].
Cultural Competence and Confidence (CCC) 모델에 의하면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간호수행을 위해서 무엇이 요구되나? 특히, Jeffreys [9]는 간호실무에서 문화적 역량과 범문화 간호기술(transcultural nursing skill)의 관계를 범문화 효능감 (transcultral self-efficacy)을 통해 설명하는 Cultural Competence and Confidence (CCC) 모델을 제안하였다. CCC 모델에 따르면,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간호수행을 위해서는 인지, 실무, 정서영역의 범 문화 간호기술의 지속적인 개발과 학습이 요구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문화적 역량이 개발된다는 것이다. 범문화 간호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학습은 범문화 효능감에 의해 동기부여되고 촉진되므로 간호사의 문화적역량을 개발하는 핵심적인 인지적 요인은 범문화효능감(transcultural self-efficacy)이라는 것이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Vital statistics 2014 [Internet]. Daejeon: Author; 2015 [cited 2015 October 13]. Available from: http://meta.narastat.kr/metasvc/svc/SvcMetaDcDtaPopup.do?confmNo10103&inputYear2014. 

  2. National Archives of Korea. Multicultural family policy basics plan [Internet]. Daejeon: Author; 2014 [cited 2015 July 22]. Available from: http://archives.go.kr/next/search/listSubjectDescription.do?id009210. 

  3. Statistics Korea. 2014 foreigner labour force survey [Internet]. Daejeon: Author; 2014 [cited 2014 October 23].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ko/5/2/index.board?bmoderead&aSeq331368.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Result of attract foreign patients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cited 2015 June 15]. Available from: http://www.google.co.kr/url?urlhttp://download.mohw.go.kr/front_new/modules/download.jsp%3FBOARD_ID%3D140%26CONT_SEQ%3D300750%26FILE_SEQ%3D154218&rctj&frm1&q&esrcs&saU&ved0ahUKEwjUvZvGytn-LAhWjF6YKHXxVBYoQFggZMAE&usgAFQjCNEAL-BTY17-ouXy-sS0e8OV45nyhgQ. 

  5. Maurer FA, Smith CM. Community/public health nursing practice: Health for families and populations. 4th ed. St. Louis, MO: Saunders; 2009. 

  6. Giger JN, Davidhizar R. Culturally competent care: Emphasis on understanding the people of Afghanistan, Afghanistan Americans, and Islamic culture and religion.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02;49(2):79-86. http://dx.doi.org/10.1046/j.1466-7657.2002.00118.x 

  7. Leininger M, McFarland MR. Transcultural nursing: Concepts, theories, research, and practice. 3rd ed. New York, NY: McGraw-Hill Education; 2002. 

  8. Majumdar B, Browne G, Roberts J, Carpio B. Effects of cultural sensitivity training on health care provider attitudes and patient outcom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04;36(2):161-166. http://dx.doi.org/10.1111/j.1547-5069.2004.04029.x 

  9. Jeffreys MR.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transcultural self-efficacy tool: A synthesis of findings.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2000;11(2):127-136. http://dx.doi.org/10.1177/104365960001100207 

  10. Jeffreys MR, Dogan E. Factor analysis of the transcultural selfefficacy tool (TSET).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2010;18(2):120-139. http://dx.doi.org/10.1891/1061-3749.18.2.120 

  11. Andrews MM, Boyle JS. Transcultural concepts in nursing care. 4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2. 

  12. Bernal H, Froman R. The confidence of community health nurses in caring for ethnically diverse populations. Image-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987;19(4):201-203. http://dx.doi.org/10.1111/j.1547-5069.1987.tb00008.x 

  13. Park JH, Rho S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3;33(5):237-256. 

  14. Polit DF, Beck CT, Owen SV. Is the CVI an acceptable indicator of content validity? Appraisal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007;30(4):459-467. http://dx.doi.org/10.1002/nur.20199 

  15. DeVellis R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2012. 

  16. Tinsley HE, Tinsley DJ. Uses of factor analysis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987;34(4):414-424. http://dx.doi.org/10.1037/0022-0167.34.4.414 

  17. Chae DH, Lee CY.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ultural competence scale for clinical nurses. Asian Nursing Research. 2014;8(4):305-312. http://dx.doi.org/10.1016/j.anr.2014.06.004 

  18. Ferketich S. Focus on psychometrics. Aspects of item analysi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991;14(2):165-168. http://dx.doi.org/10.1002/nur.4770140211 

  19. Lee EO, Lim NY, Park HA, Lee IS, Kim JI, Bae J, et al.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s. Paju: Soomoonsa; 2009. 

  20. Lee JG. SAS and statistical data analysis. Seoul: Hakjisa corp.; 2001. 

  21. Kim BJ, Chae SI. Statistic anaysis using SPSS PC+. Seoul: Bobmunsa Co.; 1988. 

  22. Ware JE, Snow KK, Kosinski M, Gandek B. SF-36 health survey: Manual and institute. Boston, MA: The Health Institute, New England Medical Center; 1993. 

  23. Landis JR, Koch GG.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rics. 1977;33(1):159-174. http://dx.doi.org/10.2307/2529310 

  24. Atkinson G, Nevill AM. Statistical methods for assessing measurement error (reliability) in variables relevant to sports medicine. Sports Medicine. 1998;26(4):217-238. http://dx.doi.org/10.2165%2F00007256-199826040-00002 

  25. Campinha-Bacote J. The process of cultural competence in the delivery of healthcare services: A model of care.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2002;13(3):181-184. http://dx.doi.org/10.1177/10459602013003003 

  26. Xu Y. Give and take in cross-cultural consulting. Home Health Care Management & Practice. 2006;18(3):255-257. http://dx.doi.org/10.1177/1084822305284039 

  27. Munoz C, Luckmann J. Transcultural communication in nursing. 2nd ed. Clifton Park, NY: Delmar Learning; 2005. 

  28. Oh WO, Jung WS, Knag HG, Kim EH, Suk MH. Cultural knowledge, empathy and cultural sensi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health and welfar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10;23(2):192-199. 

  29. Lee K, Shin S. Validity of instrument development research in Korean nursing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6):697-703.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697 

  30. Lee R, Kim SH, Lee KS, Seo MK.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elf-efficacy scale for self-management of breast cancer (SESSM-B).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3):385-395. http://dx.doi.org/10.4040/jkan.2012.42.3.38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