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study is to develop a home nursing care project model suitable for Korea's heath care system and policy directions for expansion and establishment of home nursing care. Method: The first, status of home nursing care program in medical institution and public health center was evalua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방문간호사업이 시작된 지 몇 개월에 볼과하다는 제한점이 있으나>향후 합목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가정'방문간호사업으로서외 확대 및 정착올 위하여 우리 나라외 보건외료체계에 적합하면서 다양한 재가환자외 가정 '방문간호 요구와 그들외 지볼보상 능력에 따라 서비스가 지속될 수 있는 방안올 모색하여 국민외 일차 건강확보를 위한 가정. 방문간호사업본연외 목적올 효과적으로 달성하고자 시도되었다.
  • Luke 국제병원>종합구청개호과>중앙구보건소>1개외 외료범인 산하 방문간호서비스 스테이션올 방문하여>가정.방문간호사업외 실제를확인하고>우리나라와외 공틍점과 차이점올 검토하여 사업외 발전방안 수림올 위한 방향성올 찾고자 하였다.
  • 본 연구 목적올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간호대학 교수 6인 및 보건소장 1인>한국보건사회연구원 2인으로 이루어진 자문단올 구성하여 월 1회 이상외 자문회 외를 개최하면서 각 세부내응간외 외견 수렴 및 조정작업 올 틍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독히>2회외 정책 간담회를 거쳐 지역사회가정간호사업 모형 개발에 대한 보건외료계외 전문가 외견올 수렴하는 과정올 거쳣다.

가설 설정

  • 4% 차지)으로 구분하였다. '서비스기숱수준외 경우>보건소 방문간호에서는 본 연구에서개발된 도구에 외하여 고난이도/저난이도를 구분하였으나 외료기관 가정간호에서 요구되는 기숱수준은 모두고난이도라고 가정하였다. 각 영역외 수요추계는 다음과같이 설명된다.
  • 3. 선진외국의 가정.방문간호사업 체계 분석

  • 고령사회를 앞둔 우리 나라는 경제적>지리적 취약계층 올 모두 호괄할 수 있는 가정방문, 간호서비스를 확층하여야 하므로 가정.방문공급주체간외 연계를 틍한 서비스 외 확충이야말로 비응효과적이며 더 나아가 이들과 이들 가족외 삶외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 방문간호사업외 플요성은 역설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민 층생산 증 국민외료비가 차지하는 비옽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미국외경우 현재 가정.방문간호서비스 시장 규모가 다른 외료서비스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큰 푝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 까지 미국과 일본외 가정간호기관올 방문하였다. 미국외 경우는 위스콘신 방문간호사업소>밀워키시 보건과와 보건소>지역사회간호센터를>일본외 경우는 동경도외 St. Luke 국제병원>종합구청개호과>중앙구보건소>1개외 외료범인 산하 방문간호서비스 스테이션올 방문하여>가정.방문간호사업외 실제를확인하고>우리나라와외 공틍점과 차이점올 검토하여 사업외 발전방안 수림올 위한 방향성올 찾고자 하였다.
  • 방문간호사업은 보건외료전달체계 내에서 연속적인 보건외료사업외 한 시점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프로 램이므로 가정.방문간호가 지리적>경제적 접근성과 형평성 측면에서 소외되는 계층이 없도록 가정. 방문간호사업 공급조직 및 유형올 다양화시켜야 할 것이다.
  • 보건소는 가정방문이 효과적인 거동볼편자 증심외 예방보건사업에 증점올 두고 지역내 가정.방문간호사업 대상자와 가정.방문간호 공급 자원들올 매개하는 '사례 관리 (case management)' 기능올 강화할 수 있도록 하고>방문간호사업 대상자 건강 정보 입력 및 이동과 정보처리가 가능한 개인단맟기 (FDA) 등올 사용하여 가정에서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방문간호서비스에 대한 정보 보유를 외무화하고 서비스 질 관리와 평가에 홭응할 수 있도록 한다.
  • 가정.방문간호사업은 보건외료전달체계 내에서 연속적인 보건외료사업외 한 시점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프로 램이므로 가정.방문간호가 지리적>경제적 접근성과 형평성 측면에서 소외되는 계층이 없도록 가정.
  • 연구는 외료기관과 보건소 가정.방문간호사업이 시작된 지 몇 개월에 볼과하다는 제한점이 있으나>향후 합목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가정'방문간호사업으로서외 확대 및 정착올 위하여 우리 나라외 보건외료체계에 적합하면서 다양한 재가환자외 가정 '방문간호 요구와 그들외 지볼보상 능력에 따라 서비스가 지속될 수 있는 방안올 모색하여 국민외 일차 건강확보를 위한 가정. 방문간호사업본연외 목적올 효과적으로 달성하고자 시도되었다.
  • 보건소는 가정방문이 효과적인 거동볼편자 증심외 예방보건사업에 증점올 두고 지역내 가정.방문간호사업 대상자와 가정.
  • 본 연구는 외료기관과 보건소 가정.방문간호사업이 시작된 지 몇 개월에 볼과하다는 제한점이 있으나>향후 합목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가정'방문간호사업으로서외 확대 및 정착올 위하여 우리 나라외 보건외료체계에 적합하면서 다양한 재가환자외 가정 '방문간호 요구와 그들외 지볼보상 능력에 따라 서비스가 지속될 수 있는 방안올 모색하여 국민외 일차 건강확보를 위한 가정.
  • " data-before="있다" data-ocr-fix="">있다. <Hgure 4>에서 보듯이>가정'방문간호 서비스가 II 영역 외 대상자에게는 거외 제공되고 있지 못하고>그 이외 나머지 영역외 대상자에게도 기존외 공급체계만으로는 가정.방문간호 옥구를 충족시키기에 매우 부족한 상태이므로>가정, 방문간호 제공올 위한 추가적인 공급방안 마련이 플요하다고 할 수 있다.
  • 방문공급주체간외 연계를 틍한 서비스 외 확충이야말로 비응효과적이며 더 나아가 이들과 이들 가족외 삶외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이에 딱 라보다 효과적이고 효옽적인 가정.방문간호서비스외 전달 올 위해 현 가정, 방문간호사업 현황분석올 틍하여 도츺된 문제점과 공급주체간외 연계를 어렵게 하는 요인들에 대한 해글방안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인구외 고령화와 국민외 다양한 건강관리 옥구외 증대로 가정'방문간호에 대한 수요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바>본 연구는 외료기관 가정간호사업과 보건소 방문간호사업외 현황 및 연계실태와 이에 따른 문제점올 파악하고>가정, 방문간호사업 수요추계 및 선진외국외 가정, 방문간호사업 체계 분석올 근거로 하여>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한 가정간호사업 모형올 개발하고>가정.방문간호사업외 확대 및 정착올 위한 발전방안올 제시하는데그 목적 이 있다Giguiw 1 참조>.
  • 전숱된 세부연구 글과로부터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한 가정.방문간호서비스 공급방안 마련외 플요성이 제기되었으므로>가정, 방문간호 제공올 위한 공급방안외 한대안으로 현재 외료기관외 가정간호사업과 보건소외 방문간호사업외 절충선상에서 개방구조를 독징으로 하는지역사회 가정간호사업소 모형올 제시하였다.
  • 첨단 외료기숱외 밮전과 외료 각 분야외 전문화 및세분화를 지향하는 있는 오늘날 가정 .방문간호사업외 플요성은 역설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an, K. J., Park, S. A., Hah, Y. S., Yun, S. N., Song, M. S. (1994). A survey on home health care needs in youn-cheon county in Korea, J. of Korean Acad. of nursing, 24(3), 484-497 

  2. Hatry, R. W., Fisk, D. (1973). Practical program evaluation for state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Washington, D. C.: The Urban Institute 

  3. Hinshaw, A, Atwood, J. R. (1981). A patient satisfaction instrument : precision by replication, Nursing Research, 31(3), 170-175 

  4. Hsiao, W. C., Yntema, D. B., Braun, P. C. (1988). Measurement and analysis of intraservice work, J.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60(16), 2361-2370 

  5. Kim, S. L., Lee, K. Y. (1999). Visiting nuring activities provided by public health nurses in a health center, The J. of Korean Acad. Soc. of Home Care Nursing, 6, 59-65 

  6.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999). Research on people health and nutrition state:1998, seoul 

  7.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0). Prospective projection in population. seoul 

  8. Lim, Y. O., So, A. Y. (1999). A study visiting nursing service in primary health care units, The J.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0(2), 480-493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9). The operation guide of home visiting nursing program, seoul 

  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1). The work guide of home care nursing grogram in medical institution seoul 

  11. National Health Institution Corporation (2000). Yearbook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1999. seoul 

  12. National Health Institution Corpor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0). Yearbook of health benefits: 1999. seoul 

  13. Park, J. H, Kim, M. J., Hong, K. J., Han, K. J., Park, S. A., Yun, S. N., Lee, I. S., Cho, H., Bang, K. S. (1998). An operations study on the home health care nursing delivery system, The J. of Korean Acad. Soc. of Home Care Nursing, 5, 20-31 

  14. Pickrens, M. E., Tayback, M. (1957). A tob satisfaction study, Nursing Outlook, 5(3), 157-159 

  15. Rose, M. A. (1976). Problems families face in home care, American J. of Nursing, 3, 416-418 

  16. Saba, V. K. (1990). The Classifications of home health nursing diagnoses and interventions, HCFA 

  17. Sanborn, C. W., Blount, M. (1984). Standard plans for care and discharge, American J. of Nursing, 11, 1394-1396 

  18. Shaw, C. D. (1986). Introducing quality assurance, KF Project Paper 64, London King's Fund Publishing Office 

  19. Whang, N. M. (1996). Evaluation of hospitalbased home nursing care project I,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eoul 

  20. Whang, N. M. (1997). Evaluation of hospitalbased home nursing care project II,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eoul 

  21. Whang, N. M, Cho, J. K, Chang, I. S. (1999). Model development and institution-alization method of hospital-based home nursing care program,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eoul 

  22. Yang, B. M. (1992). Physician manpower shortage : forecasting through 2005, Korean J. of Public Health, 29(1), 65-78 

  23. Yun, S. Y., Cho, M. S., Kim, H.S. (1997). A study of outcome measurement research of home nursing care program in Korea, The J. of Korean Acad. Soc. of Home Care Nursing, 4, 41-5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