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신가족의 가족복지 욕구분석을 위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to Analyze Welfare Needs of a Single Family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0 no.10, 2002년, pp.17 - 31  

박정윤 (중앙대 가족복지학과) ,  김진희 (중앙대 가족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umber of single family is increasing because of individualism, resistance toward patriarchal family system, forced independence of women, absence of proper spouse and divorce rate, and aging. This study is to find out welfare needs in order to make family welfare measures toward continuously in...

주제어

참고문헌 (24)

  1. 강인(1998). 중년기 여성이 경험하는 배우자 사별 스트레스와 적응. 이화여대 대학원 박사논문 

  2. 김선영(1991). 미망인의 가족스트레스와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3. 김성천, 윤혜미(2000). 가족복지증진을 위한 정책 대안 연구. 보건복지부 

  4. 김용재(1995). 독신 성인 유형에 따른 교육적 필요에 대한 조사 연구. 침례신학대학 대학원 석사논문 

  5. 김정옥, 박경규, 박순희, 안영희, 구향숙, 한동희,전형미, 류도희, 박영숙, 이은경, 이현애, 정복희, 김성희 편저 (1998). 결혼과 가족. 학지사 

  6. 노영주(2001). 이혼 여성의 모성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6(2), 43-64 

  7. 문현숙, 김득성(2000). 이혼 후 적응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3), 99-120 

  8. 박경민(1994).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노년기 우울에 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논문 

  9. 성지미, 이윤정(2001). 노인독신가구의 경제상태와 경제적 불평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2), 11-130 

  10. 유영주, 서동인, 홍숙자, 전영자, 이정연, 오윤자, 이인수(2001). 현대 결혼과 가족. 신광 출판사 

  11. 이기숙, 공미혜, 김득성, 김은경, 손태홍, 오경희, 전영주 공저(2001) 결혼의 기술. 학지사 

  12. 장인협, 이혜경, 오정수(2001). 사회복지학-개정판 서울대학교출판부 

  13. 전길량, 김정옥(2000). 배우자 사별 노인의 자기 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1), 155-168 

  14. 정경희, 조애저, 오영희, 변재관, 변용찬, 문현상(1998). 전국 노인생활 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 정은(1994). 상배여성의 사회적응을 위한 심리 사회적 접근.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6. 정현숙, 유계숙(1998). 결혼학개론. 상명대학교 출판부 

  17. 최경석, 김양희, 김성천, 김진희, 박정윤, 윤정향 공저(2001). 한국 가족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18. 최해경(1996). 도시 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노년학, 16(2), 39-52 

  19. 최희정(1997) 배우자와의 사별로 인한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논문 

  20. 통계청(2001).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 

  21. 통계청(1999). 통계로 본 여성의 삶. 통계청 

  22. Benokraitis, N. V. (1993). Marriage and family - change, choices, and constraints. Prentice Hall, Inc 

  23. Coombs, R. H. (1991). Marital status and personal well-being: A literature review. Family Relations, 40, 97-102 

  24. Krause, N. (1991). Stressful events and life satisfaction on among elderly men and women. Journal of Gerontology, 46(2), 84-9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