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질문 강화 수업이 중학생들의 질문 수준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ce Question Enhancement Instruction on the Science Question Level and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2 no.4, 2002년, pp.872 - 881  

정영란 (이화여자대학교) ,  배재희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질문은 학생들에게 문제의 탐색과 의사소통, 지식의 구조화를 통해서 문제해결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과학 교육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또한 학생 질문은 사고와 학습 사이를 연결해 준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학생의 질문에 대해서 분석하고 연구한 연구는 그렇게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문 수준 강화 수업이 전통적인 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질문 수준과 학업 성취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논리적 사고력, 과학 성적, 흥미, 성별과 같은 여러 변인들이 학생의 질문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중학교 2학년 학생 182명으로,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수업을 하였고, 실헙집단은 질문 수준 강화 수업을 하였다. 연구단원은 중학교 과학 2 "식물의 구조와 기능"으로 약 7주 동안 15차시에 걸쳐 수업 처치를 하였다.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GALT 축소본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학업 성취도 검사는 17문항의 오지선다형문항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질문 수준에 대한 여러 변인(수업방법, 과학 성적, 논리적 사고력, 흥미, 성별)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오원 분산분석(ANOVA), 공변량 분석(ANC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하였다. 학생들의 질문 수준을 분석해 본 결과, 질문 강화 수업이 전통적인 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질문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p< .01). 학생의 질문 수준과 상관 관계가 가장 높은 것은 수업 방법(r= .640)이었으며, 질문 수준은 과학 성적(r= .311)과 논리적 사고력(r= .212)에도 상관이 있었다. 그러나 질문 수준은 흥미와 성별에는 상관이 거의 없었다. 질문 강화 수업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전통적인 학습보다 효과적이었다(p< .01). 따라서 질문 강화 수업은 학생들의 질문 수준뿐만 아니라 학업 성취도에도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바람직한 수업방법이라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udent questioning is included in the priority of science literacy, to enable students to solve problems by exploring questions, communicating and constructing knowledge(AAAS, 1989). Also, the essence of student questioning in science lies in its function as a link between thinking and learning. B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은 학생들의 주제에 대한 흥미가 질문 수준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Table 1>. 주제에 대한 흥미가 높은 학생들의 평균 질문 점수는 8.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문 수준 강화 수업이 전통적인 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질문 수준과 학업 성취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논리적 사고력, 과학 성적, 흥미 성별과 같은 여러 변인들이 학생의 질문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 많이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학생의 질문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학생의 질문에 어떤 변인(과학성적, 논리적 사고력, 흥미, 성별)들이 상관관계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또한 질문 강화 수업이학생의 질문 수준과 학업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 또, 학생들의 성별에 따라 질문 수준이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Table 1>. 남학생들의 평균 질문 점수는 8.
  •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논리적 사고력, 과학 성적, 흥미 성별과 같은 여러 변인들이 학생의 질문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학생의 질문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학생의 질문에 어떤 변인(과학성적, 논리적 사고력, 흥미, 성별)들이 상관관계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또한 질문 강화 수업이학생의 질문 수준과 학업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 이 연구에서는 질문 강화 수업이 전통적인 수업에 비해 학생의 질문 수준과 학업 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학생의 질문 수준과 여러 변인들 (수업 방법, 논리적 사고력, 과학 성적, 흥미. 성별)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전통적인 수업과 탐구적 질문 강화 수업에 따라 학업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수업 방법에 따른 사전 .
  •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수준에 따라 질문 수준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Table 1>. 구체적조작기 학생의 질문 평균 점수는 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교육부(1999).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 (III).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2. 김성근, 여상인, 우규환(1999). 과학 수업에서의 학생 질문에 대한 연구( I )-학생 질문을 강화한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377-388 

  3. 김은숙(2000). 전문인의 물리 문제 풀이 방략 가시화 연습을 통한 대학생의 질문 향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정자(2001). 불일치 상황 제시 수업에서 나타난 고등학생 질문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진만(1995). 학생의 열과 온도 개념 변화에 있어서 인지 방략적 질문의 역할.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AAAS(1989). Science for all Americans. NY: Oxford University Press 

  7. Baird J. R. & Mitchell, I. J.(1986).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An Australian Case-Study - The PEEL Project, Melbourne: Monash University 

  8. Chiapetta, E. L., Koballa, T. R, Jr., & Collette, A. T.(1998).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4th ed. NJ : Prentice Hall, Inc. 

  9. Cuccio-Schirripa, S., & Steiner, H. E.(2000). Enhancement and analysis of science question level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2), 210-224 

  10. DeBoer, G. E.(1991). A history of ideas in science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11. Ennis, R. H.(1985). Goals for the critical thinking curriculum, In A. L. Costa(Ed.), Developing minds: A resource book for teaching thinking.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2. Good, T. L. & Brophy, J.(1995). Educational psychology. New York: Longman 

  13. Hayes, J. R.(1981). The complete problem solver, Philadelphia: Franklin Institute Press 

  14. King, A.(1990). Enhancing peer interaction and learning in the classroom through reciprocal question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7(4), 664-687 

  15. King, A.(1994). Guiding knowledge construction in the classroom: Effects of teaching child how to question and how to explain. American Education Research Journal, 31(2), 338-368 

  16. Marbach-Ad, G. & Sokolove, P. G.(2000). Can undergraduate biology student learn to ask higher level ques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reaching, 37(8), 854-870 

  17. Mills, L. C. & Dean, P. M,(1960). Problem-solving methods in science thinking. New York: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18. Resnick, L. B,(1989). Introduction, In L. B. Resnick(Ed.). Knowiag, learning, and instruction. Hillsdale, NJ: Erlbaum, 1-2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