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결자.청취자 문제해결 활동에서의 소집단 과정
Small Group Processes in Paired Think-Aloud Problem Solving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2 no.3, 2002년, pp.411 - 421  

전경문 (서울대학교) ,  노태희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결자 청취자 활동에서의 소집단 문제해결 과정을 조사하였다. 고등학교 화학 수업 시간에 두 학급을 선정하여 문제해결 전략을 사용하여 해결자 청취자 활동을 하는 집단(St-SL)과 전략을 사용하지 않는 집단(SL)으로 무선 배치한 후, 소집단 활동 과정을 녹화/녹음하였다. 해결자와 청취자의 언어적 행동을 4단계 문제해결 단계에 따라 분석하고, 각 단계별 수행 수준을 조사하였다. 이해 단계에서는 St-SL 집단의 해결자가 문제의 조건이나 구해야 할 것을 파악하는 과정에 대해, 청취자가 단순히 동의하는 행동이 많이 나타났다. 계획 단계 중 관련된 법칙 회상에 대해서는 St-SL 집단의 청취자가 질문, 지적하고 이를 토대로 해결자가 수정하는 행동이 많이 나타났는데, 이러한 언어적 상호작용이 학생들이 올바른 법칙을 사용하여 물리량을 유도해내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된다. SL 집단과 St-SL 집단 모두 하위 목표를 설정하는 것에 관한 언어적 상호작용은 별로 나타나지 않았고, 이를 제대로 수행한 경우도 별로 없었다. 검토 단계에서 SL 집단의 경우 상호작용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고, St-SL 집단에서는 해결자가 청취자의 동의를 구하는 행동이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서도 답의 의미를 분자 수준에서 설명하는 전략에 대해서 바르게 수행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인식 검사에서는 학생들이 문제해결에 가장 많은 도움을 준 단계는 이해 단계이고, 계획이나 검토 단계는 적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응답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small group processes in paired think-aloud problem solving. Two high school chemistry classes were assigned to St-SL group (using Strategy-Solve Listener) and SL group (Solver Listener), and their small-group behaviors were audio/video taped. Verbal behaviors of solver and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 전략을 사용하여 해결자, 청취자 활동을 하는 학생(St-SL)들을 대상으로, 소집단 문제해결 과정을 분석하였다. 해결자와 청취자의 언어적 행동의 빈도를 이해계획-풀이-검토의 4단계별로 조사하고 문제해결 단계별 수행 수준올 조사하여 전략올 사용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였다.
  • 단점, 도움이 된 단계. 어려운 단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다.
  • 제시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문제해결 단계별 언어적 행동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이해 단계에 관한 언어적 행동 중 Mann-Whitney 검증에 의한 집단 간 빈도 차이가 유의미한 것은(Table 2), 해결자가 청취자에게 정보를 제공(0, .
  • 또한, 해결자 . 청취자 활동 과정에서의 문제해결 단계별 수행 수준 및전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노태희, 김창민, 차정호, 전경문(1998). 물질의 입자성과 문제해결 전략을 강조한 컴퓨터 보조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화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37-346 

  2. 노태희. 여경희, 전경문(1999). 문제해결 전략에서 협동 학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635-644 

  3. 노태희, 전경문, 한인옥, 김창민(1996), 학생의 인지 발달 수준과 문제의 상황에 따른 화학 문제해결 행동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4), 389-400 

  4. 전경문(1999). 문제해결 전략과 해결자 . 청취자 활동: 화학 수업에서의 교수 효과 및 소집단 문제 해결 과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5. 전경문과 노태희(2000). 해결자 . 청취자 활동에서의 언어적 행동.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624-633 

  6. 전경문과 노태희(2001). 문제해결 전략과 해결자 . 청취자 활동이 고등학생의 화학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2), 289-298 

  7. 전경문, 여경희, 노태희(2000). 협동학습 과정에서의 언어적 행동과 화학 문제해결력 사이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34-243 

  8. Asieba, F. O., & Egbugara, O. U.(1993). Evaluation of secondary pupils' chemical problem-solving skills using a problem-solving model.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0(1), 38-39 

  9. Bunce, D. M., & Heikkinen, H.(1986). The effects of an explicit problem-solving approach on mathematical chemistry achieve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1), 11-20 

  10. Derry, S., Tookey, K., & Chiffy, A.(1994). A Microanalysis of pair problem solving with and without a computer tool.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New Orleans, LA 

  11. Garofalo, J., & Lester, J. F. K.(1985). Metacognition, cognitive monitoring, and mathematical performanc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6(3), 163-176 

  12. Heller, P., Keith, R., & Anderson, S.(1992). Teaching problem solving through cooperative grouping. Part 1: Group versus individual problem solving. American Journal of Physics, 60(7). 627-636 

  13. Mettes, C. T. C. W., Pilot, A., Roossink, H. J., & Kramers-Pals, H.(1980). Teaching and learning problem solving in science. Part I: A general strategy.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57(12), 882-885 

  14. Noh, T., & Scharmann, L. C.(1997). Instructional influence of a molecular-level pictorial presentation of matter on students' conception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2), 199-217 

  15. Pestel, B. C.(1993). Teaching problem solving without modeling through 'thinking aloud pair problem solving'. Science Education, 77(1), 83-94 

  16. Woods, D. R.(1989). Problem solving in practice. In. D. L. Gabel (Ed.), What research says to the science teacher: problem solving (pp. 97-121). Washington, DC: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