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학과 생물 교과서에서 삼투압과 반투막 개념에 관한 설명 유형 분석
Analysis of Types on Osmotic Pressure and Semipermeable Membrane Concept in Chemistry and Biology Textbook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2 no.3, 2002년, pp.444 - 454  

고영환 (서문여자중학교) ,  강대훈 (연희중학교) ,  류오현 (제천중학교) ,  백성혜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화학과 생물 교과서, 대학교 화학 및 생물 교재를 중심으로 삼투압반투막의 개념에 대한 설명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삼투압에 개념에 관련된 설명 유형은 대략 4개 정도의 유형이 있었으며, 반투막에 관한 설명 유형은 3가지 정도가 있었다. 특히 이러한 설명 유형 사이에는 시각의 차이가 있어서 같은 개념이 전혀 다른 현상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설명 유형의 차이는 학생들의 이해에 혼란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교과서 구성에서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xplanation of the concepts related to osmotic pressure and semipermeable membrane that were represented in chemistry and biology textbooks of high school and general course of college. There were 4 types of explanation in osmotic pressure and 3 types of semipermeabl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정의가 생물과 화학 교과서에서 서로 다른 시각으로 제시된다면 그것이 바로 선행연구에서 지적되어 왔던 문제점, 즉 학생들이 삼투 현상을 어려워 하는 이유의 일부룰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삼투압과 반투막에 대한 개념 이해에 대한 교과별 특성을분석하고, 이로부터 문제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문제룔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박경희(1998). 고등학생들의 삼투개념 이해를 위한 인지갈등 수업모형의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송영보(1994). 삼투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탐구. 제40회 전국 과학 전람회 화학분야 

  3. 신선옥(1993). 확산과 삼투에 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및 오개념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이현욱(1994). 확산과 삼투에 관한 분자운동 모델에 기초한 순환학습의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전태식(1998). 수업 전략과 학습자 특성이 삼투개념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조회형, 박승재(1994). 학습론과 과학교육. 과학교육사: 서울 

  7. 홍준의(1998). 학생의 인지 수준과 순환 학습이 ‘삼투’ 개념의 이해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Atkins, P. W.(1995). Physical Chemistry (6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26-229 

  9. Ausuble, D. P.(1969). School Learning, Holt, Rinehart & Winston: N.Y. 

  10. Bodner, G. M., & Pardue, H. L. (1998). 일반화학 2판. 범한서적: 서울. 437-438 

  11. Brady, J. E.(1996). 일반화학 5판. 탐구당: 서울. 522-526 

  12. Brady, J. E., & Holum, J. R.(1997). 화학 2판. 자유아카데미: 서울. 623-625 

  13. Brown, T. L., LeMay, H. E., & Bursten, B. E.(1999). 일반화학 7판. 녹문당: 서울. 508-517 

  14. Campbell, N. A.(1987). Biology (2nd ed.), The Benjanin. Cummings Publishing Company: Califonia, 162-167 

  15. Christianson, R. G., & Fisher, K. M.(1999). Comparison of student learning about diffusion and osmosis in constructivist and traditional classrooms. Science Eduation, 21(6), 687-698 

  16. Ebbing, D. D., & Wringhton, M. S.(1995), 일반 화학 5판. 교보문고: 서울. 524-527 

  17. Friedler, Y., Amir, R., & Tamir, P.(1987). High school students'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osmosis. Science Education, 9(5), 541-551 

  18. Guttman, B. S., & Hopkins, J. W.(1983). Understanding Biology. Harcourt Brace Jovanovich: New York. 270-271 

  19. Hill, J. W., & Petrucci. R. H.(1998). 일반화학. 자유아카데미: 서울. 514-519 

  20. Keeton, W. T., & Gould, J. L.(1980). Biological Science (4th ed.). W. W. Norton & Company: New York. 85-90 

  21. Kimball, J. W.(1983). Biology (5th ed.).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Massachusetts. 108-112 

  22. Kotz, J. C & Paul Treichel, Jr.(1999). 최신일반 화학. 탐구당: 서울. 766-770 

  23. Malone, L. J.(1999). 화학의 기본개념. 자유아카데미: 서울. 367-369 

  24. McMurry, J., Fay, R. C.(1996). Chemistry. Prentis-Hall Publishing: N.J. 515-525 

  25. Moore, J. W., Stanitski, C. L., Wood, J. L., Kotz, J. C., & Joestern, M. D.(2000). 일반화학. 자유아카데미: 서울. 831-832 

  26. Morse, J. G., & Vitz, E.(1999). A Simple demonstration model of osmosi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6(1), 64-65 

  27. Noggle, J. H.(1998). 물리화학 3판. 자유아카데미: 서울. 362-363 

  28. Odom, A. L., & Barrow, L. H.(199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two-tier diagnostic test measuring college biology students' understanding of diffusion and osmosis after a course of instruc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1), 45-61 

  29. Oxtoby, D. W., Gillis, H. P., & Nachtrieb, N. H.(2000). 현대일반화학 4판. 자유아카데미: 서울. 209-211 

  30. Purves, W. K., Oriahs, G. H., & Craig Heller, H.(1996). Life (4th ed.). HarperCollins College Publishers: New York. 102-107 

  31. Raymond, C.(1998). 일반화학 5판. 사이텍미디어: 서울. 411-413 

  32. Soyibo, K.(1983). Selected science misconceptions amongst some Nigerian school students. In H. Helm and J. D. Novak(ed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eminar on misconceptions in science and mathematics, Cornell University, 443-151 

  33. Villee, C. A.(1994). 최신생물학. 법문사: 서울. 148-151 

  34. Wallace, R. A., Sanders, G. P., & Ferl, R. J.(1996). Biology (4th ed.). HarperCollins College Publishers: New York. 111-113 

  35. Zumdahl, S. S.(1996). 일반화학. 일신사: 서울. 469-47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