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우렁쉥이 껍질성분 및 색소를 이용한 양식소재 개발 -3. 우렁쉥이 껍질 유래 황산다당의 기능적 특성- Utilization of Pigments and Tunic Components of Ascidian as an Improved Feed Aids for Aquaculture -3. Functional Properties of Sulfated Polysaccharides from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원문보기
우렁쉥이 껍질에서 추출한 autoclave 추출구와 neutrase 추출구는 지방흡수력의 경우 대조시료인 chitin과 chitsan에 비해 떨어지는 대략 250$\~$$300\%$ 정도이었으나, 포말성은 각각 0.70과 0.67로, 포말안정성은 0.50과 0.38로 우수하였다 Autoclave 추출구 및 neutrase 추출구의 유화능은 각각 $49.2\%$와 $47.1\%$, 유화안정성의 경우 각각 $48.3\%$와 $44.8\%$ 정도였으며 특히, 색소흡착능은 각각 $85.2\%$와 $85.6\%$로 대조시료에 비해 다소 우수하였다 항혈액응고능은 모든 시료에서 hPn 저 지효과는 나타났으나 PT값은 약 14.5초로 일정하여 혈액응고저지 효과가 거의 없었다. 특히 autoclave 처리구를 DEAE-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graphy하여 얻은 F4 (획분4)는 APTT가 75초로 가장 효과적 이 었으며, Sephadex G-100의 $F_2$가 70초 정도였다. ACE저해능은 모든 시료에서 ACE 저해효과가 있었으며, 채택된 실험방법에 따라 동일시료 경우에 있어서도 저해효과 값이 차이가 났으며, 특히 DEAE-cellulose 이온교환 처리한 $ F_4$ (획분4)가 $35.7\%$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우렁쉥이 껍질에서 추출한 autoclave 추출구와 neutrase 추출구는 지방흡수력의 경우 대조시료인 chitin과 chitsan에 비해 떨어지는 대략 250$\~$$300\%$ 정도이었으나, 포말성은 각각 0.70과 0.67로, 포말안정성은 0.50과 0.38로 우수하였다 Autoclave 추출구 및 neutrase 추출구의 유화능은 각각 $49.2\%$와 $47.1\%$, 유화안정성의 경우 각각 $48.3\%$와 $44.8\%$ 정도였으며 특히, 색소흡착능은 각각 $85.2\%$와 $85.6\%$로 대조시료에 비해 다소 우수하였다 항혈액응고능은 모든 시료에서 hPn 저 지효과는 나타났으나 PT값은 약 14.5초로 일정하여 혈액응고저지 효과가 거의 없었다. 특히 autoclave 처리구를 DEAE-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graphy하여 얻은 F4 (획분4)는 APTT가 75초로 가장 효과적 이 었으며, Sephadex G-100의 $F_2$가 70초 정도였다. ACE저해능은 모든 시료에서 ACE 저해효과가 있었으며, 채택된 실험방법에 따라 동일시료 경우에 있어서도 저해효과 값이 차이가 났으며, 특히 DEAE-cellulose 이온교환 처리한 $ F_4$ (획분4)가 $35.7\%$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functional properties of sulfated polysaccharides from ascidian tunics, In physical properties of the crude polysaccharides, emulsion ability and foaminess were more excellent compared with chitin and chitosan, particular dye binding capacity was prominen...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functional properties of sulfated polysaccharides from ascidian tunics, In physical properties of the crude polysaccharides, emulsion ability and foaminess were more excellent compared with chitin and chitosan, particular dye binding capacity was prominent. Anti-blood coagulation of partially purified sulfnted polysaccharides showed with respect to APTT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Especially, active fraction $(F_4)$ obtained by DEAE-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graphy showed highest activity, which was approximately $20\%$ of the activity of heparin. ACE inhibitory activity also similar to anticoagulant activity. Active fraction $(F_4)$ obtained by DEAE-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graphy showed about $34\%$, in ACE inhibitory activity.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functional properties of sulfated polysaccharides from ascidian tunics, In physical properties of the crude polysaccharides, emulsion ability and foaminess were more excellent compared with chitin and chitosan, particular dye binding capacity was prominent. Anti-blood coagulation of partially purified sulfnted polysaccharides showed with respect to APTT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Especially, active fraction $(F_4)$ obtained by DEAE-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graphy showed highest activity, which was approximately $20\%$ of the activity of heparin. ACE inhibitory activity also similar to anticoagulant activity. Active fraction $(F_4)$ obtained by DEAE-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graphy showed about $34\%$, in ACE inhibitory activit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하지만 미색 동물인 우렁쉥이가공 부산물로부터 다당을 추출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는 거의 전무인 실정이고, 또한 이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기능적 특성에 대하여 검토한 바가 없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전량 폐기되고 있는 우렁쉥이 껍질의 고도 이용의 한방 안으로 그 효용성이 밝혀진 우렁쉥이 껍질 색소 (Lee et al, 1994a, b)를 추출하고 남은 잔사에서 부분 정제한 황산 다당의 몇 가지 기능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실험에 사용한 우렁쉥이 껍질과 황산 다당은 전보 (Lee et al., 1998a; Hong et al., 2001)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여 분리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행하였다. 즉 지방흡수력은 Lin et al. (1974)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포말성과 포말 안정성은 John son and Breke (1983) 및 Watanabe et al. (1981)의 방법 에 따라 측정하였고, 유화능과 유화 안정성은 Wang and Kinsella (1976) 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한편, '섁소흡착능은 수용성인 Coo- massie brilliant blue R~250과 Red~2 그리고 지용성인 우렁쉥이색소추출물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 각시료 1.0g을 정평하여 삼각플라스크에 취하고 여기에 미리 조제한 각색소용액 (Coomas- sie brilliant blue R-250과 Red-2는 70% 에탄올에 녹였고, 지용성인 우렁쉥이색소추출물은 99% 에탄올에 녹인 후색소 용액으로 사용하였음) 10mL를 가하여 1시간 방치하여 색소를 흡착시킨 후, 열풍 건조기에서 용매인에탄올을 휘발시켰다. 흡착된 시료를 acetone으로 3회에 걸쳐 추출한 후 UV spectrophotometer (Milton Roy 1201 USA)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McBeth (1972) 의 방법에 따라 색소 함량을 계산하였다.
0g을 정평하여 삼각플라스크에 취하고 여기에 미리 조제한 각색소용액 (Coomas- sie brilliant blue R-250과 Red-2는 70% 에탄올에 녹였고, 지용성인 우렁쉥이색소추출물은 99% 에탄올에 녹인 후색소 용액으로 사용하였음) 10mL를 가하여 1시간 방치하여 색소를 흡착시킨 후, 열풍 건조기에서 용매인에탄올을 휘발시켰다. 흡착된 시료를 acetone으로 3회에 걸쳐 추출한 후 UV spectrophotometer (Milton Roy 1201 USA)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McBeth (1972) 의 방법에 따라 색소 함량을 계산하였다.
항혈액 응고능과 ACE저해능은 전보 (Lee et al, 1998b)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여 측정하였다. 항혈액 응고능은 활성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과 프로트롬빈 시간 (PEthrombin time, PT)을 측정하였고, ACE저해능은 Cushman and Cheung (1971)의 방법과 TNBS (trinitrobenzene sulfonate)를 이용한 방법 (Matui et al.
처리하여 측정하였다. 항혈액 응고능은 활성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과 프로트롬빈 시간 (PEthrombin time, PT)을 측정하였고, ACE저해능은 Cushman and Cheung (1971)의 방법과 TNBS (trinitrobenzene sulfonate)를 이용한 방법 (Matui et al., 1992)으로 측정하였다.
성능/효과
우렁쉥이 껍질에서 추출한 각 분말의 지방흡수력은 Fig. 1과 같이 전반적으로 우렁쉥이 껍질 추출물들의 지방흡수력이 대조구인사litin과 chitosan에 비하여 다소 떨어졌으나, 추출물 중에서는 acetone처리 분말의 지방흡수력이 430%로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 황산 다당를 추출하고 남은 잔사의 지방흡수력이 340^380% 정도였다. 한편, 황산다당인 autoclave 추출구와 neutrase 주 출구의 지방흡수력은 대략 270~290% 정도로 나다났다.
또한 포말성과 유화능은 Table 1과 같다. 포말 안정성은 대조구인 chitin과 chitosan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우렁쉥이 분말에서는 거의 모든 처리 조건에서 나타났다. 특히 autoclave와 neutrase 처리한 황산 다당에서는 포말성이 각각 0.
포말 안정성은 대조구인 chitin과 chitosan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우렁쉥이 분말에서는 거의 모든 처리 조건에서 나타났다. 특히 autoclave와 neutrase 처리한 황산 다당에서는 포말성이 각각 0.70과 0.67이었으며, 포말 안정성은 0.50과 0.38로 비교적 우수하였다. 한편, 유화 활성 및 유화 안정성은 autoclave 및 neutrase 처리한 황산 다당에서만 나타났는데, 유화 활성은 각각 49.
색소흡착능은 Table 2와 같이 Blue-R-250, Red-2 색소와 우렁쉥이 껍질 색소 추출물을 황산다당에 첨가하여 흡착시킨 후 용매를 증발시켜 Bhie-R-250과 Red-2는 70% ethanol로, 우렁쉥이색소추출물은 acetone으로 3회에 걸쳐 추출하여 정량하였다. 황산다당의 색소흡착능은 대조구인 chitin 및사litosan과 비교하여 손색이 없을 정도였으며 특히, 우렁쉥이 색소추출물의 색소흡착능은 autoclave와 neutrase 처리한 황산 다당이 각각 85.2%와 85.6%로 대조시료에 비해 다소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본황산다당의 경우 색소부형제로서 손색이 없을 것으로 생각되어졌다.
6%로 대조시료에 비해 다소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본황산다당의 경우 색소부형제로서 손색이 없을 것으로 생각되어졌다.
같다. 모든 시료에서 APTT 저지 효과는 나타났으나 PT값은 약 14.5초로 일정하여 혈액응고 저지 효과가 거의 없었다. 특히 autoc lave 처리구를 DEAE-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graphy 하여 얻은 F4 (획분4)는 APTT가 75초로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Sepha dex GT00의 F?가 70초 정도, DEAE-cellulose ion exchange ch- romatography하여 얻은 F3과 autoclave로 추출한 황산 다당이 각각 66초와 65초였다.
지금까지 알려진 ACE 저해물질로는 단백질 유래의 peptide나 각종의 polyphenol 화합물둥이 있고, 그 밖에 솔잎, 쑥둥의 추출물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Kang et aL, 1995), 황산다당에 대한 연구결과는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이다. 본 실험의 경우 모든 시료에서 ACE 저해효과가 있었으며, 채택된 실험방법에 따라 동일시료 경우에 있어서도 저해 효과 값이 차이가 있었다. Cushman and Cheung (1971)의 방법보다는 TNBS를 이용한 방법 (Matui et al.
본 실험의 경우 모든 시료에서 ACE 저해효과가 있었으며, 채택된 실험방법에 따라 동일시료 경우에 있어서도 저해 효과 값이 차이가 있었다. Cushman and Cheung (1971)의 방법보다는 TNBS를 이용한 방법 (Matui et al., 1992) 이다소 높은 값을 보였고, autoclave 처리구가 neutrase 처리구보다 다소 양호한 저해능을 나타냈으며, 특히 DEAE-cellulose 이온교환 활성 획분의 ACE저해 효과가 비교적 우수하였는데, 그 중 F, (획분4)가 35.7%로 가장 효과적이었고, neutrase 처리구가 12.6% 로 비교적 낮은 저해능을 보였다.
38로 우수하였다. Autoclave 추출구 및 neutrase 추출구의 유화능은 각각 49.2 %와 47.1%, 유화 안정성의 경우 각각 48.3%와 44.8% 정도였으며 특히, 색소흡착능은 각각 85.2%와 85.6%로 대조시료에 비해 다소 우수하였다. 항 혈액 응고 능은 모든 시료에서 APTT 저지 효과는 나타났으나 PT값은 약 14.
6%로 대조시료에 비해 다소 우수하였다. 항 혈액 응고 능은 모든 시료에서 APTT 저지 효과는 나타났으나 PT값은 약 14.5 초로 일정하여 혈액응고 저지 효과가 거의 없었다. 특히 autoclave 처리구를 DEAE-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graphy하여 얻은 F4 (획분 4)는 APTT가 75초로 가장 효과적 이 었으며, Sephadex GT00의 Fz가 70초 정도였다.
특히 autoclave 처리구를 DEAE-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graphy하여 얻은 F4 (획분 4)는 APTT가 75초로 가장 효과적 이 었으며, Sephadex GT00의 Fz가 70초 정도였다. ACE저해능은 모든 시료에서 ACE 저해효과가 있었으며, 채택된 실험 방법에 따라 동일 시료 경우에 있어서도 저해 효과 값이 차이가 났으며, 특히 DEAE-cellulose 이온교환 처리한 F, (획분4)가 35.7%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참고문헌 (22)
Akio, K. 1994. New functional food proteins by polysaccharide modification.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 41, 304-310 (in Japanese)
Albano, R.M. and A.S.M. Paulo. 1983. Presence of sulfated glycans in ascidian tunic and the body wall of a sea cucumber. Biochim. Biophys. Acta., 760, 192-196
Anno, K., O. Kimiko and N. Seno. 1974. A chitin sulfate-like polysaccharide from the test of the tunicate Halocynthia roretzi. Biochim. Biophys. Acta. 362, 215-219
Byun, H.G., O.J. Kang and S.K. Kim. 1992. Syntheses of the derivatives of chitin and chitosan, an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J. Kor. Agric. Chem. Soc., 35, 265-271 (in Korean)
Cushman, D.W. and H.S. Cheung. 1971. Spectrometn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Hong, B.I., B.C. Jung, W.J. Jung, J.H. Ruck, B.D. Choi and K.H. Lee. 2001. Utilization of pigments and tunic components of ascidian as an improved feed aids for aquaculture. 2. Chemical properties of sulfated polysaccharides in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J. Kor. Fish. Soc., 34, 632-637 (in Korean)
Johnson, E.A. and C.J. Breke. 1983. Functional properties of acylated pea protein isolates. J. Food Sci., 48, 722-725
Jung, Y.S. and S.Y. Lee. 1987. Method of Clinical Pathology. Yonsei Univ., Press, pp. 120-123 (in Korean)
Kang, Y.H., Y.K. Park, S.R. Oh and K.D. Moon.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f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in Korean)
Knorr, D. 1982. Functional properties of chitin and chitosan. J. Food. Sci., 47, 593-595
Lee. K.H., S.J. Kang, B.D. Choi, Y.J. Choi and M.G. Youm. 1994a. Utilization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1. Effect of ascidian tunic extracts on pigmentation and growth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J. Kor. Fish. Soc., 27, 232-239 (in Korean)
Lee. K.H., S.J. Kang, B.D. Choi, Y.J. Choi and M.G. Youm. 1994b. Utilization of ascidian (Halocynthia roietzi) tunic 2. Optimum level of carotenoid extracts from ascidian tunic for the pigmentation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J. Kor. Fish. Soc., 27, 240-246 (in Korean)
Lee K.H., B.I. Hong, B.D. Choi, S.J. Kang, J.H. Ruck and B.C. Jung. 1998a. Utilization of pigments and tunic components of ascidian as an improved feed aids for aquaculture. 1. Effective extraction methods of crude polysaccharides in ascidian (Halocynthia mretzi) tunic. J. Kor. Fish. Soc., 31, 423-428 (in Korean)
Lee K.H., B.D. Choi, B.I. Hong, B.C. Jung, J.H. Ruck and W.J. Jung. 1998b. Functional properties of sulfated polysaccharides in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J. Kor. Fish. Soc., 31, 447-451 (in Korean)
Lin, M.J.Y., E.S. Humbert and F.W. Sosulld. 1974. Certain functional properties of sunflower meals. J. Food Sci., 39, 368-371
Matui, T., H. Matsufuji and Y. Osajima. 1992. Colorimetric measurement of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with tnnitrobenzene sulfonate. Biosci. Biotech. Biochem., 56, 517-518
Mori, H., H. Kamei, H. Nishide and K. Nisizawa. 1982. Sugar constituents of some sulfated polysaccharides from the sporophylls of wakkame (Undaria pinnatifida)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Proc. 10th Intern. Seaweed Symp,, 10, 109
Nishino, T. and T. Nagumo. 1987. Sugar constituents and blood-anti coagulant activities of fucose-containmg sulfated polysaccharides in nine brown seaweed species. Nippon Nogeikagaku Kaishi, 61, 361-367
Nishino, T., G. Yokoyama, K. Dobashi, M. Fujihara and T. Nagumo. 1989. Isolation, Purification, and chractedzation of fucose-containing sulfated polysacchandes from the brown seaweed Exklonia kurome and their blood-anticoagulant activities. Carbohydr. Res., 186, 119-12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