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멍게 껍질(Ascidian shell)로부터 추출한 천연색소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Stability of Natural Pigment Extracted from Ascidian shell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5 no.1, 2018년, pp.292 - 298  

박신호 (목원대학교 테크노과학대학 생의약화장품학부) ,  양재찬 (목원대학교 테크노과학대학 생의약화장품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멍게 껍질을 100.0 % 에탄올 용매로 추출한 후 DMSO로 희석하여 색소안정성을 평가하였다. pH에 따른 흡광도와 색차계 값을 측정한 결과 pH 7.0에서 흡광도와 색도의 ${\pm}a$값이 가장 안정하게 나타났다. pH 3.0에서 흡광도의 감소가 나타났고 색도의 ${\pm}a$값이 감소하여 멍게 껍질 색소는 pH가 중성에 가까울수록 변색방지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항산화제 첨가시 색소의 흡광도가 증가하였으며 ${\alpha}-tocopherol$과 Glutathione이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scidian shell pigment was extracted, first using a 100.0 % ethanol solvent, proceeding with the dilution of it with DMSO (Dimethyl sulfoxide). The extracted pigment was evaluated to verify the stability. The absorbance of light have been evaluated according to pH levels and using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 광선에도 민감하여 색의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도 많다[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멍게 껍질로부터 추출한 색소성분의 안정성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천연색소로서의 활용가능성 평가와 화장품 응용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멍게 껍질 추출물을 이용하여 색소안정성 실험을 통해 천연색소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pH에 따른 흡광도 변화는 pH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연색소의 특징은? 천연색소의 특징으로는 합성색소에 비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고 독성이 낮다는 장점만이 아닌 발색이 자연스럽고 우아하며 변색 또는 퇴색이 되어도 색감이 안정적이어서 은은한 색상을 내며 소재의 성질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얻을 수 있다[1]. 또한, 색조의 종류가 많아 다양하게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며 가식 가능한 식품 성분이 많아 식품의 착색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2].
카로티노이드 색소가 가진 생리적 기능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카로티노이드 색소는 고도불포화(polyene)구조로 되어 있어 빛이나 열에 대한 요소에 민감하다. 저장안정성이 낮기 때문에 실제 산업에 이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으나 카로티노이드가 광에너지를 흡수하여 유기물질의 산화적 분해를 방어하거나[9], 어류 와 갑각류에 카로테노프로테인(carotenoprotein)으로써 단백질을 안정화[10]하는 등 많은 생리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로티노이드계 색소들은 지용성이므로 물에 잘 녹지 않고 약산 혹은 알칼리에 의해서 퇴색이나 변색되지 않는다.
천연색소로 이용되는 멍게 껍질의 색소는? 8 % 등을 비롯하여 약 13종의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성분의 색소가 포함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7]. 멍게 껍질의 주요 색소인 카로티노이드계 색소는 동물 및 식물 그리고 미생물 등에 다양한 형태로 분포하며 450nm 근방의 빛을 흡수하는 지용성 색소로써 약 600여 종류가 있으며 노란색, 또는 빨간색 계통으로 분리하거나 카로틴(carotene)류, 잔토필(xanthophyll)류로 분리할 수 있으며 지용성 색소로 식품 등에서 천연색소로 이용되고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G. J. Lauro, “A primer on natural colors,” Am. Assoc. Cereal Chemists, Vol. 36, No. 11, pp. 949-953, (1991). 

  2. B. R. Park, K. S. Kim, H. R. Park, K. O. Shin, K. M. Ahn and K. Y. Kim, “A study on lip-balm usability from Lithospermum erthrohizon,” J. Cosmetological Sci, Vol. 6, No. 3, pp. 239-247, (2010). 

  3. Y. H. Kim, S. S. Lee, “A study on pigments from Rhodopila globiformis by Acetone Extraction : Stability of Red Pigments,” J. Korean Soc. Food Nutr, Vol. 3, No. 1, pp. 25-29, (1994). 

  4. J. M. Yoon, M. H. Cho, T. R. Hahn, Y. S. Paik, H. H. Yoon, "Physicochemical Stability of Anthocyanins from a Korean Pigmented Rice Variety as Natural Food Color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29, No. 2, pp. 211-217 (1997). 

  5. J. K. Song, H. M. Yun. B. D. Choi, M. J. Oh, S. J. Jung, “Isolation of marine birnavirus from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and its relation with tunic softness syndrome,” J. Fish Pathol, Vol. 22, No. 3, pp. 229-237, (2009). 

  6. B. D. Choi, S. J. Kang, Y. J. Choi, M. G. Youm, K. H. Lee, "Utilization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3. carotenoid composition of ascidian tunic," Korean Fish Soc, Vol. 27, No. 4, pp. 344-350 (1994). 

  7. B. Ticar, Z. Rohmah, M. Baterdene, S. H. Park, B. D. Choi,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scidian Tunic Carotenoids As a Source of Color Cosmetics,”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Vol. 28, No. 1, pp. 36-41, (2013). 

  8. H. J. Yoo, S. T. Jeon, "Dyeing Properties of Yerba Mate Tea on the Fabr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 36, No. 4, pp. 412-421 (2012). 

  9. T. W. Goodwin, "Metabolism, nutrition, and fun-ction of carotenoids," Ann. Rev. Nutr, Vol. 6, pp. 273-297, (1986). 

  10. P. E. Zagalsky, E. E. Eliopoulus, J. B. Findley, “The architecture of invertebrate carote-noproteins,” Comp Biochem Physiol, Vol. 97, No. 1, pp. 1-18, (1990). 

  11. E. s. Tak, M. W. Bae, S. H. Kang, Y. J. Bae, S. Y. Kang, S. K. Jung, I. K. Hong, “Presentation of Target Color with Extraction Variables in Natural Dyes Extraction,” Appl. Chem. Eng, Vol. 21, No. 5, pp. 559-563, (2010). 

  12. P. k. Park, E. Y. Kim, "Extraction Method of Carotenoios from Rhodotorula glutinis," Korea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Vol. 17, No. 1, pp. 44-48 (2002). 

  13. M. J. Kang, K. Y. Yoon, J. H. Seong, K. H. Lee, K. S. Kim, “The Stability of Carotenoid Pigments in Astringent Persimmon(Diospyros kaki) Consumed in Ko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Vol. 14, No. 4, pp. 355-362, (2004). 

  14. E. S. Song, H. G. Kim, Y. O. Song, Y. S. Jeon, H. S. Cheieh, “Effects of Water Activity and Ligh on the Oxidation of Carrot Carotenoid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25, No. 6, pp. 775-779, (1993). 

  15. M. S. John, H. Steven,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and duration on total vitamin C content of canned single-strength grapfruit juice,” J Agric Food Chem, Vol. 28, No. 2, pp. 417-421, (1980). 

  16. W. S. Park, H. J. Kim, H. J. Chung, M. S. Chun, "Changes in Carotenoid and Anthocyanin Contents, as well as Antioxidant Activity during Storage of Lettu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44, No. 9, pp. 1325-1332, (2105). 

  17. C. A. Pesek, J. J. Warthesen, "Photodegradation of carotenoids in a vegetable juice system," Journal of Food Science, Vol. 52, No. 3, pp. 744-746 (2006). 

  18. K. H. Shim, N. K. Sung, K. S. Kang, J. S. Choi, C. W. Jang, "Isol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arotenoid pigments from orange peels," J Korean Soc Fodd Nutr, Vol. 23, No. 1, pp. 143-149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