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생물을 이용한 해조류의 가수분해 및 이용 -I. 다시마와 미역을 가수분해시키는 미생물군의 탐색-
Studies on the Hydrolysis of Seaweed Using Microorganisms and Its Application -I. Screening of Microfloras Involved in Hydrolysis of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and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원문보기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35 no.4, 2002년, pp.438 - 444  

김해섭 (여수대학교 식품공학영양학부) ,  배태진 (여수대학교 식품공학영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직이 단단하여 이용률이 낮은 해조류의 조직을 가수분해시키고 유용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자연계에서 미생물을 탐색하여 해조류의 가수분해에 사용하고자 하였다. 우선 자연계에서 약 200종류의 미생물군 시료를 수집하고, 이중에서 다시마와 미역의 조직파괴가 인정되는 33군의 시료를 사용하여 다시마와 미역의 조직파괴 및 가수분해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소의 배설물에서 취한 시료 (No. 5), 공중낙하균군 시료 (No.33), 토양에서 취한 시료 (No. 10, 26), 담수에서 취한 시료 (No.27, 30) 및 부식한 식물에서 취한 시료 (No. 8, 28)에서 다시마와 미역의 조체 붕괴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이들 미생물군들을 다시 다시마와 미역에 접종하여 4주간 배양하고, 그 배양물 중의 전당과 환원당 함량, 추출을 및 분해율을 측정한 결과 두 해조 모두에서 시료 번호 27번과 8번이 가수분해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들 미생물군에 의하여 가수분해된 배양물에서 전당의 추출율은 다시마에서 각각 $68.55\%$$44.02%$이었고, 미역에서는 각각 $80.87\%$$62.60\%$이었다. 그리고 환원당의 추출율은 다시마에서 각각 $47.59%$$28.81\%$, 미역에서는 각각 $76.83\%$$39.01\%$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creening of microfloras involved in hydrolysis of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and sea mustard ( Undaria pinnatifida), This is a part of studies on the hydrolysis of seaweed using microorganisms. General process is difficult to extract of the useful constituent par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현재까지 이루어진 국내외 연구들은 해조로부터 미리 추출된 다당을 사용하거나 또는 시판 다당 및 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 특성을 밝힌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단단 한 조직을 갖는 해조 자체를 직접 시료로 사용하되, 자연계에서 미생물을 탐색하여 그 미 생물계 효소를 사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이 단단하여 이용률이 낮은 해조류의 조직을 가수분해시키고 유용성분을 효율적으로 주줄 하기 위하여 우선 자연계에서 해조류 가수분해 능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 미생물군 시료를 수집하여 다시마와 미역의 조직파괴 및 가수분해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이처럼 현재까지 이루어진 국내외 연구들은 해조로부터 미리 추출된 다당을 사용하거나 또는 시판 다당 및 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 특성을 밝힌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단단 한 조직을 갖는 해조 자체를 직접 시료로 사용하되, 자연계에서 미생물을 탐색하여 그 미 생물계 효소를 사용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이 단단하여 이용률이 낮은 해조류의 조직을 가수분해시키고 유용성분을 효율적으로 주줄 하기 위하여 우선 자연계에서 해조류 가수분해 능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 미생물군 시료를 수집하여 다시마와 미역의 조직파괴 및 가수분해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조직이 단단하여 이용률이 낮은 해조류의 조직을 가수분해시키고 유용성분을 直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자연계에서 미생물을 탐색하여 해조류의 가수분해에 사용하고자 하였다. 우선 자연계에서 약 200종류의 미생물군 시료를 수집하고, 이 중에서 다시마와 미역의 조직파괴가 인정되는 33군의 시료를 사용하여 다시마와 미역의 조직파괴 및 가수분해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17th Edition, U.S.A 

  2. Ando, Y. and K. Inoue. 1961a. Decomposition of alginic acid by microorganisms-IV. On the Vibrio-type bacteria, newly isolated from the decaying Laminaria. Bull. Japan. Soc. Sci. Fish., 27, 339-341 (in Japanese) 

  3. Ando, Y. and K. Inoue. 1961b. Decomposition of alginic acid by microorganisms-V. On the alginase of Vibrio sp. S0-20 strain. Bull. Japan. Soc. Sci. Fish., 27, 342-347 (in Japanese) 

  4. Ando, Y. and K. Inoue. 1965. Decomposition of alginic acid by microorganisms-V. On the modes of action of two alginases. Bull. Japan. Soc. Sci. Fish., 31, 552-557 (in Japanese) 

  5. Bae, T.J., J.M. Kwak, H.S. Kim and K.S. Kim. 2002. Processing of leaflike and powder tea using sea tangle. Korean J. Life Science, 12, 16-25 (in Korean) 

  6. Boyd, J. and J.R. Turvey. 1977. Isolation of a poly- $\alpha$ - L-guluronate lyase from Klebsiella aerogenes. Carbohydrate Research, 57, 163-171 

  7. Boyd, J. and J.R. Turvey. 1978. Structural studies of alginic acid, using a bacterial poly- $\alpha$ -L-guluronate lyase. Carbohydrate Research, 66, 187-194 

  8. Cho, H.O. and S.R. Lee. 1974. Effectiveness of gamma-irradiation on the extraction of algal polysaccharides. Korean J. Food Sci. Technol., 6, 36-41 (in Korean) 

  9. Davidson, I.W., I.W. Sutherland and C.J. Lawson. 1976.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an alginate lyase from a marine bacterium. Biochem. J., 159, 707-713 

  10. Eller, J. and W.J. Payne. 1960. Studies on bacterial utilization of uronic acid. IV. Alginolytic and mannuronic acid oxidizing isolates. J. Bacteriology, 80, 193-199 

  11. Elyakova, L.A. and V.V. Favorov. 1974. Isolation and certain properties of alginate lyase VI from the mollusk Littorina sp.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358, 341-354 

  12. Eppley, R.W. and R. Lasker. 1959. Alginase in the sea urchin Strongylocentrotus purpuratus. Science, 129, 214-215 

  13. Hwang, S.H., J.I. Kim and C.J. Sung. 1996. Analysis of dietary fiber content of some vegetables, mushrooms, fruits and seaweeds. Korean J. Nutrition, 29, 89-96 

  14. Jeong, I.H., S.S. Lee and K.H. Lee. 1994. The effect of additives to the texture of kelp blade. Bull. Korean Fish. Soc., 27, 149-154 (in Korean) 

  15. Joo, D.S., S.Y. Cho and E.H. Lee. 1993. Isolation of alginate-degrading bacteria and production of alginate-degrading activities by the bacteria.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1, 207-213 (in Korean) 

  16. Joo, D.S., J.S. Lee, S.Y. Cho, S.J. Shin and E.H. Lee. 1995. Changes in functional properties of alginic acid by enzymatic degrad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6-91 (in Korean) 

  17. Joo, D.S., J.S. Lee, J.J. Park, S.Y. Cho, H.K. Kim and E.H. Lee. 1996. Preparation of oligosaccharides from alginic acid by enzymic hydroly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46-151 (in Korean) 

  18. Kaneko, Y., Y. Yonemoto, K. Okayama, A. Kimura and K. Murata. 1990a. Symbiotic formation of alginate lyase in mixed culture of bacteria isolated from soil. J. Fermentation & Bioengineering, 69, 192-194 

  19. Kaneko, Y., Y. Yonemoto, K. Okayama, A. Kimura and K. Murata. 1990b. Bacterial alginate lyase properties of the enzyme formed in a mixed culture bacteria isolated from soil. J. Fermentation & Bioengineering, 70, 147-149 

  20. Kang, Y.J., K.T. Ryu and H.S. Kim. 1996. Preparation of cellular liquid from brown seaweeds for functional tonic products. J. Korean Soc. Food Nutr., 25, 94-103 (in Korean) 

  21. Kashiwabara, Y., S. Hiroshi and K. Nisizawa. 1969. Alginate lyases of Pseudomanads. The J. Biochemistry, 66, 503-512 

  22. Kitamikado, M., C.H. Tseng, T. Aoki, K. Yamaguchi and T. Araki. 1989. Isolation of bacteria capable of producing alginate-degrading enzyme from natural environment. Nippon Suisan Gakkaishi, 55, 709-713 (in Japanese) 

  23. Lee, I.K. and J.W. Kang. 1986. A check list of marine algae in Korea. Korean J. Phycol., 1, 311-325 (in Korean) 

  24. Min, K.H., S.F. Sasaki, Y. Kashiwabara and K. Nisizawa. 1977b. Substrate specificity of endo-polyguluronide lyases from Pseudomonas sp. on the basis of their kinetic properties. J. Biochemistry, 81, 547-554 

  25. Min, K.H., S.F. Sasaki, Y. Kashiwabara, M. Umekawa and K. Nisizawa. 1977a. Multiple components of endo-polyguluronide lyase of Pseudomonas sp. J. Biochemistry, 81, 539-546 

  26. Min, K.H., S.F. Sasaki, Y. Kashiwabara, M. Umekawa and K. Nisizawa. 1977c. Fine structure of SMG alginate fragment in the light of its degradation by alginate lyases. J. Biochemistry, 81, 555-562 

  27. Muramatsu, T., S. Hirose and M. Katayose. 1977. Isolation and properties of alginate lyase from the mid-gut gland of wreath shell Turbo cornutus. Agric. Biol. Chem., 41, 1939-1946 

  28. Nakada, H.I. and P.C. Sweeny. 1967. Alginic acid degradation by eliminases from abalone hepatopancreas. The J. Bio. Chem., 242, 845-851 

  29. Nisizawa, K., S. Fujibayashi and Y. Kashiwabara. 1968. Alginate lyases in the hepatopancreas of a marine mollusc, Dolabella auricula Solander. The J. Biochemistry, 64, 25-37 

  30. Tseng, C.H., K. Yamaguchi and M. Kitamikado. 1992a. Isolation and some properties of alginate lyase from a marine bacterium Vibrio sp. AL-128. Nippon Suisan Gakkaishi, 58, 533-538 (in Japanese) 

  31. Tseng, C.H., K- Yamaguchi and M. Kitamikado. 1992b. Two types of alginate lyase from a marine bacterium Vibrio sp. AL-9. Nippon Suisan Gakkaishi, 58, 743-749 (in Japanese) 

  32. Tsujino, I. and T. Saito. 1961. A new unsaturated uronide isolated from alginase hydrolysate. Nature, 192, 970-971 

  33. Tsujino, I. and T. Saito. 1962. Studies on alginase. Part II. A new unsaturated uronide isolated from alginase hydrolysate. Agric. Biol. Chem., 26, 115-118 

  34. Waksman, S.A. and M.C. Allen. 1934. Decomposition of polyuronides by fungi and bacteria. J. Bacteriol., 28, 213-220 

  35. Yonemoto, Y., K. Murata, A. Kimura, H. Yamaguchi and K. Okayama. 1991. Bacterial alginate lyase; Characterization of alginate lyase-producing bacteria and purification of the enzyme. J. Fermentation & Bioengineering, 72, 152-157 

  36. 吉川三吉. 1954. Pseudomonas alginoliquefaciens I のアルギン酸分解酵素について. 兵庫農科大學硏究報告 農芸化學編, 1, 53-56 

  37. 吉川三吉. 1955. 細菌アルギン酸分解酵素 (alginase)の生産條件について (その一). 兵庫農科大學硏究報告 農芸化學編, 2, 8-10 

  38. 吉川三吉, 渡邊 憲. 1956. 細菌アルギン酸分解酵素 (alginase)の生産條件について (そのニ). 兵庫農科大學硏究報告 農芸化學編, 2, 119-120 

  39. 日本食品工業學會. 1984. 食品分析法. 光琳, 日本 東京, pp. 170-172, 189-191 

  40. 井上勝弘. 1957. 微生物によるアルギン酸の分解 (第2報). Aerobacter aerogenes Y-11菌呈するアルギンナ一ゼ作用について. 日本農藝化學會誌, 31, 798-801 

  41. 井上勝弘, 安藤芳明. 1957. 微生物によるアルギン酸の分解 (第1報). Aerobacter aerogenes型 Y-11菌によるアルギン酸分解とアルギナゼの適應的生成. 日本農藝化學會誌, 30, 742-746 

  42. 해양수산부. 2000. 벤처 산업화를 지향한 젤리형 해조면류 가공기술의 개발, p. 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