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토살포에 의한 해수중 영양염류의 흡착제거기구
Adsorption and Removal Mechanism of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in Seawater by Yellow Loess 원문보기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35 no.2, 2002년, pp.146 - 154  

김평중 (국립수산진흥원 해양환경부) ,  허승 (국립수산진흥원 해양환경부) ,  윤성종 (국립수산진흥원 해양환경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황토살포에 따른 해수중 영양염 제거효율 및 제거기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황토의 입자 크기와 살포농도에 따른 경과시간별 해수중 영양염 농도변화를 실내 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53$\mu$m 이하에서 500$\mu$m 크기범위의 황토입자를 해수중에 첨가하여 24시간이 경과 후, 인산인의 제거효율은 황토 살포농도에 따라 59$\~$$99\%$까지 변하였으며, 살포농도가 증가할수록 제거효율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황토 입자크기에 따른 인산인의 제거효율의 차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규산규소의 제거효율은 황토입자 크기 및 살포 양의 차이에 관계없이 평균 약 $26\%$가 일정하게 감소하였다. 해수중 황토 살포 후, 인산인의 제거기구를 파악하기 위한 인의 존재형태별 분석결과는 $99\%$ 이상의 인산인이 철성분에 의한 화학적인 결합에 의해 제거된다는 것을 나타내었고, 규산규소는 해수와 황토 내에 들어있는 양이온과의 이온교환에 의하여 제거되는 것을 시사해 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assess the adsorption and removal mechanism of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in seawater by scattering yellow loess, a laboratory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the change of nutrient concentration in seawater during the course of time depending on particle size and scattered concentration of the 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지금까지 점토나 황토 등을 이용한 적조방제와 관련하여 적조생물 제거기구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으나, 실제로 황토 살포에 의한 영양염류의 흡착제거기구는 큰 주목을 끌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황토의 살포농도와 입 자크기를 조절하였을 때 시간 경과에 따른 인산인과 규소의 농도 변동을 통하여 황토살포에 따른 이들 무기 영양염류의 흡착제거 효율과 제거기구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ang, S.C. and M.L. Jackson. 1957. Fractionation of soil phosphorus. Soil. Sci., 84, 133-144 

  2. Choi, H.G., P.J. Kim, W.C. Lee, S.J. Yun, H.G. Kim and H.J. Lee. 1998. Removal efficiency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y yellow loess. J. Korean Fish. Soc., 31, 109-113 (in Korean) 

  3. Duncan, D.B. 1955. Multiple-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es, 11, 1-42 

  4. de Lange, G.J. 1992. Distribution of various extracted phosphorus compound in the interbedded turbiditic/pelagic sediments of the Maderira Abyssal Plain, eastern North Atlantic. Mar. Geol., 109, 115-139 

  5. Hong, J.S. 1987. Summer oxygen deficiency and benthic biomass in the Jinhae Bay system, Korea. J. Oceanol. Soc. Kor., 22, 246-256 

  6. James, I.D. 1982. The Geochemistry of Natural Waters. Prentice-Hall INC, Engle wood Cliffs, New Jersey, pp. 65-83 

  7. Joh, H. 1983. Fractionation of phosphorus and releasable fraction in sediment mud of Osaka Bay. J. Japanese Fish. Soc., 49, 447-454 (in Japanese) 

  8. Joh, H. 1987. Cycling behavior of phosphorous in Osaka Baycharacteristic distribution of various forms of phosphorus. Bull. Coast. Oceanogr., 24, 158-168 (in Japanese) 

  9. Kim, H.G. 1986. Ecological study of dinoflagellates responsible for red tide. 1. The population growth and control Prorocentrum tristinum schiller. Bull. Nat'l. Fish. Res. Dev. Agency, 39, 1-6 (in Korean) 

  10. Kim, S.J. 2000. Removal of red tide organisms. 2. Flocculation of red tide organisms by using loess. J. Korean. Fish. Soc., 33, 455-462 (in Korean) 

  11. Lee, P.Y. 1993. Occurrence and seasonal variation of oxygen-defficient watermass in Wonmun Bay. Bull. Korean Fish. Soc., 26, 392-400 (in Korean) 

  12. Mackenzie, F.T., R.M. Garrels, O.P. Bricker and F. Bickley. 1967. Silica in seawater: Control by silica minerals. Science, 155, 1404-1405 

  13. MAF (Ministry of Agriculture & Forestry). 1998. Studies on the Effect of Red Clay on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Culturing Grounds. Final Res. Report. Seoul, 199pp. (in Korean) 

  14. MOE (Ministry of Environment). 1995. Management Technique for Marine Environmental Protection. Technical Report, Seoul, pp. 63-119 (in Korean) 

  15. Na, G.-H., W.-J. Choi. and Y.-Y. Chun. 1996. A study on red tide control with loess suspension. J. Aquaculture Kor., 9, 239-245 (in Korean) 

  16. Na, G.H., J.B. Nam, K.D. Park. and J.A. Lee. 1998. Experimental elimination of blue-green algae Microcystis sp. by loess suspension in column test J. KSWQ, 399-404 (in Korean) 

  17. Park, J.S. and J.D. Kim. 1967. A study on the 'Red-water' caused at Chinhae Bay. Bull. Nat'l. Fish. Res. Dev. Agency, 1, 63-79 (in Korean) 

  18. Park, J.S. 1980. Studies on the seasonal changes in the popula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their effects on the oyster and local fishery resources as food organisms, their effects on red tides around the south coast of Korea. Bull. Nat'l. Fish. Res. Dev. Agency, 23, 7-157 (in Korean) 

  19. Park, J.S. 1982.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d tides environmental conditions in Jinhae Bay. Bull. Nat'l. Fish. Res. Dev. Agency, 28, 55-88 (in Korean) 

  20. Park, J.S., H.G. Kim and S.G. Lee. 1988. Red tide occurrence and the succession of its causative organisms in Jinhae Bay. Bull. Nat'l. Fish. Res. Dev. Agency, 41, 1-26 (in Korean) 

  21. Park, J.S. 1995. Succession and control of red tide. Fish. Res. Kor., 9, 6-19 (in Korean) 

  22. SPSS. 2000. SPSS Base 10.0 for Window, SPSS Inc., 444N. Michigan Avenue, Chicago 

  23. Strickland, J.D.H. and T.R. Parsons. 1972. A Practical Handbook of Seawater Analysis. Bull. Fish. Res. Bd. Canada, Otawa, Canada, 167pp 

  24. Wollast, R., F.T. Mackenzie and O.P. Bricker, 1968. Experimental precipitation of sepiolite at earth surface conditions. Am. Min., 53, 1945-1962 

  25. Yang, D.B., S.H. Kim and K.W. Lee. 1984. Vertical distribution of chemical oceanographic parameters in Jinhae Bay in July, 1983 J. Oceanol. Soc. Kor., 19, 89-93 

  26. Yang, D.B. and J.S. Hong. 1988. On the bi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in Jinhae Bay in September 1983. Bull. Korean Fish. Soc., 21, 195-20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