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적조 방제용 황토살포가 연안 저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ess Application in Coastal Benthic Ecosystem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15 no.11, 2006년, pp.1035 - 1043  

박치현 (울산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이병호 (울산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rge scale of fish kills by red tides has been occurred every year in coastal water fisheries of Korea. To suppress red tide spreading out over the south coastal water of the Korean Peninsula large amount of loess has been applied every year because loess is known to be effective in removing red 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황토살포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는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다량 살포된 황토가 해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 있다고 판단하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연구하기 위하여 황토의 기본적인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실험실에서 바다의 환경을 모사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황토가 수년간에 걸쳐 살포된 지역에 대한 수중 탐사를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임의의 해저에 대한 탐사 형태로 진행되어 해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인 수치로 증명하는 데는 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정성적인 연구와 정량적인 연구를 병행하였다.
  • 저서동물은 활동 범위가 작기 때문에 주변 환경을 잘 대변한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저서동물 군에 대한 정량적인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대상 지역은 매년 황토가 대량 살포되는 울산 진하 앞바다를 선정하였으며, 연안에서 800m, 1, 000m, 1, 200m 지역의 황토 살포지역과 1, 800m 떨어진 황토 미살포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 5 (b) 와 같이 황토살포지역에서 3킬로미터 떨어진 미 살포해역은 패류들이 왕성하게 살아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조를 보였다. 바다 속에서 황토가 무작위로 살포된 지역과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대조지역을 구분하여 패류의 개체 수를 비교하는 것이 쉽지 않았기 때문에 정성적인 분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였다.
  • 바다에 살포된 황토가 저서생물이 생존하는데 필요한 빛을 차단하는 정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빛의 차단 효과에 대한 간단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장치는 가로 Im, 세로 lm, 깊이 Im의 유리 수조를 만들어 울산 정자 앞바다에서 채취한 해수를 채운 뒤 한 수조는 황토를 넣지 않고 다른 두 수조에는 한국 황토와 대 조 군인 일본 점토를 각각 l, 000mg/Z로 맞춰 희석 했고 수조 바닥에는 76mm X 26mm 두께 15mm의 슬라이드 글라스들을 여러 개 깔았다.
  • 본 논문은 황토살포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는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다량 살포된 황토가 해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 있다고 판단하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연구하기 위하여 황토의 기본적인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실험실에서 바다의 환경을 모사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황토가 수년간에 걸쳐 살포된 지역에 대한 수중 탐사를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임의의 해저에 대한 탐사 형태로 진행되어 해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인 수치로 증명하는 데는 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정성적인 연구와 정량적인 연구를 병행하였다.
  • 그러나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황토l, 000mg/Z 의 적은 농도에도 84% 이상의 빛을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세한 황토입자는 저서 생물의 호흡기나 신진대사를 방해할 수 있고, 다년간 쌓인 황토에 의해 저서 생물이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이 파괴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기존에 황토가 생태계에 영향이 없다는 연구결과에 대하여 실제로 현장에서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잠수부를 통해서 현장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장 탐사연구에 의하면 장기간 황토가 살포된 지역을 조사한 결과 황토가 1〜30cm가량 쌓여 있었으며 .
  • 황토살포에 의한 해수의 pH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자연 상태의 pH가 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김학균, 박주석, 김봉안,, 1994, 적조발생기구와 유독성 플랑크톤에 관한 연구, 수진사업보고서, 국립수산진흥원, 117 

  2. Hak, G., S. G. Kim and K. H. A. Lee, 1997, Recent red tides in Korea coastal waters, National Fish. Res. Dev. Ins 

  3. Hak, G. and Kim, 1998, Harmful Algal Blooms in Korean Coastal Waters Focused on Three Fish-Killing Dinoflagellates, Korea-China joint symposium on harmful algal blooms, Edited by the National Fish. Res. Dev. Ins 

  4. 백우현, 정의덕, 1999, 황토의 물리적 특성 및 수용액 중의 중금속 이온의 흡착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8(4) 

  5. 日本水産學會, 1980, 赤潮-發生機構と對策, 水産學シリ-ズ34券, 恒星社厚生閣, pp.12-114 

  6. 日本石灰工業組合, 1994, 石灰による海水域の環境改善, pp.1-3 

  7. 이성오, 배현철, 정경훈, 오치성, 신광희, 2002, 적조제거기술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 125pp 

  8. 赤潮, 發生機構와 對策, 1980, 日本水産シリス 34券, 日本水産學會 發行 

  9. Vernon, L., D. J. Snoeyink, 1980, Water Chemistry, John Wiley & Sons, Inc., pp.264-271 

  10. Shin, H. C., S. M. Yoon and C. H. Koh, 2001, Spatial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faunal Community in Ulsan Bay, Ea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6(3), pp.180-189 

  11. 이삼근, 김학균, 배헌민, 이창규, 김숙양, 김창숙, 임월애, 2002, 한국의 적조예보 및 방제전략, 적조방제기술에 관한 국제심포지엄, 국립수산과학원, pp.66-74 

  12. 이삼근, 김학균, 배헌민, 강영실, 정창수, 이창규, 김숙양, 김창숙, 임월애, 조은섭, 2002, 한국의 적조연구 편람, 국립수산과학원, pp.119-1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