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 상: 영아의 발달 장애를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하기 위하여는 발달 장애의 가능성이 있는 영아뿐 아니라 모든 영아의 정기 검진에서 발달 선별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발달 선별에 사용할 수 있고 결과를 점수화 할 수 있는 새로운 발달 선별 검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개월에서 4세의 아동에 사용할 수 있는 이화 영아 발달 선별 검사를 개발하고 이를 베일리 영아 발달 검사를 기본검사로 하여 동시에 104명의 영아에 시행하였다. 104명 중 건강한 아동은 94명, 발달 지연을 주소로 내원한 아동은 10명이였다. 이화 발달 선별 검사의 가상 합격선을 80, 85, 90점으로 하여 각각의 점수에서 민감도와 특이도, 예측가를 계산하였다. 결 과 : 이화 영아 발달 선별 검사의 합격선을 90점으로 하는 경우 민감도 83.3%, 특이도 93.5%, 예측가 62.5%로 비교적 안정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 론 : 발달 선별 검사의 결과를 점수화 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발달을 진단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선별하기 위해서 사용한다면 이러한 위험을 피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더 많은 수의 아동을 상대로 검사를 시행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대 상: 영아의 발달 장애를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하기 위하여는 발달 장애의 가능성이 있는 영아뿐 아니라 모든 영아의 정기 검진에서 발달 선별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발달 선별에 사용할 수 있고 결과를 점수화 할 수 있는 새로운 발달 선별 검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개월에서 4세의 아동에 사용할 수 있는 이화 영아 발달 선별 검사를 개발하고 이를 베일리 영아 발달 검사를 기본검사로 하여 동시에 104명의 영아에 시행하였다. 104명 중 건강한 아동은 94명, 발달 지연을 주소로 내원한 아동은 10명이였다. 이화 발달 선별 검사의 가상 합격선을 80, 85, 90점으로 하여 각각의 점수에서 민감도와 특이도, 예측가를 계산하였다. 결 과 : 이화 영아 발달 선별 검사의 합격선을 90점으로 하는 경우 민감도 83.3%, 특이도 93.5%, 예측가 62.5%로 비교적 안정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 론 : 발달 선별 검사의 결과를 점수화 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발달을 진단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선별하기 위해서 사용한다면 이러한 위험을 피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더 많은 수의 아동을 상대로 검사를 시행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Purpose : Early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of considerable importance in the health care of children. Screening of development is aimed at identifying infants who may need more comprehensive evaluations. Methods : A new test, the Ewha Infant Development Screening T...
Purpose : Early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of considerable importance in the health care of children. Screening of development is aimed at identifying infants who may need more comprehensive evaluations. Methods : A new test, the Ewha Infant Development Screening Test(EDST) has been created to screen the development of infants, 0-4 years of age. EDST was constructed so that results can be calculated into developmental ages and developmental quotients. The test consists of three sectors, e.g. language, social-adaptive and motor, and of 158 test items. A total of 104 infants, aged from one month to four years, including healthy infants as well as 10 with chief complaints of developmental delay, who visited the pediatric clinic of Ewha Womans University Dongdaemun Hospital, from June, 25 to November 30, 2001, were given the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as a base test and EDST. Results : The result showed the appropriate cut-off of EDST was 90 with bette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compared to cut-offs of 85 or 80. Conclusion : Further study with a large number of infants in the future is needed to make EDST more reliable and accurate.
Purpose : Early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of considerable importance in the health care of children. Screening of development is aimed at identifying infants who may need more comprehensive evaluations. Methods : A new test, the Ewha Infant Development Screening Test(EDST) has been created to screen the development of infants, 0-4 years of age. EDST was constructed so that results can be calculated into developmental ages and developmental quotients. The test consists of three sectors, e.g. language, social-adaptive and motor, and of 158 test items. A total of 104 infants, aged from one month to four years, including healthy infants as well as 10 with chief complaints of developmental delay, who visited the pediatric clinic of Ewha Womans University Dongdaemun Hospital, from June, 25 to November 30, 2001, were given the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as a base test and EDST. Results : The result showed the appropriate cut-off of EDST was 90 with bette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compared to cut-offs of 85 or 80. Conclusion : Further study with a large number of infants in the future is needed to make EDST more reliable and accurat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비공식적 통로를 통하여 이제까지의 발표된 발달 선별 검사의 불편함과 검사 결과를 점수화하는 방법의 제안을 듣고 새로운 검사의 개발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저자는 비록 선별 검사이지만 점수화 할 수 있는 검사를 만들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는 소아과 의사가 특별한 훈련과정을 거치지 않고 비교적 수월하게 짧은 시간내에 검사할 수 있고 또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고 결과를 점수화 할 수 있는 영유아 발달 선별 검사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검사의 개발 후 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검정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가장 적절한 합격점수를 계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는 소아과 의사가 특별한 훈련과정을 거치지 않고 비교적 수월하게 짧은 시간내에 검사할 수 있고 또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고 결과를 점수화 할 수 있는 영유아 발달 선별 검사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검사의 개발 후 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검정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가장 적절한 합격점수를 계산하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건강한 아동 중 2명은 각각 재태기간 32주와 28주의 조산아로 신생아기에 별 다른 문제가 없는 건강한 조산아였다. 지연을 주소로 내원한 아동은 과거력, 가족력, 신경학적 검사를 포함한 이학적 검사, 그 외에 언어발달 검사 및 필요한 검사를 실시하여 진단하였다. 진단의 기준은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IV(DSM-IV)에 의거하였다23).
이미 발표한 육아 상담시의 영아 발달 선별 검사21)와 서울 영유아 발달 선별 검사22) 중의 일부 검사 항목을 개선하고 그 외에 상당수의 항목은 다시 만들어 삽입하였다. 파이럿검사를 하여 각 항목의 대체적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검사 항목은 언어, 사회성-적응, 운동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언어 영역에 51항목, 사회성-적응 영역에 48항목, 운동 영역에 59항목으로 총 158항목으로 구성되었다.
파이럿검사를 하여 각 항목의 대체적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검사 항목은 언어, 사회성-적응, 운동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언어 영역에 51항목, 사회성-적응 영역에 48항목, 운동 영역에 59항목으로 총 158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이화 영아 발달 선별 검사를 이용하여 발달을 검사하는 경우 가장 적절한 합격점을 알아내기 위하여 베일리 영아 검사의 점수 84점을 기준점수로 하고 이화영아 발달 선별 검사의 점수를 인위적으로 90점과 그 이상, 85점과 그 이상, 80점과 그 이상의 3가지 합격선(cut-off)으로 하여 각 점수에서의 민감도(sensitivity), 특이도(specificity), 예측가(predictive value)를 계산하였다(Table 2). Table 2에 따르면 합격점수를 90점으로 하였을 때에는 민감도 83.
대상 데이터
2001년 6월 2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약 5개월 동안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동대문병원 소아과 외래에 내원한 월령 1개월에서 48개월의 소아 중 급·만성질환이 없고 약물을 복용하고 있지 않은 건강한 아동 94명과 언어지연 및 발달지연을 주소로 내원 하여 진단 받은 아동 10명, 총 1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Table 1). 건강한 아동 중 2명은 각각 재태기간 32주와 28주의 조산아로 신생아기에 별 다른 문제가 없는 건강한 조산아였다.
2001년 6월 2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약 5개월 동안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동대문병원 소아과 외래에 내원한 월령 1개월에서 48개월의 소아 중 급·만성질환이 없고 약물을 복용하고 있지 않은 건강한 아동 94명과 언어지연 및 발달지연을 주소로 내원 하여 진단 받은 아동 10명, 총 1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Table 1). 건강한 아동 중 2명은 각각 재태기간 32주와 28주의 조산아로 신생아기에 별 다른 문제가 없는 건강한 조산아였다. 지연을 주소로 내원한 아동은 과거력, 가족력, 신경학적 검사를 포함한 이학적 검사, 그 외에 언어발달 검사 및 필요한 검사를 실시하여 진단하였다.
언어 지연과 발달 지연을 주소로 내원한 10명은 자폐증 4명, 정신 지체 4명, 언어 발달 지연 2명 등이었다. 검사를 하기 전 아동을 동반한 부모에게 연구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하고 동의를 얻었다.
이화 영아 발달 선별 검사는 훈련받은 숙련된 연구원 1인이 시행하였다.
이론/모형
지연을 주소로 내원한 아동은 과거력, 가족력, 신경학적 검사를 포함한 이학적 검사, 그 외에 언어발달 검사 및 필요한 검사를 실시하여 진단하였다. 진단의 기준은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IV(DSM-IV)에 의거하였다23).
모든 대상 아동에게 기본 검사로 베일리 영아 발달 검사(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를24) 실시하였다. 베일리 영아 발달 검사는 심리학 전공의 대학원생 2명이 시행하였고 아직 우리나라 아동에 표준화되지 않았으므로 미국의 1 표준편차 84점과 그 이상을 기준점수로 택하였다.
성능/효과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이화 영아 발달 선별 검사의 합격선은 90점이 가장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예측치는 62.5%로 본 검사상 불합격한 아동 중 발달 장애 아동의 비율이 62.5%로 이상치 70% 보다 약간 떨어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후속연구
카우프만검사(K-ABC)33), 뮌헨 영아 발달 검사34), 사회 성숙도 검사35) 등이 있으나, 민감도, 특이성 등에 대한 객관적 검증이 부족한 상태이며 베일리 영아 발달 검사도 아직 한국 영아에 정식으로 표준화되지는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베일리 영아 발달 검사를 기본 검사로 사용하였으나 한국 영아에 표준화된 결과가 없어서 미국의 표준 편차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고 이는 이화 영아 발달 선별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 검정에 정확도를 낮추는 약점이 될 수 있다. 앞으로 베일리 영아 발달 검사의 한국 영아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고 또한 다른 영아 발달 검사의 개발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베일리 영아 발달 검사를 기본 검사로 사용하였으나 한국 영아에 표준화된 결과가 없어서 미국의 표준 편차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고 이는 이화 영아 발달 선별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 검정에 정확도를 낮추는 약점이 될 수 있다. 앞으로 베일리 영아 발달 검사의 한국 영아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고 또한 다른 영아 발달 검사의 개발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앞으로의 과제에 대하여서는 이화 영아 발달 선별검사를 실제 사용하면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