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공성 탄소전극의 전위에 짜른 EDLC(e)ectric double-layer capacitor)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복소캐패시턴스분석(complex capacitance analysis)을 수행하였다. 하나의 원통형 기공에 대해 복소캐패시턴스를 이론적으로 유도하였고, 기공의 분포를 고려하여 다공성 전극에 대하여서도 계산하였다. 복소캐패시턴스의 허수부를 주파수에 대해 도시하면 피크 형태의 곡선이 얻어지는데, 이때 피크의 면적은 캐패시턴스 값의 크기와, 피크의 위치는 다공성전극의 전기화학 파라매터와 기공구조에 의해 결정되는 $\alpha_0$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이용하면, 동일한 기공구조를 갖는 전극에 대해, 전위에 따른 캐패시턴스와 기공 내 이온전도도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메조포러스 탄소전극에 대하여 전위를 변화시키며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를 측정하고 이를 복소캐패시턴스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피크 면적으로부터 구한 전위에 따른 캐패시턴스는 0.3V부근에서 최대값을 가졌는데, 이는 cyclic voltammetry 실험결과와도 일치하였다. 한편, 피크 위치로부터 구한 기공 내 이온전도도는 0.2V에서 최대 값을 가지고 전위가 증가할 수록 서서히 감소하였다. 이를 탄소 표면전하의 증가로 인해 이온/표면의 전기적 작용력이 커졌기 때문으로 해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mplex capacitance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the potential-dependent EDLC characteristics of porous carbon electrodes. The imaginary capacitance profiles $(C_{im}\;vs.\;log\lf)$ were theoretically derived for a cylindrical pore and further extended to multiple pore s...

주제어

참고문헌 (22)

  1. J.-P. Randin and E. Yeager, J. Etectmanat. Chem., 36, 257 (1972) 

  2. J.-P. Randin and E. Yeager, J. Etectroanat. Chem., 58, 313 (1975) 

  3. K. Kinoshita, 'Carbon: Electrochem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John Wiley & Sons, New York (1988) 

  4. B.E. Conway, 'Electrochemical Supercapacitors: Scientific Fundamentals and Technological Applications', p. 528, KluwerAcademic / Plenum Publishers, New York (1999) 

  5. K. Xu, S.P. Ding, and T.R. Jow, J. Etectrochem. Soc., 146, 4172(1999) 

  6. J.H. Jang and S.M. Oh, 7. Etectrochem. Soc., submitted (2003) 

  7. R. de Levie, 'Advances in Electrochemistry and Electrochemical Engineering', Vol. VI, P. Delahay, Editor, P. 329, John Wiley & Sons, New York (1967) 

  8. H. Keiser, K.D. Beccu, and M.A. Gutjahr, Etectmchim. Acta, 21,539 (1976) 

  9. R. Kotz and M. Carlen, Etectrochim. Acta, 45, 2483 (2000) 

  10. B.E. Conway and W.G. Pell, J. Power Sources, 105, 169 (2002) 

  11. C.-H. Kim, S.-I. Pyun, and H.-C. Shin, J. Etectmchem. Soc., 149,A93 (2002) 

  12. Z. Kemer and T. Pajkossy, Etectmchim. Acta, 46, 207 (2000) 

  13. J. Lee, S. Yoon, T. Hyeon, S.M. Oh, and K.B. Kim, Chem.Commun., 21, 2177 (1999) 

  14. S. Yoon, J. Lee, T. Hyeon, and S.M. Oh, J. EIectivchem. Soc., 147,2507 (2000) 

  15. H.-K. Song, H.-Y. Hwang, K.-H. Lee, and L.H. Dao, Electrochim. Acta, 45, 2241 (2000) 

  16. H.-K. Song, Y.-H. Jung, K.-H. Lee, and L.H. Dao, Electmchim.Acta, 44, 3513 (1999) 

  17. K. Kinoshita, 'Carbon: Electrochem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P. 299, John Wiley & Sons, New York (1988) 

  18. M.G. Sullivan, R. Kotz, and O. Haas, J. EIectrvchem. Soc., 147, 308(2000) 

  19. B.E. Conway, W.G. Pell, and T.-C. Liu, J. Power Sources, 65, 53 (1997) 

  20. J. Koresh and A. SoSer, J. Etectmchem. Soc., 124, 1379 (1977) 

  21. W.Y. Lo, K.Y. Chan, and K.L. Mok, J. Phys.: Condens. Matter, 6,A145 (1994) 

  22. W.Y. Lo, K.Y. Chan, M. Lee, and K.L. Mok, J. EIectroanaI. Chem.,450, 265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