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tarter 및 멸치액젓 첨가가 김치양념 및 겉절이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arter and Salt-Fermented Anchovy Extracts on the Quality of Kimchi Sauce and Geotjeori Kimchi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18 no.2, 2003년, pp.96 - 104  

최택권 (경희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소희 (경희대학교 식품공학과) ,  유진현 (경기대학교 외식조리관리학과) ,  임호수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  황성연 (한경대학교 식품가공과) ,  조재선 (경희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념에 Leu. mesenteroides, Lac. plantarum의 젖산균과 멸치액젓 첨가가 김치 양념의 대장균군 제어, 숙성촉진여부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Leu. mesenteroides과 젓갈을 첨가한 경우 초기 숙성이 촉진되나 후기 산패는 완만하였으며 Lac. plantarum의 첨가시에는 초기 숙성에는 큰 차이가 없고 후기 산패가 현저하게 진행되었다. 대장균군은 산도 0.80% 이상에서 사별되었는데 Leu. mesenteroides의 경우가 숙성이 촉진되어 보다 신속히 사멸시켰다.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초기에 starter 첨가구는 $10^6\;CFU/mL$ 정도인데 반해서 starter를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에서 총균수는 $10^6\;CFU/mL$, 젖산균수가 $10^4\;CFU/mL$ 이었고 숙성 후에는 첨가군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하지만 대체적으로 스타터의 첨가가 숙성 및 대장균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경향으로 동일하게 나왔다. 관능적 특성에서는 Leu. mesenteroides 첨가구가 Lac. plantarum의 경우보다 우수하였다. 한편, 시판 겉절이 김치는 산도가 $0.09{\sim}0.18%$, $pH\;5.46{\sim}5.89$, 총균수 $2.2{\times}10^6{\sim}3.1{\times}10^7\;CFU/ml$, 젖산균수 $2.1{\times}10^4{\sim}6.6{\times}10^5\;CFU/ml$, 대장균군수 $1.8{\times}10^4{\sim}7.1{\times}10^5\;CFU/ml$, 염분 $1.89%{\sim}2.51%$으로 스타터 첨가 겉절이에 비해 pH와 염도를 제외한 품질 특성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salt fermented anchovy extracts on Kimchi sauce. The sauce was fermented more rapidly by addition of Leu. mesenteroids or salt fermented anchovy extracts on the early fermentation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숙성된 김치 양념을 김치 발효 시 첨가한다면 공장김치의 제조공정 단축과 가정의 전통김치 숙성기간 단축 및 김치 품질의 균일화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김치 제조 시에 스타터를 첨가하는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스타터 및 멸치액젓을 김치 양념에 직접 첨가하여 숙성되는 동안의 품질 변화를 살펴보고 이 양념을 사용한 겉절이 김치와 일반 음식점의 겉절이 김치의 성상을 비교 조사하였다.
  • 한편 스타터로서 젖산균를 사용한 사례 외에 김치의 양념에 스타터와 젖산균의 영양원이 될 수 있는 성분을 김치 양념 발효시 첨가된 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 없으므로 김치상품의 다양화 측면에서 양념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젖산균을 김치의 starter로 사용한 보고와 같은 이 점을 얻기 위해 김치 양념 발효 시 젖산균의 영양원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 멸치액젓을 첨가하였다. 숙성된 김치 양념을 김치 발효 시 첨가한다면 공장김치의 제조공정 단축과 가정의 전통김치 숙성기간 단축 및 김치 품질의 균일화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Han HU, Lim CR and Park HK. Determination of microbial community as an indicator of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Sci Technol 22(5): 26-32.1990 

  2. Lee SH and Kim SD. Effect of starter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Nutrition 17(4): 342-347,1988 

  3. Kim HJ, Lee CS and Kim CY. Identification of yeasts isolated from Kimchi for Kimchi starter. Korean J Microbiol BiotechnoI 24(2): 430-438, 1996 

  4. Mheen TI and Kwon TW.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I 16(2): 443,1984 

  5. Kim TW. Cultural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effects on Kimchi fermentation. Kyung-Hee University masters degree thesis. 1998 

  6. Kim KO and Kim WH. Changes in properties of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kinds and levels of salted and fermented seafood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I 26(4): 324-330, 1994 

  7. Lee JM and Lee HR. Standardization for the preparation of traditional Korean whole cabbage Kimchi with salted shrimp. Korean J Dietary culture 9(1): 79-85, 1994 

  8. Lee HO, Lee Hj and WOO SJ. Effect of cooked glutinous rice flour and soused shrimp on the changes of free amino acid, total vitamin C and ascorbic acid contents during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I 10(2): 225-231, 1994 

  9. Park GS. Effect of salt and temperature on the Kakdugi. Kyunghee University masters degree thesis. 1996 

  10. Ha DM. Science of Kimchi. Preceeding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 p. 47,1994 

  11. Choi SY. Storage ventilation method of Kimchi. p.67,1985 

  12. Chung CH, Kim YS, Yoo YJ and Kyung KH. Presence and control of coliform bacteria in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I 29(1): 999-1005, 1997 

  13. Lee SH and Kim SD. Effect of starter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Nutrition 17(2): 342-347, 1988 

  14. Lee SH and No MJ. Viability in artificial gastric and bile juic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I): 617-622,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