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절임배추 및 김치 양념의 저장기간 중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ed Kimchi cabbage and kimchi paste during sto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3 no.4, 2016년, pp.459 - 470  

송혜연 (세계김치연구소) ,  천선화 (세계김치연구소) ,  유승란 (세계김치연구소) ,  정영배 (세계김치연구소) ,  서혜영 (세계김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절임배추와 양념으로 구성된 제품에 대한 품질 특성 정보를 제고하고, 버무린 형태로 저장된 김치와 절임배추와 양념을 분리 저장한 후 버무린 김치의 품질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4^{\circ}C$에서 저장하면서 1주 간격으로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절임배추의 산도 및 일반세균수 변화 결과, 염수 침지에 따른 절임배추의 품질유지 효과가 나타났으며, 외관 및 관능적 품질 특성 결과를 토대로 염수 침지하지 않은 절임배추의 저장한계는 1주, 염수침지한 절임배추의 저장한계는 2주 이내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염수량이 많을수록 품질 유지에 더욱 효과적이었으며 관능적 특성에서도 다소 높은 점수를 받았다. 양념은 저장 8주 동안 산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0일차에 제조하여 $4^{\circ}C$에서 저장한 김치와 $4^{\circ}C$에서 각각 저장된 절임배추와 양념을 이용하여 매주 제조한 김치의 품질 특성을 분석한 결과, 0일차에 제조하여 저장한 김치보다 저장된 절임배추와 양념으로 매주 제조한 김치의 pH가 높고, 산도가 낮아 발효 지연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주차 저장된 절임배추와 양념으로 제조한 김치의 경우 신냄새, 신맛 등의 지표에서 김치형태로 저장된 것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도 분리 저장 후 제조한 김치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절임배추와 양념으로 제품화할 경우 절임배추는 품질유지를 위해 염수에 침지하여 포장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며, 분리 저장된 절임배추와 김치 양념을 혼합하여 김치로 제조하여도 처음부터 김치 형태로 제조하여 저장한 것과 비교하여 발효가 지연되면서 관능적으로도 문제가 없어 김치의 가식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otential use for salted Kimchi cabbage and kimchi paste by analyz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 of kimchi prepared with stored them. Salted Kimchi cabbages were packed with the 2% brine and kimchi paste were stored at $4^{\circ}C$ for 8 weeks,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소비가 늘어나고 있는 절임배추 및 김치 양념으로 구성된 세트 상품에 대한 기본적인 품질 특성 정보를 제공하고자 각각의 저장 중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리 저장된 절임배추와 김치 양념을 혼합하여 김치로 제조한 후 처음부터 김치 형태로 제조하여 저장한 김치와 품질 특성을 비교하여 분리하여 저장한 경우 발효 지연 효과가 있는지 가능성을 검토하여 소비자가 직접 제조하는(DIY, do it yourself) 김치세트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소비가 늘어나고 있는 절임배추 및 김치 양념으로 구성된 세트 상품에 대한 기본적인 품질 특성 정보를 제공하고자 각각의 저장 중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리 저장된 절임배추와 김치 양념을 혼합하여 김치로 제조한 후 처음부터 김치 형태로 제조하여 저장한 김치와 품질 특성을 비교하여 분리하여 저장한 경우 발효 지연 효과가 있는지 가능성을 검토하여 소비자가 직접 제조하는(DIY, do it yourself) 김치세트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란 무엇인가? 김치는 배추, 무, 오이 등과 같은 채소를 절인 후 고춧가루, 마늘, 생강, 젓갈류 등 다양한 양념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이며(1), 절임채소의 종류에 따라서 김치의 종류도 다양하며 그 중 배추김치가 가장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김치뿐만 아니라 김치 제조용 절임배추를 포장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김치 제조 시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절임배추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김치를 보다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2).
절임배추 제조 과정은? 배추를 소금에 절이는 과정은 김치를 제조하는 시작단계로 배추의 선별, 이절, 절임, 세척, 탈수 등 복잡한 과정을 통해 절임배추가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절임배추는 절임과정에 의해 젖산균 등 미생물의 생육이 용이해지는 상태로 저장기간이 일반적으로 1주 이내로 비교적 짧기 때문에 포장방법(5-7), 세척방법(8), 저장방법(9)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절임배추의 저장기간 연장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고춧가루, 마늘, 생강, 젓갈 등 김치 양념이 김치에 미치는 영향은? 김치 양념은 지역, 종류, 계절 등에 따라 다양하지만 주로 고춧가루, 마늘, 생강, 젓갈 등을 첨가하여 제조된다. 이렇게 첨가된 재료들은 살균작용을 나타내어 김치가 지나치게 과숙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식 기간을 늘려주며, 젓갈은 김치의 감칠맛을 내는데 도움을 준다(11-13). 김치 양념에 관한 연구는 부재료가 배추김치 숙성에 미치는 영향(14-16),starter 및 멸치액젓 첨가가 김치 양념 및 겉절이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17) 등이 진행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ambers IV E, Lee JH, Chun SS, E. Milleri AE (2012) Development of a lexicon for commercially available cabbage (Baechu) kimchi. J Sens Stud, 27, 511-518 

  2. Kim JM, Kim IS, Yang HC (1987) Storage of salted Chinese cabbages for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16, 75-82 

  3. Ku KH, Jeong MC, Chung SK (2013) Industrialization of salted Chinese cabbages and fresh-cut Chinese cabbage. Food Science and Industry, 46, 2-11 

  4. Park YH, Kim YS, Kim SB (2009) Consumer preference for salted cabbage in Gyeonggi province. Food Science and Industry, 4, 28-34 

  5. Kim YW, Jeong JK, Lee SM, Kang SA, Lee DS, Kim SH, Park KY (2009) Effect of permeability-controlled polyethylene film on extension of shelf-life of brined Baechu cabb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767-1772 

  6. Kim YW, Jung JK, Cho YJ, Lee SJ, Kim SH, Park KY, Kang SA (2009) Quality changes in brined Baechu cabbage using different types of polyethylene film, and salt conten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6, 605-611 

  7. Han ES, Seok MS, Park JH (1998) Quality changes of salted Baechu with packaging methods during long term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307-1311 

  8. Park SS, Sung JM, Jeong JW, Park KJ, Lim JH (2013) Quality changes of salted chinese cabbages with electrolyzed water washing and a low storage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615-620 

  9. Koh HY, Lee H, Yang HC (1993) Quality changes of salted Chinese cabbage and kimchi during freez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Nutr, 22, 62-67 

  10. Ku KH (2015) Development of storage and on-site salted cabbage production technology for stabilization of supply chain of Kimchi cabbage. Final Report of MAFRA, MAFRA 11-15430000-001177-01 

  11. Park SH, Lee JH (2006) Consumer acceptanc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kinds of subsidiary ingredients. Korean J Food Cook Sci, 22, 370-378 

  12. Park WS, Lee IS, Han YS, Koo YJ (1994) Kimchi preparation with brined Chinese cabbage and seasoning mixture stored separately.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31-238 

  13. Lee IS, Kim HY, Kim EJ (2004) A survey on the commercial poggi kimchi and consumer acceptance test prepared in the various region. J Korean Soc Food Cult, 19, 460-467 

  14. No HK, Lee SH, Kim SD (1995) Effects of ingredients on fermenta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642-650 

  15. Ku KH, Sunwoo JY, Park WS (2005) Effects of ingredients on the its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267-276 

  16. Nha YA, Park JN (2003) Effect of dried powders of pine needle, pine pollen, green tea and horseradish on preservation of kimchi-yangnyum.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9, 179-190 

  17. Choi TK, Park SH, Yoo JH, Lim HS, Jo JS, Hwang SY (2003) Effect of starter and salt-fermented anchovy extracts on the quality of kimchi sauce and Geotjeori kimchi. J Korean Soc Food Cult, 18, 96-104 

  18. Kim SD (1997) Preparation of kimchi and salting. Korean J Food Preserv, 4, 215-225 

  19. Choi EJ, Jeong MC, Ku KH (2015) Effect of seasonal cabbage cultivar (Brassica rapa L. ssp. Pekinesi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ed-Kimchi cabbages during storage period. Korean J Food Preserv, 22, 303-313 

  20. Han ES (1994) Quality changes of salted Chinese cabbage by packaging method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83-287 

  21. Park WP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ed Chinese cabbage treated with electrolyzed-acid water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65-367 

  22. Hwang ES (2010) Changes in myrosinase activity and total glucosinolate levels in Korean Chinese cabbages by salting conditions. Korean J Food Cook Sci, 26, 104-109 

  23. Lee MK, Yang HJ, Woo HN, Rhee YK, Moon SW (2011) Changes in the texture and salt content of Chinese cabbage using different salt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184-1188 

  24. Kim SD, Park HD, Kim MK (1997)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 of cell wall polysaccharides of Brassica campestris var. pekinensis (Baechu). Korean J Food Preserv, 4, 301-309 

  25. Lee CH, Hwang IJ, Kim JK (1988) Macro-and microstructure of Chinese cabbage leaves and their texture measurem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742-748 

  26. Yun JY, Jeong JK, Moon SH, Park KY (2014) Effects of brined Baechu cabbage and seasoning on fermentation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081-1087 

  27. Jeong JK, Park SE, Lee SM, Choi HS, Kim SH, Park KY (2011) Quality changes of brined Baechu cabbage prepared with low temperature stored Baechu cabbag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75-479 

  28. Kim JH, Park JG, Lee JW, Kim WG, Chung YJ, Byun MW (2008) The combined effects of $N_2$ -packaging, heating and gamma irradiation on the shelf-stability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Food Control, 19, 56-61 

  29. Park JG, Kim JH, Park JN, Kim YD, Kim WG, Lee JW, Hwang HJ, Byun MW (2008) The effect of irradiation temperature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s, for its shelf stability. Radiat Phys Chem, 77, 497-502 

  30. Lee JW, Cha DS, Hwang KT, Park HJ (2003) Effects of CO2 absorbent and high-pressure treatment on the shelf-life of packaged kimchi products. Int J Food Sci Tech, 38, 519-524 

  31. Choi YM, Whang JH, Kim JM, Suh HJ (2006) The effect of oyster shell powder on the extension of the shelf-life of kimchi. Food Control, 17, 695-6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