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SPME법에 의한 산초나무와 초피나무 잎과 열매의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Leaves and Fruit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et Zucc. & Zanthoxylum piperitum DC. by Headspace SPME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1 no.1, 2003년, pp.40 - 45  

조민구 (동부한농화학(주) 동부기술원 식물생명공학팀) ,  김휘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채영암 (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초나무는 잎에서 총 52개, 열매에서 48개 향기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4개 지역에서 잎의 주요 공통 성분은 (E)-2-hexenal, ${\alpha}-pinene$, (Z)-ocimene+limonene, estragole, germacrene-d 이였으며, 열매에서는 estragole이였다. Hexanal, (Z)-3-hexenol, (E)-2-hexenal, n-hexanol 성분은 잎에서만 검출되었고, undecanone 성분은 열매에서만 나타났다. 지역간 큰 차이를 보인 잎의 정유성분은 hexanal, azulene이었고, 열매에서는 (Z)-ocimene+limonene이였다. 초피나무 잎에서 총 30개, 열매에서 27개 향기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잎의 주요 공통 성분은 백양사와 내장사지역의 성분이 ${\alpha}-pinene,\;{\beta}-phellandrene$, 1,8-cineole, citronellal이였고, 통도사 지역은 (Z)-3-hexenol, (E)-2-hexenal, ${\alpha}-pinene$, myrcene이 주요성분 이였다. 백양사와 내장사에서 채취한 열매의 공통 성분은 myrcene, (Z)-ocimene+limonene, ${\beta}-phellandrene$이였고, 통도사에서는 ${\beta}-phellandrene$, citronellal, geranyl acetate이 주성분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olatile components in the leaves and fruits of Z. schinjfolium and Z. piperitum were analyzed by Headspace SPME(Solid phase Microextraction). Fifty two and 48 components in the leaves and fruits, repectively, were identified in Z. schinifolium. (E)-2-hexenal, ${\alpha}-pinene$, (Z)-ocim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그러므로 산초나무와 초피나무의 부위별 지역별 향기성분을 분석한다면 생체로 가공 이용되는 이들을 포함한 다른 향신료의 다양화와 차별화 상품을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생체 시료에서도 향기성분을 포집할 수 있는 Headspace SPME법을 이용하여 산초나무와 초피나무의 잎과 열매에서 향기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 기존의 보고와는 달리 5월에 초피나무 열매를 채집할 수 있었던 이유는 지역별 환경 변화에 따른 개체별 변이가 일어난 것으로 보여졌다. 수집된 산초와 초피나무는 서울대학교 부속 수목원 표본실에서 동정 및 표본 제작하였다.
  • Ionization mode는 70eV Electron Impact 였으며, Ion source 및 Quadrapole 온도는 각각 230℃, 106℃였다. GC/MSD로 분리되어 검출된 각 정유 성분의 질량스펙트럼을 표준품 및 Wilely 275, NIST 75 Library와 DB-5 column의 Retention index를 이용해 동정하였다(Robert, 1995).

대상 데이터

  • 산초나무는 경기도 검단산에서 2개체, 강원도 영월군 백덕산에서 2개체, 전남 순천 조계산 선암사에서 4개체, 경남 양산 통도사에서 10개체를 열매가 익어가는 9월 중·하순에 수집, 분석하였다. 초피나무는 전북 장성군 내장산 국립공원내 내장사에서 3개체, 백양사에서 1개체를 5월 중순경, 통도사에서 1개체를 9월 말경에 수집, 분석하였다.
  • 산초나무는 경기도 검단산에서 2개체, 강원도 영월군 백덕산에서 2개체, 전남 순천 조계산 선암사에서 4개체, 경남 양산 통도사에서 10개체를 열매가 익어가는 9월 중·하순에 수집, 분석하였다. 초피나무는 전북 장성군 내장산 국립공원내 내장사에서 3개체, 백양사에서 1개체를 5월 중순경, 통도사에서 1개체를 9월 말경에 수집, 분석하였다. 기존의 보고와는 달리 5월에 초피나무 열매를 채집할 수 있었던 이유는 지역별 환경 변화에 따른 개체별 변이가 일어난 것으로 보여졌다.
  • 2001). 분석기기는 GC는 FID가 부착된 HP6890을 이용하였으며, columne HP-5MS(30m× 0.25mm× 0.25μm)를 이용하였고, oven의 온도프로그램은 70 ℃에서 3분간 유지하고 분당 5℃씩 180℃까지 승온시킨후 다시 분당 10℃씩 250℃까지 승온시킨후 3분간 머물렸다. Injector와 detector 온도는 각각 250℃, 270℃ 이며, 운반기체는 He을 사용하였고, 유속은 1.
  • 25μm)를 이용하였고, oven의 온도프로그램은 70 ℃에서 3분간 유지하고 분당 5℃씩 180℃까지 승온시킨후 다시 분당 10℃씩 250℃까지 승온시킨후 3분간 머물렸다. Injector와 detector 온도는 각각 250℃, 270℃ 이며, 운반기체는 He을 사용하였고, 유속은 1.0ml/min이 였고, Split ration는 20:1이였다. 정유성분의 동정을 위해서 GC/MSD는 HP6890/HP5973을 이용하였으며, columne DB-5MS(60m×0.
  • 0ml/min이 였고, Split ration는 20:1이였다. 정유성분의 동정을 위해서 GC/MSD는 HP6890/HP5973을 이용하였으며, columne DB-5MS(60m×0.25mm×0.25μm), oven의 온도프그램 및 Injector 온도, Split rations GC와 동일하며, 유속은 0.8ml/min이였다. Ionization mode는 70eV Electron Impact 였으며, Ion source 및 Quadrapole 온도는 각각 230℃, 106℃였다.

데이터처리

  • Headspace SPME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 산초나무 잎에서 부위별로 지역별 차이를 보이는 성분을 찾기 위해 평균 1% 이상되는 성분을 선별하였다. 5% 유의수준에서 유효성이 인정되는 정유성분을 선별하고자 SAS(SAS Institute 1999)의 PROC GLM(General Linear Models)을 이용하였다.

이론/모형

  • 수집 동정된 산초, 초피나무의 잎과 열매부위를 냉장보관 하였다가 개체별로 l-2g 취한 뒤 이를 22mL Headspace vial 병에 딤아 silicone septa 및 알루미늄 캡으로 밀봉한 다음 5종류의 GC용 SPME fiber 중에서 선별과정을 거친 후 선별된 PDMS/DVB(Polydimethylsiloxane/E)ivinylbenzene) fiber를 이용하여 Headspace SPME(Solid Phase Microextraction)법으로 분석하였다(Xiaogen & Terry 1994; Cho et al. 2001). 분석기기는 GC는 FID가 부착된 HP6890을 이용하였으며, columne HP-5MS(30m×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ae, YA., Cho MG, Song JS (2001) Identification of chemotypes in traditional aromatic plant resources Z. schinifolium Siebold et Zucc. and Z. piperitum DC. Korean J. Breed. 33(2): 126-132 

  2. Cho MG, Chae YA, Song JS (2001) Volatile components analysis using SPME in traditional aromatic plant resources, 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et Zucc. and Z. piperitum DC. Korean J. Medicinal Crop Sci. 9(3): 192-197 

  3. Hay RK, Waterman PG (1993) Volatile oil crops. Longman Scientific & Technical. U. K. P. 63-92 

  4. Hiroshi K, Akira K, Kikue K, Akio K (1997) Aroma compounds in the leaves of Japanese pepper (Z. piperitum DC.) and their formation from glycosides. Biosci. Biotech. Biochem 61(3): 491-494 

  5. Jung HS (1987) Studies on the Zanthoxylum piperiium DC. 1. Pungent principles and essential oil composition. J. Korean Soc. Food Nutr. 16(2): 123-127 

  6. Kim CH, Yun SU (1996) Coloured resources woody plants. Academy publishing company. p. 337 

  7. Kim JH, Lee KS, Oh WT, Kim KR (1989) Flavor components of the fruit peel and leaf oil from Zanthoxylum piperitum DC. Korean J. Food Sci. Technol. 21(4): 562-568 

  8. Ko YS, Han HJ (1996) Chemical constituents of Korean Chopi (Zanthoxylum piperitum) and Sancho (Zanthoxylum schinjfolium). Korean J. Food Sci. Technol. 28(1):19-27 

  9. Lee SU (1978) History of foods in life before Korea dynasty. Hyangmoonsa. Seoul. p, 523 

  10. Robert PA (1995) Identification of essential oil component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scopy. Allured publishing Corp. Illinois, USA. p. 17-43 

  11. Xiaogen Y, Terry P (1994) Solid-phase microextraction for flavor analysis. J. Agric. Food Chem. 42: 1925-1930 

  12. Yu TJ (1970) Food processing and preservation. Moonwoondang, Seoul. P. 21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