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초나무와 초피나무로부터 신기능성 물질 탐색 및 활용방안 연구
Development of new functional substances from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대구가톨릭대학교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6-07
과제시작연도 2005
주관부처 농림부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등록번호 TRKO201400022961
과제고유번호 1380002020
사업명 농림기술개발
DB 구축일자 2014-11-10

초록

○ 연구결과
- 산초나무와 초피나무 부위별 추출물과 분획물을 조제하여 유효생리활성 분획을 확인
- 유효생리활성분획으로부터 생리활성물질로서 17종의 화합물을 분리, 구조 결정
- 산초와 초피나무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항당뇨, 항혈전, 항염증 효능이 in vitro로 검색되었고, in vivo 동물실험에서 산초잎 추출물의 효능이 확인되었으며 1일 유효 안전 섭취수준은 1차 알콜 추출물은 1-2 g, 이차 용매분획물은 0.4-0.5 g으로 산정
- 산초잎 추출물과 초피정유를 0.25-1.00 ppm 함유시킨 꽁치

Abstract

Ⅳ. RESULTS AND APPLICATIONS
Results
1st Sub-project: Functionality and safety of the extracts and isolated compounds from various part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Zanthoxylum piperitum
1.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Z. schinifolium and Z. piperitum
a. Antioxidant a

목차 Contents

  • 제출문 ... 1
  • 요약문 ... 2
  • SUMMARY ... 19
  • CONTENTS ... 31
  • 목차 ... 37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44
  • 1. 기술적 측면 ... 46
  • 2. 경제·산업적 측면 ... 47
  • 3. 사회·문화적 측면 ... 49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50
  •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 52
  • 1절. 동물실험을 통한 생리활성 물질의 효능 및 작용기작 규명 (제1세부과제) ... 52
  • 1. 산초 및 초피나무 추출물의 만성질환 예방 생리활성 및 안전성 조사 ... 52
  • 가. 연구배경 ... 52
  • 나. 연구방법 ... 52
  • 1) 산초 및 초피나무 추출물의 in vitro 및 in vivo 항산화 작용 측정 ... 52
  • 2) In vitro 및 in vivo 항혈전, 항염증 및 항당뇨 활성 측정 ... 53
  • 3) 동물실험 사육 및 식이 실험 (in vivo) ... 53
  • 가) 동물 사육 및 식이 ... 53
  • (1) 1차 동물실험 ... 53
  • (2) 2차 동물실험 ... 53
  • 나) 분석시료의 준비 ... 55
  • 다) 항산화 효소 활성 측정 ... 55
  • 라) Oxidative stress 완화 및 free radical scavenging 작용 ... 55
  • 마) 지질대사 개선 효과 측정 ... 55
  • 바) 해독 및 안전성 지표측정 ... 55
  • 4) 통계처리 ... 56
  • 다. 연구결과 ... 56
  • 1) 산초나무와 초피나무 추출물의 in vitro 생리활성 검색 ... 56
  • 가) 항산화 활성 ... 56
  • 나) 항혈전 활성 :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s (APTT) ... 59
  • 다) 항염증 활성 ... 61
  • 라) 항당뇨 활성 ... 62
  • 2) 동물실험에서의 산초 잎 추출물의 효능 및 안전성 규명 (in vivo) ... 65
  • 가) 항산화 활성 ... 65
  • (1) 간조직과 적혈구의 SOD 및 Catalase 활성 ... 65
  • (2) 간조직의 Catalase 활성 ... 66
  • (3) 간조직의 PON 활성 및 arylesterase 활성 ... 68
  • (4) 간조직과 적혈구 과산화지질 함량 ... 69
  • (5) Lipofuscin 함량 ... 70
  • (6) 카보닐가 ... 70
  • 나) 항혈전 효능 : 혈장 APTT 및 Thrombin times (TT) ... 71
  • 다) 항염증 효능 : 다형핵성 백혈구 5‘-lipoxygenase 활성과 leukotriene B4 ... 72
  • 라) Oxidative stress 완화 및 free radical scavenging 작용 ... 74
  • (1) 간조직 Cytochrome P450 함량 측정 ... 74
  • (2) 간조직 Superoxide radical 함량 측정 ... 74
  • (3) 간조직 Hydrogen peroxide (H2O2) 함량 측정 ... 75
  • (4) 혈장 Paraoxonase 및 arylesterase 활성 측정 ... 76
  • 마) 지질대사 개선 효과 측정 : 2차 동물실험 ... 76
  • (1) 혈청 지질 수준 ... 76
  • (2) 혈청과 간조직의 과산화지질 수준 ... 77
  • 바) 산초 잎 추출물의 해독 및 안전성 지표측정 ... 78
  • (1) 혈청 GOT와 GPT 활성 ... 78
  • (2) 간조직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과 글루타치온 함량 ... 79
  • 2. 산초 및 초피 성분의 어류가공품 보존제로서의 활용 ... 80
  • 가. 연구배경 ... 80
  • 나. 연구방법 ... 81
  • 1) 산초 잎 추출물 및 초피 과피 정유 처리 과메기 제조 ... 81
  • 2) 산화억제 효과 측정 ... 81
  • 3) 아민류 생성 및 관능검사 ... 81
  • 4) 통계처리 ... 81
  • 다. 연구결과 ... 82
  • 1) 과메기 제조 후 외관 보존 ... 82
  • 2) 과메기의 산화억제 효과 ... 83
  • 3) 과메기의 아민 생성 및 관능검사 ... 85
  • 3. 산초추출물의 안전 유효 허용양 산정 ... 87
  • 가. 동물실험 결과에서 산정 ... 87
  • 나. 과메기 제품에 함유된 유효물질의 안전도 ... 89
  • 제2절. 산초나무와 초피나무로부터 생리활성 물질의 분리 및 구조 결정 (제2세부과제) ... 89
  • 1. 연구배경 ... 89
  • 2. 재료 및 방법 ... 91
  • 가. 재료 ... 91
  • 나. 기기 ... 91
  • 다. 시약 ... 91
  • 3. 결과 및 고찰 ... 91
  • 가. 산초시료의 부위별 추출 및 분획과정 ... 91
  • 1) 산초 뿌리 ... 91
  • 2) 산초 줄기 ... 92
  • 3) 산초 잎 ... 92
  • 4) 산초 종자 ... 93
  • 5) 산초 과피 ... 93
  • 나. 초피시료의 부위별 추출 및 분획과정 ... 96
  • 1) 초피 뿌리 ... 96
  • 2) 초피 줄기 ... 97
  • 3) 초피 잎 ... 97
  • 4) 초피 종자 ... 97
  • 5) 초피 과피 ... 98
  • 다. 중국산 초피 과피와 한국산 초피 과피의 비교실험 ... 101
  • 1) 중국산 초피 과피의 추출 및 분획과정 ... 101
  • 2) 한국산 초피 과피의 추출 및 분획과정 ... 101
  • 라. 산초 잎과 초피 잎의 용매별 추출실험 ... 103
  • 마. 초피 과피와 초피 종자의 용매별 추출실험 ... 104
  • 바. 산초, 초피 유래의 치아우식균 (S. mutans), 식중독 및 장내 병원성 미생물(Aeromonas hydrophila, Chryseobacterium joosteii, Bacillus pumilus)에 대한 항균활성 측정을 위한 시료 조제 ... 105
  • 1) 산초 과피 및 초피 과피 methylene chloride 층의 preparative TLC 분획실험 ... 105
  • 가) 산초 과피 methylene chloride 층 ... 105
  • 나) 초피 과피 methylene chloride 층 ... 106
  • 2) 산초 과피와 초피 과피 및 종자의 용매별 추출실험과 수증기증류실험 ... 107
  • 가) 산초 과피 수증기증류 ... 107
  • 나) 초피 과피 수증기증류 ... 107
  • 다) 초피 종자 수증기증류 ... 107
  • 사. 과메기 가공 시 보존제로의 활용을 위한 산초 잎과 초피 과피의 시료조제 ... 109
  • 1) 산초 잎 80 % ethanol extract 조제 ... 109
  • 2) 초피 과피 정유 성분 조제 ... 109
  • 아. 동물실험 및 활성물질 분리를 위한 시료 조제 ... 110
  • 1) 산초 잎의 추출 및 분획 활성 실험 ... 110
  • 2) Flash column chromatography 분획실험 ... 110
  • 가) n-BuOH 분획의 flash column chromatography 실험 ... 110
  • 나) Methylene chloride 분획의 flash column chromatography 실험 ... 112
  • 자. 우수 생리활성 분획으로부터 활성 물질의 분리ㆍ정제 및 구조결정 ... 113
  • 1) 실험 배경 ... 113
  • 2) n-butanol 분획으로부터 활성물질 분리 ... 113
  • 3) Methylene chloride 분획으로부터 활성물질 분리 ... 114
  • 4) 분리된 화합물의 구조 ... 118
  • 5) 분리한 화합물의 물리화학적 및 분광학적 data ... 122
  • 6) 분리한 화합물의 구조 결정 ... 127
  • 제3절. 산초나무와 초피나무로부터 신 기능성 생리활성 물질의 탐색과 안정성연구 및 제품 개발(제3세부과제) ... 138
  • 1. 김치 숙성에 대한 산초와 초피의 영향 ... 138
  • 가. 연구배경 ... 138
  • 나. 연구방법 ... 139
  • 1) 산초 잎과 초피 잎 가루 준비 ... 139
  • 2) 산초 잎과 초피 잎 가루 첨가 김치 제조 ... 139
  • 3) 일반세균수 측정 ... 140
  • 4) 유산균수 측정 ... 140
  • 5) 대장균수 측정 ... 140
  • 6) 공시균주 ... 140
  • 7) 관능검사 ... 140
  • 다. 연구결과 ... 140
  • 1) 김치발효시간에 따른 일반세균, 유산균, 대장균 수의 변화 ... 140
  • 2) 초피 추출물과 산초추출물의 유산균(L. mesenteriodes, L. plantarum) 생육에 대한 영향 조사 결과 ... 143
  • 2. 산초와 초피 유래 항균활성 성분에 관한 연구 ... 146
  • 가. 연구배경 ... 146
  • 나. 연구방법 ... 149
  • 1) 각 부위별 추출물 준비 ... 149
  • 2) 공시균주 및 배지 ... 149
  • 3) 초피 추출물의 Disc 확산법에 의한 항균활성 검정 ... 149
  • 4) 활성 성분의 분석 ... 150
  • 5) 액체 배양법을 이용하여 S. mutants 외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초피 종자와 과피 정유성분의 최소 저해농도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측정 ... 150
  • 6) 열안정성 측정 ... 150
  • 7) 시제품의 Disc 확산법에 의한 S. mutans에 대한 항균활성 검정 ... 150
  • 8) 시제품에 대한 관능검사 ... 151
  • 9) Salmonella typhimurium TA 100, 1538 균주에 대한 초피 종자와 과피 정유 성분의 세포 독성 측정 ... 151
  • 10) 돌연변이 유발성 측정 ... 151
  • 다. 연구결과 ... 151
  • 1) 산초와 초피로부터 항균물질의 탐색과 동정 ... 151
  • 2) 초피의 항균력을 이용한 신기능성 항균 치약으로의 실용화 방안 ... 169
  • 3) 항균 크림 및 화장품 보존료로의 실용화 방안 ... 171
  • 4) 초피나무 유래의 항균활성 물질의 돌연변이 유발성 조사를 통한 안정성 측정 ... 173
  • 3. 산초나무 유래의 Mitochondoria-defendant Apoptosis 유도 물질의 탐색과 그 작용기전 연구 ... 174
  • 가. 연구배경 ... 174
  • 나. 연구방법 ... 176
  • 1) 산초의 획득 ... 176
  • 2) 시약 및 기기 ... 176
  • 3) 실험에 이용한 세포주 및 세포배양 ... 176
  • 4) 유효물질 추출 및 분획 ... 176
  • 5) MTT assay를 통한 viability 조사 ... 176
  • 6) Apoptosis 에 의한 DNA fragmentation 추출 ... 177
  • 7) Flow cytometry 분석 ... 177
  • 8) Cell lysate 조제 ... 177
  • 9) Western blot analysis ... 178
  • 10) 활성 성분 분석 ... 178
  • 다. 실험결과 ... 178
  • 1) 산초나무로 부터 세포독성 분획의 탐색 ... 178
  • 2) 산초 잎 유래의 암세포독성물질의 탐색 ... 179
  • 3) 산초 잎 유래의 암세포독성물질의 작용 기전 ... 180
  • 4) 산초 잎의 methylene chloride 분획 활성 성분의 분석 ... 183
  • 5) 산초 잎의 methylene chloride 분획 중에서 암세포독성물질 탐색 ... 185
  • 4. 산초 (Z. schinifolium)의 세포독성 성분인 auraptene의 인체 백혈병 세포주 Jurkat T 세포에 대한 세포자살 유도 활성 및 그 분자기전 : ER stress-매개 caspase-12 및 caspase-8 활성화 ... 187
  • 가. 연구배경 ... 187
  • 나. 재료 및 방법 ... 189
  • 1) 시약, 항체 및 배지 ... 189
  • 2) Z. schinifolium로부터 세포독성성분의 분리 ... 190
  • 3) Cytotoxicity assay ... 190
  • 4) Apoptotic DNA fragmentation 분석 ... 190
  • 5) Flow cytometry 분석 ... 191
  • 6) DAPI 염색 방법 ... 191
  • 7) Cell lysate 조제 ... 191
  • 8) Western blot analysis ... 191
  • 9) 마이토콘드리아 cytochrome c의 세포질로의 방출 조사 ... 192
  • 다. 실험결과 ... 192
  • 1) 산초 (Z. schinifolium) 잎에 함유된 세포자살 유도물질로서의 auraptene의 확인 ... 192
  • 2) Auraptene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자살에 있어서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c방출 및 이에 의한 caspase 연쇄반응의 활성화 ... 196
  • 3) Auraptene에 의한 세포자살에 있어서 Fas-사망신호를 차단하는 anti-Fas 항체의 영향 ... 200
  • 4) Auraptene에 의한 세포자살에 미치는 pan-caspase inhibitor, z-VAD-fmk 또는 caspase-8 inhibitor, z-IETD-fmk의 영향 ... 201
  • 5) Cytotoxic effect of auraptene on human peripheral T cells ... 204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207
  • 1절. 세부과제별 평가착안점에 입각한 목표달성도 ... 207
  • 2절.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208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209
  • 1절. 활용 계획 ... 209
  • 2절. 본 연구과제 수행으로 발표된 또는 발표예정인 논문 및 특허건 ... 212
  • 3절. 추가연구의 필요성 ... 214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215
  • 1절. 해외과학기술정보 ... 215
  • 제7장 참고문헌 ... 218
  • 끝페이지 ... 233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