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색 보리 종실의 품종별 색소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Pigments Extracted from Grains of Colored Barley 원문보기

한국농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v.46 no.4, 2003년, pp.338 - 343  

주완택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공학부) ,  민경수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식물학부,농업과학기술연구소) ,  박노동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색보리 4품종과 보통보리 4품종 종실의 종피에 함유되어 있는 색소의 특성을 분석하여 해당작물의 신품종 육성시 우수계통 선발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코자 하였다. 유색(검정)쌀보리인 Ab2231을 표준시료로 하여 실험한 결과 에탄올의 농도가 80%일 때 색소추출 효율이 양호하였다. 80% 에탄올에 1.0% 염산을 첨가한 것이 추출효율이 가장 좋았다. 추출시간에 따른 추출효율성을 조사한 결과 1시간 추출이면 충분하였다. 추출된 색소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첨가시키는 산의 적정농도를 알아본 결과 1.0% HCI을 첨가한 농도에서 가장 낮은 색소량 감소율이 나타났다. 각 보리 품종 시료에서 추출한 색소의 흡광스펙트럼을 조사하였던 바, Ab2231의 그것은 535 nm에서 최대흡광파장을 나타내어 안토시아닌계 색소로 판단되었으며, 호계4호의 그것은 안토시아닌계 이외의 색소를 주로 함유하는 것으로 보였다. 한편, 추출된 색소의 특성에 따라 유색보리의 품종은 Ab2231와 모찌무기로 대표되는 쌀보리 그룹과, Lion과 호계4호로 대표되는 겉보리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gments extracted from grains of the colored barley varieties Ab2231, Mozzimugi, Lion, and Hogye 4 were studied. Extraction of the pigments from powder (80 mesh) of the barley grains was most efficient in 80% ethanol containing 1.0% HCI for 1 hr at $60^{\cir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유색보리 4 품종과 보통보리 4품종을 공시하여 이들 종실에 함유된 색소의 특성을 분석하여 해당작물의 신품종 육성시 계통 선발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코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wang, I. K. and Ahn, S. Y. (1975) Studies on the anthocyanins in wild vines (Vitis amurensis Ruprecht). 2.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s in wild vine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18, 188-193 

  2. Kim, K. I., Nam, J. H. and Kwon, T. W. (1973) On the proximate composition, organic acids and anthocyanin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Sci. Technol. 5, 178-182 

  3. Koppen, B. H. and Baxxon, D. S. (1966) The anthocyanin pigments of Barinka grape. Phytochemistry 5, 183-187 

  4. Hrazdina G. (1970) Column chromatograpgic isoladon of the anthocyanidin-3,5-diglucosides from grapes. J. Agric. Food Chem. 18, 243-245 

  5. Oh, S. K., Choi, H. C., Cho, M. Y. and Kim, S. U. (1996) Extraction method of anthocyanin and tannin pigments in colored ric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39, 327-331 

  6. Williams, M. and Hrazdina, G. (1978) High pressure liquidchromatographic separadon of 3-gu1cosides, 3,5-dig1ucosides, 3-(6-0-p-coumary1)g1ucosides and 3-(6-0-p-coumary1g1ucoside)-5-g1ucosides of anthocyanidins. J. Chmmatogro 155, 389-398 

  7. Kim, S. L., Kim, E. H., Son, Y. K. Song, J. C., Hwang, J. J.and Hur, H. S. (1999) IdentiScadon of anthocyamn pigments inblack waxy com kemels. Korean J. Breed 31, 408-415 

  8. Yoon, H. H., Paik, Y. S., Kim, J. B. and Hahn, T. R. (1995)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s from Korean pigmented rice. J.Korean Soc. Aeric. Chem. Biotechnot. 38, 581-583 

  9. Cho, M. H., Paik, Y. S., Yoon, H. H. and Hahn, T. R. (1996) Chemical structure of the major color component from a Korean pigmented lice vahety.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39, 304-308 

  10. Choung, M. G., Baek, I. Y, Kang, S. T., Han, W. Y, Shin, D.C., Moon, H. P. and Kang, K. H. (2001) Isolation and determination of anthocyanins in seed coats of black soybean (Glycine max (L.) Merr.). J. Agric. Food Chem. 49, 5848-5851 

  11. Dao, L. T., Takeoka, G. R., Edwards, R. H. and Berrios, J. J. (1998) Improved method for the stabilization of anthocyanidins. J. Agric. Food Chem. 46, 3564-3569 

  12. Deguchi, T., Shohara, S., Ohba, R. and Ueda, S. (2000) Effects of pH and light on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purple pigment, Hordeumin, from uncooked barley bran fermented broth. Biosci. Biotechnol. Biochem. 64, 2236-2239 

  13. Tsukui, A., Suzuki, A., Nagayama, S. and Terahara, N. (1996)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s from purple leaves of Perilla ocimoides L. var. Crispa. Nippon Shokuhin Kagaku Kaishi 43, 113-119 

  14. Kim, S. L., Hwang, J. J., Song, J., Song, J. C. and Jung, K. H. (2000) Extraction, Purification, and quandfication of anthocyanins in colored rice, black soybean, and black waxy com. Korean J. Breed 32, 146-152 

  15. Harborne, J. B. and Self, R. (1987) Malonated cyanidin-3-glucosides in Zea mays and other grasses. Phytochemistry 26, 2417-2418 

  16. Park, S. Z., Kim, H. Y., Han, S. J. and Ryu, S. N. (2000) Cyanidin 3-glucoside content in Fl, F2 and F3 grains of pigmented rice Heugjinjubyeo crosses. Korean J. Breed 32, 285-290 

  17. Deguchi, T., Yoshimoto, M., Ohba, R. and Ueda, S. (2000) Antimutagenicity of the purple pigment, Hordeumin, from uncooked barley bran-fermented broth. Biosci. Biotechnol. Biochem. 64, 414-416 

  18. McMurrough, I., Loughery, M. J. and Hennigan, G. P. (1983) Content of (+)-cathechin and proanthocyanidins in barley and malt grain. J. Sci. Food Agric. 34, 62-72 

  19. Ohba, R., Kitaoka, S. and Ueda, S. (1993) Properties and precusors of Hordeumin produced from uncooked barley bran by ethanol fermentation. J. Ferment. Bioeng. 75, 121-125 

  20. Tsukui, A., Suzuki, A., Hayashi, K., Nishiyama, R. and Ohara, N. (1996) Change in anthocyanin pigments during alcohol fermentation of a commercially available apple juice. Nippon Shokuhin Kagaku Kaishi 43, 1128-1132 

  21. Nam, S. H. and Kang, M. Y. (1997) In vitro inhibitory effect of colored rice bran extracts carcinogenicity.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0, 307-312 

  22. Tamagawa, K., Fukushima, S., Kobori, M., Shinmoto, H. and Tsushida, T. (1998) Proanthocyanidins from barley bran potentiate retinoic acid-induced granulocydc and sodium butyrate-induced monocytic differentiation of HL60 cells. Biosci. Biotechnol. Biochem. 62, 1483-14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