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조소금의 성분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Seaweed Salts Prepared with Various Seaweed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5 no.1 = no.167, 2003년, pp.62 - 66  

김동한 (목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임종환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상복 (호남농업시험장)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조류와 소금물을 이용하여 해조소금을 제조하고 이화학적 특성과 무기성분을 비교하였다. 해조소금 제조에 사용한 해조류의 회분함량은 미역이 22.78%로 많았고 김이 9.81%로 적었으나 무기성분으로 미역은 Na함량이 많은 반면 다시마와 톳은 K와 Ca가 많았다. 건조만 한 소금을 회화시켜 물불용해성분을 제거하면 소금의 순도가 증가하여 색이 밝아졌으며 pH와 ORP가 저하하였고, K와 Ca함량은 증가하나 Mg가 감소하였다. 해조소금의 수율은 미역소금에서 높았고 ORP는 다시마와 톳소금에서 낮았으며, K와 Ca함량은 미역소금에 비하여 다시마와 톳소금이 현저히 많았다. 해조소금 제조시 소금물의 농도가 증가하면 소금의 수율과 순도는 증가하나 pH는 저하하였고, ORP와 Ca, Mg함량이 증가하였다. 해조소금을 SEM에 의해 표면관찰 한 바 소금의 외형이 작고 특징적인 결정구조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neral compositions of seaweed salts prepared with various seaweeds and concentrated sea water were determined. Ash content of sea mustard was highest (22.7%) and that of laver the lowest (9.8%). Sea mustard contained high amount of Na, while sea tangle and seaweed f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를 식품으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을 이용하여 무기물이 보강된 가공소금을 제조할 목적으로 해조소금을 제조하고 그 무기물 조성과 이화학적 특성을 토대로 하여 해조소금 제조에 적당한 해조류를 1차 선발하였으며 아울러 해조소금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Lee, j.E. Salt and hypertension. Korean J. Nephrol. 11, Suppl. 6: 56-60 (1992) 

  2. Park, R.S., Kim, S.J. and Lee, L.H. Survey on sodium content of low salt diet at 27 hospitals. Korean J. Nutr. 10: 38-43 (1977) 

  3. Chung, K.R. A survey on the sodium chloride content of common restaurant meals in Seoul a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475-479 (1987) 

  4. Ha, J.O. and Park, K.Y. Comparison of autooxidation rate and comutagenic effect of different kinds of salt. J. Korean Associ. Cancer Prev. 4: 44-51 (1999) 

  5. Yang, J.S., Kim, O.H., Chung, S.Y., Yoo, T.M., Roh, Y.N., Yi, S.Y., Chung, M.W., Ahn, M.R., Choi, H.J. and Rheu, H.M. Pharmacological evalutation of bamboo salt. J. Appl. Pharm. 7: 178-184 (1999) 

  6. Shin, M.S. and Lee, H.S. The properties of Salts and their effects on salts vegetables. J. Korean Home Economic Associ. 21: 55-63 (1983) 

  7. Kim, S.D. Salting and fermentation of kimchi. J. Food Sci. Technol. 9:187-196 (1997) 

  8. Shin, D.H., Jo, E.J. and Hong, J.S. Chemical composition of improted table salts and kimchi preparation test. J. Food Hyg. Safety 14: 277-281 (1999) 

  9. Park, S.J., Park, K.Y. and Jun, H.K. Effects of commercial salts on the growth of kimchi-related microorganis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806-813 (2001) 

  10. Park, M.W. and Park, Y.K. Changes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oiji (Korean pickled cucumbers) prepared with different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419-424 (1998) 

  11. Jeong, K.J. The production system of tol salt at Guom village in Cheju island. Geographical J. Korea 32: 87-104 (1998) 

  12. Jo, E.J. and Shin, D.H.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sun-dried, refined, and processed salt produced in Chonbuk area. J. Food Hyg. Safety 13: 360-364 (1998) 

  13. Park, J.W., Kim, S.J., Kim, S.H., Kim, B.H., Kang, S.K., Nam, S.H. and Jung, S.T. Determination of mineral and heavy metal contents of various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442-1445 (2000) 

  14. Ha, J.O. and Park, K.Y. Composition of mineral contents and external structure of various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413-418 (1998) 

  15. Korea Dietary Safety Civil Committee, The all about salts. International seminar on salt (Korea. China. Japan), pp. 1-33 (2000) 

  16. Suphsorn, C., Ramu, M.R., Joseph, A.L. and Mahmood, A.K. Fatty acids and sensory acceptance of a dietary sodium-potassium fish sauce. J. Agric. Food Chem. 31: 14-17 (1987) 

  17.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ood standard code, Seoul (2000) 

  18.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95) 

  19. Kang, M.H., Kim. Y.B. and Lee, S.R. Digestibility of some Korean seaweeds through an animal experiment. Korean J. Nutr. 9: 69-75 (19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