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스 제거제 첨가에 따른 필름 포장 청매실의 저장 중 무기질 및 펙틴 성분 변화
Changes in Mineral and Pectic Substances of Korean Mature-Green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Packaged in Plastic Films with Gas Absorbents during Sto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5 no.1 = no.167, 2003년, pp.149 - 154  

차환수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홍석인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정명수 ((주)오뚜기 중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체투과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필름(0.03 mm LDPE)에 청매실을 담고, 각기 이산화탄소 제거제, 에틸렌 제거제와 이들의 혼합 제거제를 첨가하여 밀봉 포장한 후 상온에 저장하면서 무기질 및 펙틴 성분 변화를 측정하였다. 전반적으로 청매실은 저장 중 과실조직의 연화와 함께 알콜 불용성 고형물 및 가용성 펙틴의 Ca와 Mg 함량이 감소하였다. 또한 총 펙틴에 대한 가용성 펙틴의 구성비에 있어서 수용성 펙틴은 증가, 염산가용성 펙틴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다른 포장구와 비교하여 에틸렌 제거제를 첨가한 포장구의 경우 무기질 함량의 감소가 현저하게 적었고 가용성 펙틴 구성비도 저장초기와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저장 중 가용성 펙틴의 저분자화도 현저히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기체투과성 플라스틱 필름과 에틸렌 제거제를 병용하는 포장방법이 상온 유통용 청매실의 과육 연화억제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nges in mineral (Ca, Mg) contents and pectic substances of mature-green 'Nanko' Mume fruits hermetically packaged in 0.03 mm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films with and without gas absorbents were examined during storage at $25^{\circ}C$ for 10 days. Each packaging contained 10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확기의 관행적 유통조건을 감안하여 청매실의 과육 연화억제를 목적으로 상온 저장시 플라스틱 필름포장과 가스 제거제를 병용하였을 때 무기질 및 펙틴 성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상온 유통용 선도유지 포장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Major Statistics Related to Agricultural Industry, Statistical Yearbook 2000. http://www.maf.go.kr/English/data/data4.htm (2001) 

  2. Bae, J.H., Kim, K.J., Kim, S.M., Lee, W.J. and Lee, S.J. Development of the functional beverage containing the Prunus mume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713-719 (2000) 

  3. Takatoshi, K., Kenji, A., Kazuhiro, S., Naokazu, S. and Yoshiaki, O. Physiology and quality changes of mature-green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stored under several controlled atmosphere conditions at ambient temperature. J. Japanese Soc. Hort. Sci.62: 877-887 (1994) 

  4. Miyazaki, T. Effects of seal-packaging and ethylene removal in the sealed bags on the shelf life of mature-green Japanese apricot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J. Japanese Soc. Hort. Sci. 52: 85-92 (1983) 

  5. Kazi, H., Ikebe, T. and Osajirna, Y. Effects of environmental gases on the shelf-life of Japanese apricot. J. Japanese Soc. Food Sci. Technol. 38: 797-803 (1991) 

  6. Cha, H.S., Hong, S.I., Park, J.S., Park, Y.K., Kim, K. and Jo, J.S. Respiratory characteristics and quality attributes of mature-green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as influenced by MAP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04-1309 (1999) 

  7. Cha, H.S., Hong, S.I. and Chung, M.S. Effect of gas absorbents on quality attributes and respiration characteristics of maturegreen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during storage at ambient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36-1042 (2002) 

  8.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Vol. 1, Chapter 3, pp. 3-4.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95) 

  9. Ohtsubo, T. and Ikeda, F. Seasonal changes of cyanogenic glycosides in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seeds. J. Japanese Soc. Hort. Sci. 62(4): 695- 700 (1994) 

  10. Cha, H.S, Hwang, J.B., Park, J.S., Park, Y.K. and Jo, J.S.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and pectic substances of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during maturatio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481-487 (1999) 

  11. Terada, H. and Yamamoto, K.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yanogenic glycosides, benzaldehyde and benzoic acid in processed Japanese apricot by HPLC. J. Food Hyg. Soc. Japan 33: 183-188 (1992) 

  12. Poovaiah, B.W., Glenn, G.M. and Reddy, A.S.N. Calcium and fruit softening: physiology and biochemistry. Hort. Rev. 10: 107-152 (1988) 

  13. Otoguro, C. Changes in hardness and cell wall polysaccharides of small size ume Koshu koume fruit during maturation and its brining. J. Japanese Soc. Food Sci. Technol. 41: 498-504 (1994) 

  14. Zhang, S., Chachin, K., Ueda, Y. and Iwata, T. Firmness and pectic substances of mature-green Mume fruits packaged with polyethylene bags and ethylene absorbent. J. Japanese Soc. Food Sci. Technol. 40: 163-169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