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젓갈 및 젓갈대용 부재료 첨가 김치의 유기산 및 핵산관련 물질의 함량
The Contents of Organic Acids,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 Kimchi Prepared with Salted-Fermented Fish Products and Their Alternativ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5 no.5 = no.171, 2003년, pp.769 - 776  

박덕천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김은미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김은진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김영명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김선봉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젓갈류(멸치액젓, 멸치육젓, 저염멸치액젓, 저염까나리액젓 및 새우젓)와 젓갈대용물(굴 가수분해물, 명태육 가수분해물 및 청각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를 20, 10 및 $4^{\circ}C$에서 숙성 중 pH, 총산도를 측정하고 pH 4.2와 산도 $0.6{\sim}0.8%$를 고려한 온도별 적숙기에서의 유기산 및 핵산관련물질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 젓갈류 첨가 김치의 온도별 숙성 중 pH는 적숙기까지 대체로 빠른 감소를 보인 반면 산도는 빠른 증가를 보였다. 시험구별 적숙기에서 acetic acid와 lactic acid는 0일차 대비 대체로 다소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malic acid는 $20^{\circ}C$에서, succinic acid는 $10^{\circ}C$에서 비교적 높은 함량이었다. ATP, ADP 및 AMP는 0일차 대비 대체로 낮거나 비슷한 수준인 반면, IMP 및 HxR은 숙성에 따라 다소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젓갈대용물 첨가 김치의 경우, pH 및 산도는 젓갈류 첨가 김치에서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시험구별 적숙기에서 acetic acid 및 lactic acid는 0일차 함량 대비 다소 높았고 malic acid는 증감하였으며 succinic acid는 0일차에서도 상당량 검출되었다. ATP 및 ADP는 굴 및 명태육 가수분해물 첨가구에서 0일차 대비 다소 높은 반면 다른 시험구에서는 대체로 다소 낮은 함량이었다. AMP도 $20^{\circ}C$$10^{\circ}C$ 숙성에서 ATP 및 ADP의 경우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IMP는 대조구 및 청각추출물 첨가구에서 0일차 대비 대체로 낮은 함량인 반면 굴 및 명태육 가수분해물 첨가구는 대체로 높았다. HxR은, 대조구와 젓갈류 첨가구 및 굴가수분해물 첨가구에서 0일차 대비 대체로 높은 함량이었다. 결론적으로, 김치의 숙성시 숙성 온도와 젓갈류 및 젓갈대용물 등의 부재료가 김치의 숙성을 결정하는 주요 영향요인일 뿐만 아니라 김치의 정미성분으로서 유기산과 핵산관련물질의 함량패턴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rganic acids,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NRCs) of kimchi prepared with salted-fermented fish products (SFFPs) and their alternatives were analyzed at each optimal fermentation (pH $4.2{\pm}0.2$, acidity $0.6{\sim}0.8%$) during fermentation at 20, 10 and $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숙성에 대한 온도와 젓갈 및 젓갈 대용 부재료의 첨가효과를 검토하고자 상용 젓갈류를 비롯한 젓갈 대용 부재료를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를 숙성 온도별로 20,10 및 4℃에서 숙성시켜 각 온도별 숙성에 따른 pH, 총 산도와 적숙기에서의 유기산 및 핵산관련 물질을 정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eigh, H.S., Kim, J.I., Min, B.T., Jeon, J.T., Kong, Y.H., Hong, J.J. and Kim, N.Y. Classification and review of the literatures on kimchi (III). Sci. Technol. Kimchi 8: 105-131 (2002) 

  2. Choi, S.Y Research literatures on kimchi from 1955 to 1996. Food Ind. Nutr. 1: 88-101 (1996) 

  3. CODEX, Proposed draft codex standard for kimchi. Food Ind. Nutr. 1: 22-34 (1996) 

  4. Kim, M.H., Shin, M.S., Jhon, D.Y., Hong, Y.H. and Lim, H.S.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s with different ingredients. J. Korean Soc. Food Nutr. 16: 268-277 (1987) 

  5. Park, W.P. and Kim, Z.U. The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34: 295-297 (1991) 

  6. Park, W.P. and Kim, Z.U. The effect of seasonings and salted-fermented fish on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34: 242-248 (1991) 

  7. Park, W.P. and Kim, Z.U. The effect of seasonings and salted-fermented fish on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34: 249-257 (1991) 

  8. Choi, S.Y., Lee, M.K., Choi, K.S., Koo, Y.J. and Park, W.S. Changes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kimchi on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44-649 (1998) 

  9. No, H.K., Lee, S.H. and Kim, S.D. Effects of ingredients on fermenta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 642-650 (1995) 

  10. Kim, S.B., Lee, T.G., Park, Y.B., Yeum, D.M., Kim, O.K., Byun, H.S. and Park, Y.H. Characteristics of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derived from fermented fish product, 1. Characteristics of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derived from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J. Korean Fish. Soc. 26: 321-329 (1993) 

  11. Ji, C.I., Lee, J.H., Park, D.C., Gu, Y.S., Kim, I.S., Lee, T.G., Jung, K.J., Park, Y.H. and Kim, S.B.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in peptic hydrolysates of cooking discards from anchovy factory ship.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29-532 (2002) 

  12. Kim, D.S., Park, D.C. and Do, J.R.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krill (Euphausia superba) hydrolysate. J. Fish. Sci. Technol. 5 : 21-27 (2002) 

  13. Park, D.C., Park, J.H., Gu, Y.S., Han, J.H., Byun, D.S., Kim, E.M., Kim, Y.M., and Kim, S.B. Effects of salted-fermented fish products and their alternatives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20-927 (2000) 

  14. Park, D.C., Park, J.H., Gu, Y.S., Han, J.H., Byun, D.S., Kim, E.M., Kim, Y.M., and Kim, S.B. Effects of salted-fermented fish products and their alternatives on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42-948 (2000) 

  15. Kim, H.O. and Rhee, H.S. Studies on the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kimchis fermen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7: 74-81 (1975) 

  16. Lee, E.H. and Park, Y.H. Degradation of acid soluble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 sea food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1. Changes of nucleotides during drying process of the anchovy, Engraulis japanica. J. Korean Fish. Soc. 4: 31-41 (1971) 

  17.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 Offic. Anal. Chem., Inc., VA, USA (1990) 

  18. Mheen, T.I. and Kwon, T.W.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1984) 

  19. Kim, K.O. and Kim, W.H. Changes in properties of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kinds and levels of salted and fermented seafood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24-330 (1994) 

  20. Park, S.K., Cho, Y.S., Park, J.R., Moon, J.S. and Lee, Y.S. Changes in the contents of sugar, organic acid, free amino acid and nucleic acid-related compounds during fermentation of leaf mustard-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 48-53 (1995) 

  21. Park, Y.H., Jung, L.H. and Lee, S.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oha-jeot added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426-431 (2001) 

  22. Lee, E.Y., Moon, S.W., Park, W.S. and Choi, S.Y. Comparison of organic acids produced during fermentation of kimchi with lactic acid bacteria. Food Ind. Nutr. 1: 49-79 (1996) 

  23. Kim, J.I., Choi, J.S., Kim, W.S. and Cheigh, H.S. Studies on identification and composition of nucleosides from mustard leaf and mustard lea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796-801 (2000) 

  24. Ryu, J.Y., Lee, H.S. and Rhee, H.S. Changes of organic acid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imchis fermented with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169-174 (19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