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추, 젓갈 및 소금농도가 김치의 맛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d Pepper, Salt-Fermented Anchovy Extracts and Salt Concentration on the Tastes of Kimch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3, 2003년, pp.346 - 349  

박소희 (경희대학교 식품공학과) ,  임호수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김치에 고춧가루, 소금, 젓갈 등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김치의 관능적 특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김치의 염도가 2%가지는 신맛과 매운맛이 강하였지만 그 이상의 염농도에서는 신맛, 매운맛, 단맛, 감칠맛 등을 억제하였고 고춧가루를 첨가하여 매운맛이 상승함에 따라 3%까지는 신맛은 비례하여 증가하였지만 그밖의 짠맛, 단맛, 감칠맛은 억 제시 켰으며 젓갈 첨가는 감칠맛의 상승과 함께 짠맛과 단맛을 상승시켰으나 매운맛과 신맛은 억제하였다. 이상과 같은 조미료 및 향신료의 맛과 김치 맛을 일원일차 상관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소금의 짠맛은 매운맛, 신맛, 단맛, 감칠맛과 각각 -0.9857, 0.9878, -0.9847, -0.9076을, 또 고추의 매운맛은 신맛, 단맛, 짠맛, 감칠맛과 각각 0.8353, -0.9316, -0.9020, -0.9901로 모두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김치의 매운맛과 짠맛의 상승은 김치의 전반적인 맛을 억제시켰다. 한편 감칠맛은 매운맛과만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단맛과 짠맛과는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매운맛과 짠맛과는 다른 경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by adding different amounts of red pepper powder, salt-fermented anchovy extracts to kimchi. The salt enhanced sourness and pungency up to 2% but suppressed sourness, pungency, sweetness and umami taste by salt of 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관능검 사 요원 은 경희대학교 식품공학과에 재학중인 대학원생중 김치맛에 대한 차이식별 능력이 있는 9명을 선정한 후 훈련시켰다. 관 능평가 항목은 신맛(sourness), 단맛(sweetness), 짠맛(salt- iness), 매운맛(pungency), 감칠맛(umami taste) 등이며 9점 평점법을 사용하여 특성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였고 결과 분석은 SA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 (one-way ANOVA test)을 하였고 Dun­ can's multiple range test로 평균간의 다중 비교를 실시하였다.
  • 김치에 고춧가루, 소금, 젓갈 등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김치의 관능적 특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김치의 염도가 2%까지는 신맛과 매운맛이 강하였지만 그 이상의 염농도에서는 신맛, 매운맛, 단맛, 감칠맛 등을 억제하였고 고춧가루를 첨가하여 매운맛이 상승함에 따라 3%까지는 신맛은 비례하여 증가하였지만 그 밖의 짠맛, 단맛, 감칠맛은 억제시켰으며 젓갈첨가는 감칠맛의 상승과 함께 짠맛과 단맛을 상승시켰으나 매운맛과 신맛은 억제하였다.
  • 현재까지 김치의 맛에 대한 연구는 각종 부재료에 대한 연 구(5-9), 성분 중 맛과 관계가 있는 유리 아미노산(10, 11)과 염도(12-14) 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 었으나 아직까지 김 치 의 여러 다양한 맛 사이의 상호작용은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맛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김치의 대표 적인 양념인 고춧가루와 젓갈 그리고 절임용 소금 등의 첨가 량이 김치의 매운맛, 짠맛, 단맛, 감칠맛, 신맛 등의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능검사와 일원일차 상관분석을 통 해 고찰하였다.
  • 구입한 배추는 겉잎을 모두 제거한 후 양끝에서 5 cm씩 자른 다음 4X4 cm 크기로 썰어 배추 무게의 2배에 해당하는 10% 소금물에 배추가 완전히 잠기도록 하여 12시간동안 절 였고, 이 때 소금물의 온도는 10±l°C로 하였다. 침지하는 동 안 배추조직 에 염 분이 고루 침 투되도록 상층부와 하층부를 3회 뒤집어 주었고 이것을 흐르는 수돗물에 3회 헹구고 약 1시 간 자연 탈수시 킨, 소금농도가 1.0%인 절인 배추를 Table 1과 같은 비율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식 염과 고춧가루 및 멸 치 액젓의 첨가량을 L5〜3.5%가 되도록 맞추었다. 소금농도 를 달리한 김치의 최종 소금농도는 1.

대상 데이터

  • 김치는 건더기와 국물을 동량이 되도록 하여 100 g씩 채취 한 뒤 동일한 모양의 용기 에 담아 제시 하였다. 관능검 사 요원 은 경희대학교 식품공학과에 재학중인 대학원생중 김치맛에 대한 차이식별 능력이 있는 9명을 선정한 후 훈련시켰다. 관 능평가 항목은 신맛(sourness), 단맛(sweetness), 짠맛(salt- iness), 매운맛(pungency), 감칠맛(umami taste) 등이며 9점 평점법을 사용하여 특성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 0%로 맞추었다. 버 무린 김 치는 뚜껑이 있는 4 L 유리 단지에 3 kg씩 넣어 밀봉한 후 20°C incubator에서 20시간 숙성시켜 김치의 산도가 0.5〜 0.6%에 도달했을 때 채취하여 시료로 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한 배추, 고춧가루, 마늘, 생강 등의 김치 재료는 실험 당일 수원 농수산물시장에서 신선한 것을 구입 하여 사용하였고, 젓갈은 질소함량 1.04%, 염도 13±1%인 멸치 액 젓을 사용하였다. 소금은 천 일 염 (식 염 농도 85%, 한주 제품)을 이용하여 배추 절임에 사용하였다.
  • 04%, 염도 13±1%인 멸치 액 젓을 사용하였다. 소금은 천 일 염 (식 염 농도 85%, 한주 제품)을 이용하여 배추 절임에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관 능평가 항목은 신맛(sourness), 단맛(sweetness), 짠맛(salt- iness), 매운맛(pungency), 감칠맛(umami taste) 등이며 9점 평점법을 사용하여 특성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였고 결과 분석은 SA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 (one-way ANOVA test)을 하였고 Dun­ can's multiple range test로 평균간의 다중 비교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Park KY. 1995.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 169-182. 

  2. Lee IS, Park WS, Koo YJ, Kang KH. 1994. Changes in some characteristics of brined chinese cabbage of fall cultivar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39-245. 

  3. Ko YD, Kim HJ, Chun SS, Sung NK. 1994. Development of control system for kimchi fermentation and storage using refrigerator.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199-203. 

  4. Park WS, Lee IS, Han YS, Koo YJ. 1994. Kimchi preparation with brined chinese cabbage and seasoning mixture stored separately.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31-238. 

  5. Lee HO, Lee HJ, Woo SJ. 1994. Effect of cooked glutinous rice flour and soused shrimp on the changes of free amino acid, total vitamin C and ascorbic acid contents during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0: 225-231. 

  6. Chung ME, Lee HJ, Woo SJ. 1994. Effect of soused shrimp and cooked glutinous rice flour on the changes of low molecular nitrogen compounds content during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Dietary Culture 9: 125-136. 

  7. Lee JH, Yi HS. 1992. Effect of onion on kimchi fermentation ( I ). Korean J Soc Food Sci 8: 27-30. 

  8. Cho Y, Yi JH. 1992. Effect of onion on kimchi fermentation (II). Korean J Soc Food Sci 8: 365-369. 

  9. Song TH, Kim SS. 1991. A study on the effect of ginseng on eatable period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J Dietary Culture 6: 237-243. 

  10. Cho Y, Rhee HS. 1979. A study on flavorous taste components in kimchis. Korean J Food Sci Technol 11: 26-32. 

  11. Kang DH, Woo YS, Lee YK, Chung SY. 1983. Organic constituents in kimchis on free amino acids. Korean J Food Sci Nutr 12: 225-233. 

  12. Oh YA, Kim SD. 1997. Changes in enzyme activities of salted Chinese cabbage and kimchi during salting and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Nutr 26: 404-410. 

  13. Oh JY, Hahn YS. 1999. Effect of NaCl concentration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mul-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421-426. 

  14. Mheen TI,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49. 

  15. Ku KH, Kang KO, Chang YS, Kim WJ. 1991. Effect of combined salts addition on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123-128. 

  16. Kim KO, Kim WH. 1994. Changes in properties of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kinds and levels of salted and fermented seafood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24-3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