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유래 천연항균물질 첨가에 의한 김치의 발효조절
Control of Kimchi Fermentation by the Addition of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Originated from Plan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5, 2013년, pp.583 - 589  

서현선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  김선화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  김진솔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  한재준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  류지훈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L. plantarum에 대한 항균성을 보이는 식물추출물들을 탐색한 후, 선별된 식물추출물들의 항균력을 실험실배지(MRSB)에서 규명하였다. 이후, 우수한 항균력을 보인 식물추출물들을 김치에 직접 적용하면서 김치의 발효지연 효과를 확인하였다. 식물추출물 2,117종을 대상으로 agar well diffusion assay를 수행한 결과, L. plantarum에 대한 항균성을 보이는 15종의 식물추출물들이 선별되었다. 선별된 15종의 식물추출물의 L. plantarum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를 확인한 결과, 자몽종자 추출물(0.0313 mg/mL), 소목열수추출물(0.2500 mg/mL), 오레가노 에센셜 오일(1.0 mg/mL)이 L. plantarum에 가장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냈다. 이들 식물추출물들의 김치 발효조절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몽종자 추출물(0.1, 0.3, 그리고 0.5%), 소목추출물(0.1, 0.5, 그리고 1.0%), 오레가노 에센셜 오일(0.1, 0.5, 그리고 1.0%)을 개별적으로 김치에 첨가하여 $10^{\circ}C$에 20일간 저장하면서 김치의 pH 변화와 총균 및 젖산균의 개체수 변화를 확인하였다. 대조구의 pH는 저장 5일만에 적숙기에 도달한 반면, 자몽종자 추출물(0.1, 0.3, 그리고 0.5%), 소목추출물(0.1, 0.5, 그리고 1.0%), 그리고 오레가노 에센셜 오일(0.5와 1.0%)을 첨가한 김치는 적숙기에 도달하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은 총균과 젖산균의 개체수의 변화에서도 관찰되었다. 즉, 자몽종자 추출물(0.1, 0.3, 그리고 0.5%), 소목추출물(0.1, 0.5, 그리고 1.0%), 그리고 오레가노 에센셜 오일(0.5와 1.0%)을 첨가한 김치는 총균과 젖산균의 개체수가 식물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김치와 비교하여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으로 적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L. plantarum에 대한 항균성을 보이는 식물추출물들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 자몽종자 추출물, 소목추출물, 오레가노 에센셜 오일을 김치에 직접 첨가함으로써 김치의 발효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delay of kimchi fermentation by the addition of plant extracts. Fifteen plant extracts were screened for inhibitory activity aginst Lactobacillus plantarum by using an agar well diffusion assay, and determined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nd minimal lethal concen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L. plantarum에 대한 항균성을 보이는 식물추출물들을 탐색한 후, 선별된 식물추출물들의 항균력을 실험실배지 (MRSB)에서 규명하였다. 이후, 우수한 항균력을 보인 식물추출물들을 김치에 직접 적용하면서 김치의 발효지연 효과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김치의 선도 유지 및 가식 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해 식물유래 천연항균물질을 이용하여 김치의 발효를 조절하는데 있다. 김치의 발효를 조절하기 위하여, 김치 과숙에 관여 하는 Lactobacillus plantarum을 저해하는 식물추출물들을 탐색하였고, 선별된 15종의 식물추출물의 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란 무엇인가? 김치는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발효식품으로서, 주원료인 절임배추에 고춧가루, 마늘, 생강, 파, 무 등의 여러 가지 양념류를 혼합하여 저온에서 발효시킨 제품이다(1,2). 김치는 다양한 재료와 젖산균에 의한 발효작용으로 인해 식이섬유소, 비타민, 무기질 등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3), 여러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여 항암, 항산화 효과 등의 건강기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5).
김치의 효능은 어떠한가? 김치는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발효식품으로서, 주원료인 절임배추에 고춧가루, 마늘, 생강, 파, 무 등의 여러 가지 양념류를 혼합하여 저온에서 발효시킨 제품이다(1,2). 김치는 다양한 재료와 젖산균에 의한 발효작용으로 인해 식이섬유소, 비타민, 무기질 등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3), 여러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여 항암, 항산화 효과 등의 건강기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5). 이러한 김치의 우수성은 국외에도 널리 알려지고 있으며, 2006년에는 미국의 건강전문지인 헬스에서 발표한 세계 5대 건강식에 한국의 김치가 선정되기도 하였다(6-8).
김치의 발효 속도를 늦추고 저장성을 연장하기 위한 연구에 이용된 천연향균물질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그러나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식품에 대한 건강지향적 요구가 증가되면서 화학적 처리를 기피하고(16,17),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김치의 저장성을 향상시키려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18). 김치의 발효속도 조절을 위한 연구에 이용된 천연항균물질들은 크게 김치 부 재료, 과일류, 약용식물, 허브, 향신료, 종자 추출물 등으로 나눌 수 있다(19). 천연항균물질 탐색에 이용된 김치 부 재료로는 부추, 갓, 녹미채, 열무 등이 있고(19), 과일류로는 매실(20), 오미자(21), 감귤류(22) 등이 있다. 약용식물은 소목(23), 황금, 황백(24) 등이 김치의 발효조절 효과를 보였다. 또한 종자 추출물인 자몽종자 추출물이 천연항균물질로의 가능성을 보였으며(25), 타임, 타라곤 (26), 로즈마리(27), 겨자(28) 등의 허브와 산초유, 계피유, 호프 추출물 등 식물성분의 향신료(29)를 이용하여 김치의 저장성을 향상시키려는 연구가 진행되기도 하였다. 이 외에도 키토산(30), 감잎 정유(31), 녹차(32), 솔잎(33), 뽕잎(34) 등의 다양한 추출물들이 김치의 발효속도 조절을 위해 사용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Codex Alimentarius Committe. Codex Standard for kimchi (CODEX STAN 233). Codex, Rome, Italy (2001) 

  2. Jang MS, Park HY, Nam KH. Changes in nutrient composition and fermentation properties of abalone mul-kimchi using dried pollack and licorice stock.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613-620 (2012) 

  3. Park KY.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 169-182 (1995) 

  4. Kim HR, Kim MR. Effects of traditional sal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rowth of microorganisms from kimchi. Korean J. Food Culture 25: 61-69 (2010) 

  5. Kim JH, Jang MJ, Choi JI, Ha TM, Chung JW, Chi JH, Ju YC. Quality properties of kimchi by the addition of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2: 287-291 (2005) 

  6. Health magagine. World's healthiest Food: Kimchi (Korea). Available from: http://www.health.com/health/article/0,,20410300,00.html. Accessed Jun. 16, 2013. 

  7. Jeon CG. Marketing analysis of the imported kimchi and challenges for the domestic kimchi industry. Korean J. Food Marketing Economics. 26: 79-101 (2009) 

  8. Cho SK, Moon JS, Kim YJ, Kim JE, Choi HY, Ahn JE, Otgonbayar GE, Eom HJ, Kim TJ, Kim YM, Kim HR, Han NS. Comparison of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kimchi products in Korea and Japan.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155-161 (2012) 

  9. Kim MK, Chung HJ, Kim OM, Oh YA, Kim S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spices on lactic acid bacteria related to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Agri. Products 5: 81-87 (1998) 

  10. Kim HS, Jung SK, Cho SH, Ku JG, Lee SC. Preparation and effect of Eudragit E100 microcapsules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on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239-1244 (2003) 

  11. Cha BS, Kim WJ, Byun MW, Kwon JH, Cho HO. Evaluation of gamma irradiation for extending the shelf life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109-119 (1989) 

  12. Kim SD. Effect of pH adjuster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14: 259-264 (1985) 

  13. Lee SK, Kim IH, Choi SY, Jeon KH. Effect of lysozyme, glycine and EDTA on the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2: 58-61 (1993) 

  14. Pyun YR, Shin SK, Kim JB, Cho EK. Studies on the heat penetration and pasteurization conditions of retort pouch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15: 414-420 (1983) 

  15. Kang KO, Ku KH, Lee HJ, Kim WJ. Effect of enzyme and inorganic salts addition and heat treatment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183-187 (1991) 

  16. Lee SH, Park KN, Lim YS. Effect of Caesalpina sappan L. and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 mixture and crab shell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404-409 (1999) 

  17. Lee BW, Shin DH. Antimicrobial effect of some plant extracts and their fractionates for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05-211(1991) 

  18. Chung HJ, Kim MK, Kim MJ, Kim SD. Growth inhibitory activity of spices for lactic acid bacteria. J. Food Sci. Technol. CUTH 9: 103-118 (1997) 

  19. Kim JS, Bang JH, Beuchat LR, Kim HK, Ryu JH. Controlled fermentation of kimchi using naturally occurring antimicrobial agents. Food Microbiol. 32: 20-31 (2012) 

  20. Lee SH, Choi JS, Park KN, Im YS, Choi WJ. Effects of Prunus mume Sie. extract on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preserv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9: 292-297 (2002) 

  21. Lee SH, Choi WJ, Im YS. Effect of Schizandra chinensis (Omija) extract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229-234 (1997) 

  22. Cho SH, Lee SC, Park WS. Effect of botanical antimicrobial agent-citrus produc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2: 8-16 (2005) 

  23. Lee SH, Choi WJ, Jo OK, Son SJ.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Caesalpina sappan L. and effect of the extract on the fermentation of kimchi. J. Food Sci. Technol. CUTH 9: 167- 171 (1997) 

  24. Park MK, Jung KS, In MJ. Effec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and Phellodendron amurense extracts on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nd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420-426 (2004) 

  25. Park HK, Kim SB. Antimicrobial activity of grapefruit seed extract. Korean J. Food Nutr. 19: 526-531 (2006) 

  26. Kim MK, Kim OM, Kim ID, Kim MH, Park IK, Kang MS, Lee NH, Kim SD. The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 thyme (Thymus vulgaris L.) and tarragon (Artemisia dracuncculus L.) on shelflife and quality of kimchi.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5: 49-56 (1998) 

  27. Kim JH. Effect of rosemary leaf on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J. Food Nutr. 16: 283-288 (2003) 

  28. Seo KI, Jung YJ, Shim KH. The additive effects of mustard seed (Brassica juncea) during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3: 33-38 (1996) 

  29. Moon KD, Byun JA, Kim S-J, Han DS. Screening of natural preservatives to inhibit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onol. 27: 257-263 (1995) 

  30. Yoo EJ, Lim HS, Kim JM, Song SH, Choi MR. The investigation of chitosanoligosaccharide for prolongating fermentation period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869-874 (1998) 

  31. Park SK, Kang SG, Chung HJ. Effects of essential oil in astringent persimmon leaves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2: 217-221 (1994) 

  32. Park HJ, Kim SI, Lee YK, Han YS. Effect of green tea on kimchi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Korean J. Soc. Food Sci. 10: 315-321 (1994) 

  33. Choi MY, Choi EJ, Lee E, Cha BC, Park HJ, Rhim TJ. Effect of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Seib. et Zucc) Sap on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899-906 (1996) 

  34. Shin SM, La SH, Choi MK.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mulberry leaf powder. Korean J. Food Nutr. 20: 53-62 (2007) 

  35. Wiegand I, Hilpert K, Hancock RE. Agar and broth dilution methods to determine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antimicrobial substances. Nat. Protoc. 3: 163-175 (2008) 

  36. Salvat A, Antonnacci L, Fortunato RH, Suarez EY, Godoy HM. Screening of some plants from Northern Argentina for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Lett. Appl. Microbiol. 32: 293-297 (2001) 

  37. Bagamboula CF, Uyttendaele M, Debevere J. Inhibitory effect of thyme and basil essential oils, carvacrol, thymol, estragol, linalool and p-cymene towards Shigella sonnei and S. flexneri. Food Microbiol. 21: 33-42 (2004) 

  38. Park WP, Chang DK. Kimchi quality affected by the addition of grapefruit seed extracts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0: 288-292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