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합분해성 플라스틱 식품포장 필름의 제조 및 분해성
Manufacturing Multi-degradable Food Packaging Films and Their Degradibility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5 no.5 = no.171, 2003년, pp.877 - 883  

정명수 (멀티콤포스트코리아(주)) ,  이왕현 (멀티콤포스트코리아(주)) ,  유영선 (멀티콤포스트코리아(주)) ,  김혜영 (멀티콤포스트코리아(주)) ,  박기문 (성균관대학교 식품.생명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용할 때에는 보통 플라스틱처럼 각종 식품의 포장용기로써 안전하고 간편하게 쓸 수 있고 사용 후에는 태양광선, 토양에 존재하는 미생물, 매립지에서 발생되는 열 등에 의하여 쉽게 분해되는 환경친화적이고 무해한 플라스틱인 복합분해성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여 그 분해성을 평가하였다. 복합분해 기능을 갖는 master batch(M/B)를 제조한 후 필름 성형기를 이용하여 롤리프로필렌(PP)에 M/B를 각각 10%, 20%씩 첨가하여 평균 두께 0.05mm의 필름을 가공한 다음 여러 환경인자들, 즉 자외선, 미생물, 열에 노출시켜 그 영향을 관찰하였다. M/B가 20% 첨가된 필름의 경우 자외선에 7주간 노출된 후 필름표면에 심한 균열이 발생하여 매우 취약해졌으며 인장시험기로 측정된 연신율도 M/B를 첨가하지 않고 제조된 필름에 비해 월등히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70^{\circ}C$에서 13주간 저장하면서 열분해성을 인장시험기로 측정한 결과에서도 M/B 첨가군과 대조군 간에 뚜렷한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고 M/B를 20% 첨가하여 제조한 필름은 11주만에 성상이 이미 심하게 파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30^{\circ}C$, 85% 상대습도 조건하에서 필름의 시편을 곰팡이 혼합 현탁액과 함께 60일간의 배양시험한 후 주사전자현미경(SEM)에 의하여 필름의 표면을 관찰한 결과 M/B를 첨가한 필름들이 M/B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미생물에 의한 공격을 쉽게 받아 필름의 분해가 촉진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lti-degradable master hatch (M/B) was prepared and 0.05 mm polyethylene (PP) food packaging films containing 0, 10, and 20% M/B were manufactured by inflation film processing. The films were exposed to UV radiation, fungi, and heat in order to observe their photolysis, biodegradability, and ther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향후의 연구방향은 본 논문에서 설정한 UV 처리 조건, 열처리 조건 및 곰팡이 생육 조건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자연계에서의 실제 조건과 근접한 환경에서의 분해성 실험으로 이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나아가 실험 대상 플라스틱 제품을 본 연구에서 사용된 비교적 얇은 필름에서 MCC-103을 첨가하여 제조된 두꺼운 식품 용기쉬트로 확대 적용시켜 분해성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의 생분해성 평가 시험에서는 곰팡이만을 실험 균주로 사용하였으나 향후에는 자연환경에 존재할 수 있는 호기성 및 혐기성 세균, 조류 등에 의한 영향에 대한 평가도 ASTM 표준에 의거하여 실시하고자 한다.
  • 나아가 실험 대상 플라스틱 제품을 본 연구에서 사용된 비교적 얇은 필름에서 MCC-103을 첨가하여 제조된 두꺼운 식품 용기쉬트로 확대 적용시켜 분해성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의 생분해성 평가 시험에서는 곰팡이만을 실험 균주로 사용하였으나 향후에는 자연환경에 존재할 수 있는 호기성 및 혐기성 세균, 조류 등에 의한 영향에 대한 평가도 ASTM 표준에 의거하여 실시하고자 한다.
  • 전단계로써 널리 이용되고 있다(20-23). 본 연구에서는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에서 규정하고 있는 플라스틱 수지에 대한 여러가지 생분해성 평가 방법 중 초기 개발 단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토양 중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다섯 종류의 곰팡이에 의한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3종류의 필름을 앞서 명시한 조건에서 60일간 생분해성 실험을 행하면서 시편의 질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Fig.
  • 본 연구에서는 신선식품 트레이, 인스턴트 식품 용기, 패스트푸드 용기, 도시락 용기, 컵라면, 일회용 컵, 일회용 장갑 등의 제조에 이용 가능한 복합분해성 폴리프로필렌(CPP) 필름을 제조하여 식품포장재로서의 제품안전성과 열분해성 , 광분해성 및 생분해성 등의 식품포장재로 사용한 후의 환경 친화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Guillet, J.E. Polymers and Ecological Problems, pp. 45-60. Baum, B. and White, R.A. (eds.). Plenum Press, New York, USA (1973) 

  2. Brown, D.T. Plastic Waste Management, pp. 1-35. Mustafa, N. (ed.). Marcel Dekker Inc., New York, USA (1993) 

  3. Garcia, C., Hernandes, T. and Costa, F. Comparison of humic acids derived from city refuse with more developed humic acids. Soil Sci. Plant Nutr. 38: 339-346 (1992) 

  4. Narayan, R. Impact of governmental policies, regulations, standards activities on an emerging biodegradable plastics industry. In: Biodegradable Plastics and Polymers. Doi, Y. and Fukuda, K. (eds.). Osaka, Japan (1993) 

  5. Huag, J.H., Shetty, A.S. and Wang, M.S. Biodegradable plastics, a review. Adv. Polym. Technol. 10: 23-30 (1990) 

  6. Bloembergen, S., David, J., Geyer, D., Gustafson, A., Snook, J. and Narayan, R. Biodegradation and composting studies of polymeric materials, pp. 601-609. In: Biodegradable Plastics and Polymers. Doi, Y. and Fukuda, K. (eds.). Osaka, Japan (1993) 

  7. Doane, W.M. USDA research on starch-based biodegradable plastics. Starch 44: 292-295 (1992) 

  8. Scott, G. Photo-biodegradable plastics: their role in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Polymer Deg. Stabil. 29: 136-143 (1990) 

  9. Albertsson, A.C., Barenstedt, C. and Karlsson, S. Susceptibility of enhanced environmentally degradable polyethylene to thermal and photo-oxidation. Polymer Deg. Stabil. 37: 163-168 (1992) 

  10. Lee, S.I., Sur, S.H., Hong, K.M., Shin, Y.S., Jang, S.H. and Shin,B.Y.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fully bio-photodegradable composite film. J. Int. Industrial Technol. 29: 129-134 (2001) 

  11. Shin, B.Y., Lee, H.B. and Cho, M.H. Photodegradation of HDPE film containing mechanically induced photosensitive groups. Environ. Res. 15: 31-40 (1995) 

  12.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est method for plastics. Chapter 6. Standards for containers and packaging, pp. 28-60. In: Food Code, Seoul, Korea (2001) 

  13. ASTM D3826-98. Standard Practice for Determining Degradation End Point in Degradable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Using a Tensile Test. American Society of Testing and Materials, Philadelphia, USA (1998) 

  14. ASTM G2l-96. Standard Practice for Determining Resistance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to Fungi.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American Society of Testing and Materials, Philadelphia, USA (1996) 

  15. Jitendra, K.P. and Singh, R.P. UV-irradiated biodegradability of ethylene-propylene copolymers, LDPE, and I-PP in composting and culture environments. Biomacromolecules 2:880-885 (2001) 

  16. Shin, B.Y., Jang, S.H. and Jung, B.W. A study on the photo-biodegradable film containing calcium carbonate, starch and crab shell. J. Int. Industrial Technol. 25: 103-119 (1997) 

  17. Willet, J. Mechanical properties of LDPE/granular starch composites. J. Appl. Polym. Sci. 54: 1685-1695 (1994) 

  18. Iring, M. and Tudos, F. Thermal oxidation of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Effects of chemical structure and reaction conditions on the oxidation process. Prog. Polym. Sci. 15: 217 (1990) 

  19. Nakasuka, S. and Andrady, A.L. Thermo-gravimetric determination of starch content in starch-polyethylene blend films. J. Appl. Polym. Sci. 45: 1881-1887 (1992) 

  20. Jung, B.W., Shin, C.H., Kim, Y.J. Jang, S.H. and Shin, B.Y A study on the biodegradability of plastic films under controlled composting conditions. J. Int. Industrial Technol. 27: 107-116 (1999) 

  21. Ryu, K.E. and Kim, Y.B. Biodegradation of polymers. Polymer Sci. Technol. 9: 464-472 (1998) 

  22. Koenig, M.F. and Huang, S.J. Biodegradable blends and composites of polycapolactone and starch derivatives. Polymer 36: 1877-1882 (1995) 

  23. Na, K., Shin, E.K., Kim, Y.E., Kim, D.W. and Lee, K.Y.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film using polysaccharides. J. Res. Int. Catalysis 20: 117-123 (1998) 

  24. Cole, M.A. Agricultural and Synthetic Polymers, p. 76. Graham, S. (ed.). American Chemical Science, Washington, DC, USA (198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